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을 살려라' (고도원의 아침편지) '감각을 살려라' 진정한 기쁨과 행복이란 오직 자신을 사랑함으로써만, 자기에게 기쁨을 주는 일을 함으로써만, 얻어진다는 것을 나는 알게 되었다. 삶이 목적이 없는 것 같고 길을 잃은 듯한 기분이 들 때, 그것은 바로 내가 자신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렸다는 뜻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세상 공부 2016.12.28
영적인 양식이 있어야 영적인 양식이 있어야 (2016년 11월 15일 화요일) 우리에게 필요한 귀중한 영적인 양식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복잡하고 번잡한 일상 속에서도 우리는 가끔 시간을 내어 명상을 해야 합니다. 고요히 눈을 감고 명상이나 묵상을 하고 있으면 어느 듯 복잡한 생각은 하나하나 정리가 .. 세상 공부 2016.11.15
마음을 숨쉬게 하라 (고도원의 아침편지) 마음을 숨쉬게 하라 인간은 마음입니다. 문제는 자기 마음이 숨 쉬도록 가만히 두는 것이죠. 질식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면 사랑의 샘이 솟아날 것입니다. 기도가 이 호흡을 도울 수 있습니다. - 엠마뉘엘 수녀의《나는 100살, 당신에게 할 말이 있어요》중에서 - * 몸에 호흡이 필요하.. 세상 공부 2016.09.02
세상 속으로 더 깊이 (고도원의 아침편지) 세상 속으로 더 깊이 명상은 세상으로부터의 도피가 아니다. 그것은 세상 속으로 더욱 깊이 들어가기 위해 마음을 다잡고 미소 지을 수 있는 방법이다. 웃으며 세상을 만나는 가운데 마음의 고통도 치유될 수 있다. - 김수병의《마음의 발견》중에서 - * 세상에서 열심히 살려면 몸도 마음.. 세상 공부 2015.06.30
[백성호의 현문우답] 통찰력 키우는 독서법 [백성호의 현문우답] 통찰력 키우는 독서법 [중앙일보] 입력 2014.10.18 00:15 수정 2014.10.18 00:35 | 종합 34면 지면보기 백성호문화스포츠부문 차장 “곰팡이가 핀 책이 아니라 명상에서 진리를 찾아라. 달을 보기 위해선 연못이 아니라 하늘을 바라보라.” 경전의 한 구절이냐고요? 페르시아의 .. 백성호의 하루명상 2014.10.18
마음이 상하셨나요? /(고도원의 아침편지) 마음이 상하셨나요? 마음이 상하는 일을 피할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없다. 다만 그것을 덜 상처받는 쪽으로 받아들이는 안정된 자존감을 가진 사람이 있을 뿐이다. 그들은 완벽한 사람도, 한 번도 상처받을 일이 없었던 사람도 아니다. 상처를 받았으나 한 번도 받지 않은 것처럼, 당당하.. 세상 공부 2013.12.18
호흡에 대하여 /(CBS) 호흡에 대하여 2013년 12월 14일 토요일 사람은 1분에 보통 60번의 호흡을 합니다. 거북이는 놀랍게도 1분에 한번 호흡을 합니다. 개미는 1분에 무려 400번의 호흡을 한다고 합니다. 호흡의 길이와 수명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이 세 생명체 중에 오래 사는 것을 순서로 보면 거북이, 사.. 세상 공부 2013.12.18
지능을 최대한 계발할 책임 지능을 최대한 계발할 책임 하나님께서는 지능을 훈련할 것을 요구하신다. 그분은 당신의 종들이 세상 사람들보다 더욱 많은 재능과 더욱 명석한 식별력을 갖기 원하신다. 그분은 유능하고 정통한 일꾼이 되기에는 너무 무관심하고 게으른 자를 불쾌히 여기신다. 주님께서 우리에게 온 .. + 박정환목사님 2013.11.11
'느낌' (고도원의 아침편지) '느낌' '앎'이라는 말보다 '느낌'이라는 말을 쓰는 것이 더 좋다. 느낌 쪽이 보다 본질에 가깝기 때문이다. '앎'은 두뇌적이다. 그러나 '느낌'은 전체적이다. 느낄 때는 머리만으로 느끼지 않는다. 가슴만으로 느끼지 않는다. 그대 전존재의 세포 하나하나가 그대로 느낌 그 자체가 되어 느.. 세상 공부 2013.07.12
[명상] 유하진선생님 /웃음보따리 [1] 2013년 6월 25일 유하진 선생님과 명상 첫 날 (웃음보따리, 청어람, 저녁 6시 반) 1) 내게서 떨어져서 나를 바라보라. 2) 얼굴, 입가, 어깨, 엉덩이, 양 발 등 온몸의 긴장을 풀고 숨을 쉬어라. 3) 뇌는 나이가 들어도 계속 발달한다. 성장이 멈추게 아니다. 계속 뇌를 쓰자. 4) 심호흡을 매일 아.. 건강 2013.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