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의 훈련
사람은 누구나 가정이나 학교에서 받는 훈련 이외에도 생애의 엄격한 훈련에 당면하게 된다.
청소년들이 명백히 배워야 할 공과는 이것에 현명히 대처하는 방법이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시므로 우리의 행복을 위하여 일하고 계신다.
우리가 만일 하나님의 율법을 항상 지켜 왔다면 고난이라는 것을 결코 모르고 지내 왔을 것이다.
그러나, 죄의 결과로 인해 인간의 생애에 고난과 번민과 무거운 짐이 지워진 것이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이런 번뇌와 무거운 짐에 용감히 대처하도록 가르쳐 줌으로
그들의 일생에 유익을 끼쳐 줄 수 있다.
우리는 아이들을 동정해야 하지만, 아이들이 스스로를 불쌍히 여기게 해서는 안 된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자신을 약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강하게 하고 고무시키는 것이다.
아이들은 이 세상이 연병장이 아니고 싸움터라는 것을 배워야 한다.
모든 사람들은 훌륭한 군인처럼 어려움을 견뎌야 하는 것이다.
그들은 대장부같이 강건하고 침착해야 한다.
세상의 인정이나 보상을 받지 않을지라도 자원하여 책임을 지고,
난관을 헤쳐 나가고,
해야 할 일을 하는 데에서 품성의 참된 가치를 찾을 수 있음을
청년들이 배우게 해야 한다.
- 교육, 295.
Meeting Life’s Discipline
Beyond the discipline of the home and the school, all have to meet the stern discipline of life. How to meet this wisely is a lesson that should be made plain to every child and to every youth.
It is true that God loves us, that He is working for our happiness, and that, if His law had always been obeyed, we should never have known suffering; and it is no less true that, in this world, as the result of sin, suffering, trouble, burdens, come to every life.
We may do the children and the youth a lifelong good by teaching them to meet bravely these troubles and burdens. While we should give them sympathy, let it never be such as to foster self-pity. What they need is that which stimulates and strengthens rather than weakens.
They should be taught that this world is not a parade ground, but a battlefield. All are called to endure hardness, as good soldiers. They are to be strong and quit themselves like men. Let them be taught that the true test of character is found in the willingness to bear burdens, to take the hard place, to do the work that needs to be done, though it bring no earthly recognition or reward.
- Education, 295.
'+ 박정환목사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생활에서의 신앙 (0) | 2017.09.09 |
---|---|
시련에 대처하는 옳은 길은 도피가 아니라 변화 (0) | 2017.09.08 |
[교육]남을 다스리고자 하는 자는 먼저 자신을 다스려야 한다 (0) | 2017.09.07 |
허물을 찾거나 견책을 하는 것을 주의해야 함 (0) | 2017.09.06 |
순종은 강제적인 것이 아닌 선택의 결과 (0) | 2017.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