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련에 대처하는 옳은 길은 거기서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아이 때는 물론이요 장성한 후에도 모든 훈련에 적용된다.
아이의 유년 시절의 교육을 게을리한 결과로 나쁜 경향이 굳어지면
후년의 교육은 더욱 곤란하고 훈련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타고난 욕망과 경향을 말살하는 일은 하등한 본성에 고통이 아닐 수 없으나,
이 고통은 더욱 높은 기쁨 가운데서 잊어 버려야 한다.
모든 과실, 모든 결점, 모든 곤란을 정복할 때마다,
그것은 더욱 좋고 더욱 높은 일을 위한 디딤돌이 된다는 사실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한다.
보람있는 일생을 보낸 많은 사람들이 이룩한 성공은 다 이런 경험을 통하여 된 것이다.
“위인이 도달하여 보존하는 높이는 단걸음에 달한 것이 아니니
동무들이 자는 동안에 저희는 꾸준히 수고하여 발길을 위로 달림이라."
"정복하여 발 아래 둔 모든 일로,
습득한 좋고 유익한 일들로,
교만을 물리치고 정욕을 죽임으로,
또한 시시로 오는 모든 악을 정복함으로 우리는 서리라."
- 교육, 295-6.
The true way of dealing with trial is not by seeking to escape it, but by transforming it.
This applies to all discipline, the earlier as well as the later.
The neglect of the child’s earliest training, and the consequent strengthening of wrong tendencies, makes his after education more difficult, and causes discipline to be too often a painful process.
Painful it must be to the lower nature, crossing, as it does, the natural desires and inclinations; but the pain may be lost sight of in a higher joy.
Let the child and the youth be taught that every mistake, every fault, every difficulty, conquered, becomes a stepping-stone to better and higher
things. It is through such experiences that all who have ever made life worth the living have achieved success.
“The heights by great men reached and kept
Were not attained by sudden flight,
But they, while their companions slept,
Were toiling upward in the night.”
“We rise by things that are under our feet;
By what we have mastered of good and gain;
By the pride deposed and the passion slain,
And the vanquished ills that we hourly meet.”
- Education, 295-6.
'+ 박정환목사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좋은 것” (0) | 2017.09.10 |
---|---|
일상생활에서의 신앙 (0) | 2017.09.09 |
생애의 훈련 (0) | 2017.09.07 |
[교육]남을 다스리고자 하는 자는 먼저 자신을 다스려야 한다 (0) | 2017.09.07 |
허물을 찾거나 견책을 하는 것을 주의해야 함 (0) | 201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