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러일전쟁: 기원과 개전 / 와다 하루키 "러일전쟁의 목적은 '조선 지배'였다" 조선일보 김성현 기자 입력 2019.09.28 03:00 러일전쟁: 기원과 개전|와다 하루키 지음|이웅현 옮김|한길사|전 2권(1278쪽) 각 권 3만5000원 "총(總) 동원(動員) 루신." 1904년 2월 6일 러일전쟁의 임박을 알리는 러시아 주일(駐日) 무관 루신의 러시아어 전.. 옛날 우리나라 2019.10.12
[책]박종인, 대한민국 징비록 (채민기 기자, 조선일보) 신기술 멀리하고 문을 잠근 조선… 망국의 길 걷기까지 조선일보 채민기 기자 입력 2019.10.05 03:00 대한민국 징비록 박종인 지음ㅣ와이즈맵ㅣ400쪽ㅣ1만8000원 동북아 정세가 요동친다. 풍전등화 같았던 구한말 한반도의 운명이 아른거린다고들 한다. 1910년 대한제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옛날 우리나라 2019.10.05
[182]초대 주미 조선공사관 단체 사진 속 사내들 [박종인의 땅의 歷史] 함께 앉아 있었으나, 그 끝은 너무도 달랐다 조선일보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 입력 2019.09.25 03:00 [182] 초대 주미 조선공사관 단체 사진 속 사내들 1888년에 촬영된 초대 주미 공사관 기념사진 개화를 꿈꾼 그 시대 엘리트들… 이상재…이완용…박정양…이하영…이.. 옛날 우리나라 2019.09.25
[권당(捲堂)]성균관 유생들의 시위...동맹휴업. 곡소리로 의견 펼쳐 [뉴스 속의 한국사]성균관 유생들의 시위...동맹휴업. 곡소리로 의견 펼쳐 2019.09.24.03:00 [권당(捲堂)] 조정의 잘못된 일 처리에 반대하며 조선시대 여러 왕 때 빈번히 일어나 세종 때도 왕명에 반대해 집단 귀가 왕권 견제하는 순기능 가졌지만 이후 변질돼 당쟁에 이용되기도 [권당(捲堂)] .. 옛날 우리나라 2019.09.24
[181]인조반정 공신들의 밀약: 숭용산림(崇用山林)과 물실국혼(勿失國婚) [박종인의 땅의 歷史] "권력과 왕비는 영원히 서인이 갖도록 하자" 조선일보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 입력 2019.09.11 03:00 [181] 인조반정 공신들의 밀약: 숭용산림(崇用山林)과 물실국혼(勿失國婚) 1623년 인조반정 공신들 '우리 재야 인사 등용' '왕비 또한 우리 문중' 권력 독점하자고 밀약 .. 옛날 우리나라 2019.09.11
[180] 무지하고 자만했던 1874년 여름 어전회의 [박종인의 땅의 歷史] "임진왜란 때보다 군사가 더 강하니, 겁낼 것 없다" 조선일보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 입력 2019.09.04 03:00 | 수정 2019.09.04 03:37 [180] 무지하고 자만했던 1874년 여름 어전회의 제국주의가 몰려오던 1874년 여름 어전회의 병인·신미 두 양요 겪고 궁궐 담장 무너지고 전.. 옛날 우리나라 2019.09.04
[아라가야]'가야연맹 대표'까지 올랐지만 외교만 앞세우다 멸망 (조선일보) [뉴스 속의 한국사] '가야연맹 대표'까지 올랐지만 외교만 앞세우다 멸망 입력 : 2019.09.03 03:00 [아라가야] 백제·신라가 가야까지 세력 뻗치자 서기 529년 동아시아 국제회담 개최… 대화를 통해 난세 극복하려 했어요 군사력 부족해 2년 후 백제에 흡수… 561년 신라에 의해 완전히 사라졌죠.. 옛날 우리나라 2019.09.03
[179] 송시열의 진영 논리와 소장파의 집단 반발 [박종인의 땅의 歷史] "우리 편이니, 역적이라도 처벌은 불가하다" 조선일보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 입력 2019.08.28 03:00 [179] 송시열의 진영 논리와 소장파의 집단 반발 1682년 서인 김익훈이 까발린 남인 역모 사건 숱한 남인 처형하고 보니 조작된 공작 정치 남인은 물론 젊은 서인들까.. 옛날 우리나라 2019.08.28
[178] 개혁군주 영조의 '내로남불' 사회 일반사건사고법조피플부음·인사아무튼, 주말청년 미래탐험대 100 [박종인의 땅의 歷史] 금주령 어긴 자는 처형하고 자신은 술을 마셨다 조선일보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 입력 2019.08.21 03:00 | 수정 2019.08.21 03:27 [178] 개혁군주 영조의 '내로남불' 등극한 지 만 2년째 되던 서기 1726년 .. 옛날 우리나라 2019.08.21
[177]'불원복(不遠復)' 태극기와 의병장 후손 고영준 [박종인의 땅의 歷史] "나는 의병장 후손이다. 태극기에 의지해 80년 살았다" 조선일보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 입력 2019.08.14 03:34 [177] '불원복(不遠復)' 태극기와 의병장 후손 고영준 고영준이 창평에 살게 된 내력 이제는 기억이 가물가물해, 정확한 연도도 생각나지 않는다. 1939년생인 .. 옛날 우리나라 2019.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