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 세상]

2[일본]日 문화청의 '좁쌀 행태' (허윤희 기자, 조선일보)

colorprom 2018. 9. 19. 15:06


2[기자의 시각] 문화청의 '좁쌀 행태'


조선일보
                             
             
입력 2018.09.19 03:13

허윤희 여론독자부 기자
허윤희 여론독자부 기자

올 5월 일본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만든 영화 '어느 가족'이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우나기' 이후 21년 만의 쾌거"라고 일본 열도가 들썩였다.

그런데 평소 자국 문화예술·스포츠인이 국제무대에서 큰 상을 받을 때마다 뜨거운 찬사를 보내던
아베 신조 총리는 침묵했다.
고레에다 감독()아베 성향인 데다 영화가 일본 사회의 어두운 면을 다루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쿨 재팬(cool Japan·일본 문화를 세계에 알리자는 일본 정부의 프로젝트)'을 표방하는 일본 총리가
그릇 작은 리더임을 보여준 것이다.

그런데 지금 일본 문화재계에서 똑같은 '좁쌀 행태'가 벌어지고 있다.
최근 1년간 오사카에서 연수하면서 만난 간사이 지역 박물관 관계자들은
"지금 분위기가 최악"이라고 했다. '쓰시마 불상'으로 인한 일본 내 반한(反韓) 감정이 심각해서다.

한국 절도범들이 일본 쓰시마섬(對馬島)에서 훔쳐온 고려 불상(佛像)을
충남 서산 부석사로 인도하라는 법원 판결에 따라 여태껏 일본으로 돌려주지 않고 있는 게 문제의 발단이다.

피해는 우리 박물관들에 떨어지고 있다.
특히 고려 건국 1100주년을 맞아 올해 12월 열릴 예정인 '()고려전'이 직격탄을 맞았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개방적이고 독창적인 문화를 이룩했던 고려의 총체적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
전 세계에 흩어진 고려 명품을 모으는 중이다.
상당수 명품이 일본에 있기에 일본 측 협조가 긴요하다.
하지만 일부 사찰과 사립박물관은 아예 접촉 창구를 닫았고,
국립·시립박물관들도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최상급 명품은 빌려줄 수 없다"고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 일본 학예사는

"한국과는 관계를 유지해야 하니 우리도 빌려주고 싶다. 그런데 문화청이 허가를 안 해줘서 난감하다"고 했다. 작품을 소장한 기관이 대여하겠다는데도 일본 문화청이 "노(No)" 하고 있다는 얘기다.


일본에선 국가가 지정한 국보나 중요문화재를 해외로 반출할 경우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한다.

최상급 고려청자와 사경, 나전칠기 수 점이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정부가 불허한다면 고려전에 출품도 할 수 없다.

쓰시마에서 훔쳐온 불상은 지금이라도 돌려주는 것이 마땅하다.

약탈이라는 확증이 없는데 장물을 돌려주지 않으니 꼭 필요한 교류까지 발목 잡힌 것이다.

그러나 소장자 개인의 의지가 아니라 정부가 위에서 틀어막고 있다면, 이는 다른 차원의 문제다.

고려청자는 일본의 중요문화재이기 전에 고려의 유산이고 후손인 한국인들이 감상할 권리가 있다.

판결 하나를 빌미로 정당한 문화재 교류까지 방해하는 건 문제를 더 키울 뿐이다.


겉으로 '쿨 재팬'을 외치면서 속으론 '언 쿨(un-cool)'인 일본 정부의 뒤끝이 씁쓸하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8/2018091804057.html



박정규(hyu****)2018.09.1913:10:44신고
도독놈을 옹호해서는 안 되고, 그런 판결을 내린 국가에 역사적인 유물을 함부로 주는 것이 아니다라고 판단한 것을 쫍쌀이라고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봅니다.
안용환(yo****)2018.09.1911:09:29신고
개인적으로 훔쳐 온 쓰시마 불상은 돌려주는게 맞다고 본다
최재경(jaigy****)2018.09.1910:45:49신고
일본 정부의 트집은 이유있는 트집이다.
우리에게 장물을 돌려주지 않을 권리가 있다면 그들에게는 해외반출을 불허할 권리가 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8/2018091804057.html



[발언대] 대마도 불상, 다시 일본에 돌려주자


조선일보
                             
  •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
    •          
    입력 2018.09.17 03:08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

    2012년 10월 우리나라 절도단이 일본 대마도에서 불상 2점을 절취해 밀반입한 사건이 일어났다.

    관세음보살좌상은 장물이므로 국제협약 정신에 따라 반환해야 한다는 의견과
    고려 말에 왜구의 약탈품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돌려주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립해
    만 6년이 되도록 법원에 계류 중이다.

    20년 이상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 실태 파악 조사에 참여해 온 필자의 눈에는
    이러한 양상들이 너무 과열되고 격앙된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일련의 논란들이 자칫 한·일(韓日) 간 감정싸움으로 번지거나 과도한 애국주의로 발현된다면
    국외 소재 문화재 환수에 득(得)이 되지 않는다.

    문화재 환수는 온 국민이 바라지만 국가적인 일이고, 국가 간 외교적인 방법에 의해 해결할 수밖에 없다.
    감정이나 개인의 운동 차원에서 해결될 수 있는 게 아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올 12월 열릴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특별전 '()고려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대마도 불상 판결 이후 일본의 사찰들이 고려 불화 대여를 꺼리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 왔다.
    대마도 이즈하라 항구 근처 가게 30곳 중 7곳에 '한국인 입점 금지'라는 문구가 붙어 있다고 한다.

    아무리 귀중한 문화재라도 어떻게 일본에 가게 됐는지 그 과정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왜구가 불상을 약탈했을 개연성은 있지만 단정하기는 어렵다.

    더구나 문화재 절도범들이 훔쳐온 장물에 대해,

    우리 것이니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무조건 되찾아야 한다는 것은 문화재 제자리 찾기가 아니다.


    관음보살상은 일본에서 훔쳐온 불상이라는 꼬리표가 붙어 다닐 것이기 때문에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받기도 어려울 것이다.

    한국에서 제작한 불상을 일본인이 오랜 세월 동안 지니고 신앙하고 있다는 것은 예사의 인연이 아니다.

    이제 우리 중생이 스스로 묶고 있는 쇠사슬에서 벗어나

    어느 나라도 흉내 낼 수 없는 한·일 간의 우호를 이어나가게 하자.

    이제 남은 일은 서산 부석사가 중심이 돼 관세음보살좌상을 대마도까지 성대하게 이운(移運)할 일만 남았다. 한·일 관계를 다시금 펼치는 멋진 일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6/2018091602299.html



    김미행(kimi****)2018.09.1712:14:36신고
    지당하신 말씀으로 여겨집니다. 일본에서 우리문화 유산이 잘 보전되어 있는 것을 보면
    한편으로는 감사하고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들던대요.
    종교적인 상징물이니 일본 절에 있어도 무방할 듯---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6/201809160229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