집에 대한 거룩한 규례 2013년 5월 1일 수요일
레위기 14:33~14:57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내가 네게 기업으로 주는 가나안 땅에 너희가 이를 때에
너희 기업의 땅에서 어떤 집에 나병 색점을 발생하게 하거든
그 집 주인은 제사장에게 가서 말하여 알리기를 무슨 색점이 집에 생겼다 할 것이요
제사장은 그 색점을 살펴보러 가기 전에
그 집안에 있는 모든 것이 부정을 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집을 비우도록 명령한 후에 들어가서 그 집을 볼지니
그 색점을 볼 때에 그 집 벽에 푸르거나 붉은 무늬의 색점이 있어 벽보다 우묵하면
제사장은 그 집 문으로 나와 그 집을 이레 동안 폐쇄하였다가 이레 만에 또 가서 살펴볼 것이요
그 색점이 벽에 퍼졌으면 그는 명령하여 색점 있는 돌을 빼내어 성 밖 부정한 곳에 버리게 하고
또 집 안 사방을 긁게 하고 그 긁은 흙을 성 밖 부정한 곳에 쏟아 버리게 할 것이요
그들은 다른 돌로 그 돌을 대신 하며 다른 흙으로 집에 바를지니라
돌을 빼내며 집을 긁고 고쳐 바른 후에 색점이 집에 재발하면 제사장은 또 가서 살펴볼 것이요
그 색점이 만일 집에 퍼졌으면 악성 나병인즉 이는 부정하니
그는 그 집을 헐고 돌과 그 재목과 그 집의 모든 흙을 성 밖 부정한 곳으로 내어 갈 것이며
그 집을 폐쇄한 날 동안에 들어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요
그 집에서 자는 자는 그의 옷을 빨 것이요 그 집에서 먹는 자도 그의 옷을 빨 것이니라
그 집을 고쳐 바른 후에 제사장이 들어가 살펴보아서 색점이 집에 피지지 아니하였으면
이는 색점이 나은 것이니 제사장은 그 집을 정하다 하고
그는 그 집을 정결하게 하기 위하여 새 두 마리와 백향목과 홍색 실과 우슬초를 가져다가
그 새 하나를 흐르는 물 위 질그릇 안에서 잡고
백향목과 우슬초와 홍색 실과 살아 있는 새를 가져다가
잡은 새의 피와 흐르는 물을 찍어 그 집에 일곱 번 뿌릴 것이요
그는 새의 피와 흐르는 물과 살아 있는 새와 백향목과 우슬초와 홍색 실로 집을 정결하게 하고
그 살아 있는 새는 성 밖 들에 놓아주고 그 집을 위하여 속죄할 것이라 그러면 정결하리라
이는 각종 나병 환부에 대한 규례니 곧 옴과 의복과 가옥의 나병과 돋는 것과 뾰루지와 색점이
어느 때는 부정하고 어느 때는 정함을 가르치는 것이니 나병의 규례가 이러하니라
성경 길라잡이
어떤 집에 나병 색점을 발생하게 하거든(34절):
여기서 말하는 ‘나병’(히, 차라아트)은 좀, 곰팡이, 건조 부식 혹은 흰개미 떼의 출몰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처방은 사람이나 의복의 경우와 비슷했다.
곧 먼저 검사하고 7일 후에 감염된 부분을 없애고 좋은 재료로 대체한다(36~42절).
만일 그래도 썩는 것이 멈추지 않으면 집 전체를 허문다(43~47절).
그 집을 고쳐 바른 후에……제사장은 그 집을 정하다 하고(48절):
7일 후 대체한 것이 문제를 해결했다면,
이후 그 집은 사람을 정하게 하는 의식과 똑같은 방식으로 정하게 할 수 있었다(48~53절).
묵상과 삶
이스라엘은 약속의 땅인 가나안에 정착하면 그 땅에 집을 짓고 거주하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이 거주할 집 역시도 거룩함을 위한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하시며,
앞에서 다루신 사람이나 의복의 경우와 비슷한 규례를 말씀하십니다.
이는 하나님나라 백성들에게 있어 거룩함의 문제가 단순히 하나님에 대한 태도의 문제만이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모든 사물 또는 환경에 대한 태도의 문제까지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집 문제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입니다.
집은 사람이 안락하게 거주하며 그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가장 필수적인 환경입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이러한 집이 재산증식의 도구로 바뀌면서 우리사회에서 심각한 병폐를 낳고 있습니다.
이것은 현대사회에 가득한 탐욕과 물질만능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어쩌면 오늘날 우리가 거하는 집에 발생한 ‘나병 색점’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님나라의 백성으로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우리가 거주하는, 또는 앞으로 거주하게 될 집에
이와 같은 나병 색점이 있도록 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만일 우리의 집에서 나병 색점이 발견된다면 그 부분을 도려내거나, 그것이 안 되면
과감히 집을 허물 수도 있어야 합니다.
이처럼 집에 대해 현대사회가 보이는 세속화된 가치관에서 벗어나
하나님께서 의도하시는 거룩한 가치관(모든 사람에게 기본적인 환경으로 주어져야 하는 것)을 회복하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거룩함에서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어쩌면 이것이 오늘날 심각한 병폐를 낳고 있는 집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묵상질문
- 하나님께서 집을 정결케 하는 절차를 이처럼 규정하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본문은 오늘날 집에 대한 우리의 태도에 관하여 어떤 교훈을 줍니까?
기도
+ 현대사회에서 하나님나라의 백성으로서 거룩함에 대한 이해를 보다 폭넓게 가질 수 있게 하소서.
+ 집에 대한 현대의 세속적 가치관을 벗고 하나님나라의 거룩한 가치관을 확립하게 하소서.
'+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성의 거룩함 (레위 15:19~33) (CBS) (0) | 2015.04.16 |
---|---|
[24]육체의 거룩함 (레위 15:1~18) (CBS) (0) | 2015.04.15 |
*[22]공동체로 들어오게 하는 정결 의식 (레위 14:1~32) (CBS) (0) | 2015.04.14 |
[21]소유물에 대한 책임 (레위 13:47~59) (CBS) (0) | 2015.04.11 |
[20]십자가로 말미암은 온전한 화해 (레위 13:24~46) (CBS) (0) | 201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