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속의 한국사]성균관 유생들의 시위...동맹휴업. 곡소리로 의견 펼쳐
2019.09.24.03:00
[권당(捲堂)]
조정의 잘못된 일 처리에 반대하며 조선시대 여러 왕 때 빈번히 일어나
세종 때도 왕명에 반대해 집단 귀가
왕권 견제하는 순기능 가졌지만 이후 변질돼 당쟁에 이용되기도
지난 19일 서울대·고려대·연세대 학생 1000여명이 조국 법무부 장관 사퇴를 촉구하는 촛불을 들었어요.
민주화 과정에서 대학생이 시위를 주도했던 것은 익숙한 풍경입니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어요.
오늘날 대학생 격인 성균관 유생들이 시위를 통해 주장을 펼쳤던 겁니다.
◇성균관 유생들 집에 돌아가다
1448년 조선 세종은 즉위 30년을 맞아 궁궐에 불당을 세우려 합니다.
◇성균관 유생들 집에 돌아가다
1448년 조선 세종은 즉위 30년을 맞아 궁궐에 불당을 세우려 합니다.
그런데 조선은 건국이념으로 불교를 멀리하고 유교를 받들었죠.
유학을 공부하는 유생들 입장에서 궁궐 안에 불당을 짓는 일은 받아들이기 어려웠어요.
신하는 물론 성균관 유생도 반대 상소를 올립니다.
- ▲ /그림=안병현
그렇지만 세종은 흔들리지 않았어요.
"대신의 말도 듣지 않았는데 하물며 너희의 말을 듣겠느냐"며 불당 공사를 강행합니다.
성균관 유생들은 상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일제히 성균관에서 물러나와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이를 성균관을 비운다 하여 '공관(空館)'이라 불렀어요.
세종은 영의정이었던 황희에게 사태를 수습하도록 지시했어요.
세종은 영의정이었던 황희에게 사태를 수습하도록 지시했어요.
장차 나라를 이끌 최고 인재들이 없어지면 안 되니까요.
황희는 유생들의 집을 찾아 일일이 설득해 다시 성균관에 나오도록 하며 '공관' 사태는 일단락됩니다.
◇맹인 행세, 곡하기 등 여러 방법 동원
세종 당시 성균관 유생이 벌인 공관은 요즘으로 보자면 집단행동이나 시위라고 볼 수 있지요.
◇맹인 행세, 곡하기 등 여러 방법 동원
세종 당시 성균관 유생이 벌인 공관은 요즘으로 보자면 집단행동이나 시위라고 볼 수 있지요.
본디 성균관 유생은 그릇된 정책이나 부조리한 사회문제 등에 대해 상소를 올려 주장을 펼쳤어요.
만약 상소를 올려도 자기들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조정의 일 처리가 부당하다는 공감대가 확고할 경우 이렇게 행동에 나섰습니다.
이를 당시 말로 '권당(捲堂)'이라고 합니다.
권당의 대표적인 사례가 앞서 말씀드렸던 '공관'입니다.
이 밖에도 수업에는 참석하되 눈 뜬 맹인 행세를 하며 수업을 거부하는 '청맹(靑盲)권당',
학생들이 단체로 '아이고'라고 곡소리를 내며 대궐까지 걸어가는 '호곡(號哭)권당'도 있었습니다.
중종이 1519년 조광조를 옥에 가두자, 성균관 유생 150여 명이 조광조를 풀어달라는 상소를 올리고서
중종이 1519년 조광조를 옥에 가두자, 성균관 유생 150여 명이 조광조를 풀어달라는 상소를 올리고서
임금이 나랏일을 보는 편전 문 앞에 몰려가 통곡하며 호곡권당을 벌였어요.
중종은 권당을 주도한 사람 5명을 옥에 가둡니다.
다만 이는 예외적 일이었습니다.
다만 이는 예외적 일이었습니다.
조선 임금은 권당이 벌어지면 유생을 잘 타일러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어요.
성균관 유생들의 시위를 강력하게 탄압했다가는 임금으로서의 덕망에 흠집이 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시간 갈수록 변질된 '권당'
조선시대에는 세종은 물론 성종, 영조, 정조 등 거의 모든 왕 때에 빈번하게 권당이 일어났어요.
◇시간 갈수록 변질된 '권당'
조선시대에는 세종은 물론 성종, 영조, 정조 등 거의 모든 왕 때에 빈번하게 권당이 일어났어요.
권당이 발생하면, 성균관 교육을 총괄하던 책임자 '대사성'이 유생들을 소집해 그 연유를 묻고 타일렀어요.
그래도 학생들이 말을 듣지 않으면, 이런 사정을 왕에게 보고했지요.
조선 초기에는 임금이나 조정에서 유교적인 전통과 상식에 어긋나는 결정을 내리거나,
조선 초기에는 임금이나 조정에서 유교적인 전통과 상식에 어긋나는 결정을 내리거나,
덕이 부족한 인물을 요직에 등용하거나, 불합리한 판결을 내리거나 했을 때 권당이 이뤄집니다.
왕권을 견제하는 성격이 있었지요.
그렇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권당 성격은 변질됩니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권당 성격은 변질됩니다.
성균관 안에서 유생들이 패거리를 이뤄 세력을 겨루는 수단으로,
조선 후기 당쟁이 심할 때는 특정 당파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권당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식당 안 가는 시위 '권식당'… 과거 거부한다는 뜻이었죠]
성균관 유생들이 벌인 시위인 권당 중에는 '식당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하는 것'도 있었습니다.
[식당 안 가는 시위 '권식당'… 과거 거부한다는 뜻이었죠]
성균관 유생들이 벌인 시위인 권당 중에는 '식당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하는 것'도 있었습니다.
이를 권식당(捲食堂)이라 했습니다.
식당을 비운다는 뜻이죠.
식당에 들어가지 않는 게 '투쟁'인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식당에 들어가지 않는 게 '투쟁'인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성균관에 입학한 유생은 아침·저녁으로 식당에서 밥을 먹고 서명하면 1점을 받습니다.
오늘날 '출석 체크'와 같은 개념인데,
이 점수가 300점이 넘어야 성균관생만 응시할 수 있는 과거시험 '관시(館試)'를 볼 자격을 얻습니다.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과거를 보지 않겠다고 한 것이죠.
-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저술가 기획·구성=양지호 기자
'옛날 우리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박종인, 대한민국 징비록 (채민기 기자, 조선일보) (0) | 2019.10.05 |
---|---|
[182]초대 주미 조선공사관 단체 사진 속 사내들 (0) | 2019.09.25 |
[181]인조반정 공신들의 밀약: 숭용산림(崇用山林)과 물실국혼(勿失國婚) (0) | 2019.09.11 |
[180] 무지하고 자만했던 1874년 여름 어전회의 (0) | 2019.09.04 |
[아라가야]'가야연맹 대표'까지 올랐지만 외교만 앞세우다 멸망 (조선일보) (0) |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