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4:1-12절
세례 요한의 순교
그 때에 분봉왕 헤롯이 예수의 소문을 듣고 그 신하들에게 이르되 이는 세례 요한이라
그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으니 그러므로 이런 능력이 그 속에서 역사하는도다 하더라
전에 헤롯이 그 동생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로 요한을 잡아 결박하여 옥에 가두었으니
이는 요한이 헤롯에게 말하되 당신이 그 여자를 차지한 것이 옳지 않다 하였음이라 (마14:-4)
인간은 누구나 살다가 한번은 죽음을 맞이합니다.
본문에 나타난 세례요한의 죽음을 통하여,
주 안에서 가치있고 보람된 삶과 죽음에 대하여 묵상하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정의를 위한 죽음
세례요한이 헤롯에게 죽임을 당한 이유는
아무도 말하지 않는 헤롯의 잘못을 공개적으로 지적했기 때문입니다.
본문에 나오는 분봉왕 헤롯은
동방박사들을 속여 아기 예수를 죽이려 했던 헤롯대왕의 아들인 헤롯 안티파스입니다.
헤롯은 동생의 아내 헤로디아를 아내로 취했고
세례요한은 그의 잘못을 지적하여 감옥에 갇혔습니다.
헤롯은 요한을 선자지로 여겼고 백성의 신임을 받고 있는 그를 죽이기를 두려워했습니다.
그러나 헤로디아의 간계로 결국 헤롯은 세례요한을 죽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세례요한은 헤롯의 잘못을 공개적으로 지적하면 죽임당할 것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죽음을 무릅쓰고 권력자의 범죄를 지적했습니다.
불법과 거짓에 대항하여 정의를 외치는 것이 선지자의 운명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의를 위해 박해를 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라”(5:10)고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을 믿는 그리스도인은 세례요한과 같이
세상의 불의와 싸워 진리의 말씀을 외치는 선지자의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둘째, 예수님의 고난을 예고하는 죽음
세례요한은 예수님의 길을 예비하는 사명을 가진 자로서
그의 죽음 또한 예수님의 고난을 예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의를 선포하다가 그가 당한 순교는
하나님나라를 선포하고 그 나라를 도래하게 하기 위해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의 죽음의 예고편이었습니다.
주님의 제자된 우리도 예수님, 그리고 세례요한처럼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위해 살다가 죽어야 합니다.
사도바울은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해
‘살아도 주를 위해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임을 강조합니다(롬14:8)
셋째, 끝까지 사명을 감당하며 죽음
세례 요한은 제자들이 예수님과 자신을 경쟁관계로 보자
“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요3:30)말합니다.
세례요한은
사명을 위해 살다가 사명이 다하며 스스로 사역을 마무리하는 사역자의 본을 보여줍니다.
예수님은 세례요한에 대하여 “여자가 낳은 자중에 요한보다 큰 자가 없다‘(눅7:28)라고
그를 칭찬하였습니다.
세례요한과 같이 오직 주님이 맡겨주신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며,
오직 주님께 인정과 칭찬받는 복된 삶을 살다가
복된 죽음을 통해 부활과 영생의 삶에 이르러야 할 것입니다.
'+ 크리스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이 일으키는 기적> 마태복음 14:22-36절 (0) | 2021.02.18 |
---|---|
<천국의 왕이 베푸는 생명의 잔치>마태복음 14:13-21절 (0) | 2021.02.17 |
천국의 가치를 아는 지혜로운자 (마13:44) (0) | 2021.02.15 |
바리새인의 죄 [마태복음 12장 22-37절] (0) | 2021.02.10 |
마태복음 9장 27-38 <예수님의 능력을 경험하려면> (0) | 2021.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