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생각하는 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당신이 이루거나 이루지 못하는 것들 모두는 당신이 품는 그 생각들의 직접적인 결과물이다. 오늘 당신은 당신의 생각들이 데려다 준 그곳에 있고, 내일 당신은 당신의 생각들이 데려다 줄 그곳에 있을 것이다. - 제임스 앨런 제임스 .. 세상 공부 2015.01.05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유일한 공통점 (행복한 경영이야기)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유일한 공통점 대부분의 사람이 성공하지 못하는 공통요소가 있다. 대부분 사람의 능력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점만 극복될 수 있다면 거의 모든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 바로 질질 끄는 버릇(Procrastination)이다. ‘언젠가 해봐야지’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언.. 세상 공부 2015.01.05
성공을 목표로 하지 마라. (행복한 경영이야기) 성공을 목표로 하지 마라. 성공을 노리고 그것을 목표로 삼을수록, 성공할 확률은 낮아진다. 성공은 일의 결과로서 뒤따라와야 한다. 자기 자신 보다 더 큰 목적을 위해 헌신하거나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양보할 때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나 부산물로서 말이다. - 빅터 프랭클, ‘죽.. 세상 공부 2014.11.14
믿음의 마술 - 생각하는 대로 이루어진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믿음의 마술 - 생각하는 대로 이루어진다. 두려운 생각은 문제를 만들어 내거나 끌어당기고, 건설적이고 긍정적인 생각은 긍정적인 결과를 끌어당긴다. 생각의 성격과 관계없이 결과는 그 생각대로 만들어진다. - 클로드 브러스톨, ‘믿음의 마술’에서 환경 때문에 자신이 불행할 수밖에.. 세상 공부 2014.09.26
리더는 점수를 받는 사람이 아닌 점수를 주는 사람 (행복한 경영이야기) 리더는 점수를 받는 사람이 아닌 점수를 주는 사람 젊었을 때는 맡은 일을 혼자 처리해낼 수 있는 자립심이 있어야 하고, 자기가 한 일에 대해 신뢰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지위가 높아질수록 점수를 받는 것보다 점수를 주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내 성공에 의기양양해 하기.. 세상 공부 2014.09.26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유일한 공통점 (행복한 경영이야기)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유일한 공통점 대부분의 사람이 성공하지 못하는 공통요소가 있다. 대부분 사람의 능력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점만 극복될 수 있다면 거의 모든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 바로 질질 끄는 버릇(Procrastination)이다. ‘언젠가 해봐야지’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언.. 세상 공부 2014.08.28
과감하고 빠른 실패가 성공의 첩경 (행복한 경영이야기) 과감하고 빠른 실패가 성공의 첩경 좋은 공연을 하는 유일한 길은 나쁜 공연을 많이 해보는 것입니다. 공연을 하면서 힘든 시간을 보내세요. 그러고도 포기하지 않으면 차차 나아집니다. - 루이스 C. K, 에미상 수상 코미디언 (‘천개의 성공을 만든 작은 행동의 힘’에서 인용) 작가 앤 라.. 세상 공부 2014.08.27
일의 스트레스도...감사합니다. 2014년 8월 22일, 금요일 그동안의 숙제들이 다 끝났다. 야호~ 이제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다. 아...좋다! 사봉 조진형 선생님은 행복과 불행을 이렇게 정의하셨다. (아프리카 여행을 정리하시며~) 행복 = 처음 보는 것에 대한 마음 설렘, 불행 = 처음 보는 것에 대한 두려움. (사봉의 아침편지 -[.. [중얼중얼...] 2014.08.22
가난하게도 마옵시고, 부하게도 마옵소서... 2014년 8월 14일, 목요일 오늘의 글 선물, [멈출 줄 아는 지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이야기)는 노자의 말씀이다. 지속적으로 가득 찬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은 그것을 그만두는 것만 못하다. 물이 가득차면 넘치듯이, 가득 채우려는 사람은 필경 넘어지기 마련이다. 황금이나 보물을 집에 가.. [중얼중얼...] 2014.08.14
양치기들의 땅바닥 신호 (따뜻한 하루) 양치기들의 땅바닥 신호 ========================================================== 세르비아의 양치기 소년들은 서로간의 원활한 연락을 위해 독창적인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목장 땅바닥에 각자 긴 칼을 꽂아두고 있다가 도둑이 오는 것을 감지한 사람이 자기 칼의 손잡이를 치는 것이었습니다. 그렇.. 세상 공부 201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