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순박사 최근 글 (89세)
한 번 밖에 없는 인생,어떻게 살다 갈 것인가?
-경제학자 조순 박사(前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가 쓰신 글입니다-
*장자(莊子)가 말하는 習慣的 으로 저지르는 8가지 過誤
1. 자기 할 일이 아닌데 덤비는 것은 '주착(做錯)'이라 한다.
2. 상대방이 청하지도 않았는데 의견을 말하는 것은 '망령(妄靈)' 이라 한다.
3. 남의 비위를 맞추려고 말하는 것을 '아첨(阿諂)'이라고 한다.
4. 시비를 가리지 않고 마구 말을 하는 것을 '푼수(分數)' 적다고 한다.
5. 남의 단점을 말하기 좋아하는 것을 '참소(讒訴)'라고 한다.
6. 남의 관계를 갈라놓는 것을 '이간(離間)질'이라고 한다.
7. 나쁜 짓을 칭찬하여 사람을 타락시킴을 '간특(奸慝)'하다고 한다.
8.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비위를 맞춰
상대방의 속셈을 뽑아보는 것을 '음흉( 陰凶)'하다고 한다.
나는 사람의 일생은 기본적으로 즐거운 것으로 보고 있다.
‘고중유락(苦中有樂)’이라는 말이 있듯이, 인생은 원래 즐거운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세계 인구가 이렇게 많을 수 있겠는가?
“그럼 늙고 죽는 것도 즐겁단 말이오?”
아마 이런 반론이 있을 것이다.
글쎄 늙고 죽는 것이 꼭 즐거운 것은 아니겠지만
그 의미를 잘 안다면 얼마든지 달관할 수는 있을 것 같다.
장자(莊子)는 아내가 죽었을 때, 항아리를 치며 노래를 불렀다.
소동파(蘇東坡)의 시에 ‘죽고 사는 것을 항상 보니, 이제 눈물이 없네’ 라는 구절이 있다.ㆍ
그러나 인생을 즐겁게 보내자면, 일정한 계획과 수련이 필요하다.
중국 송(宋)나라에 주신중이라는 훌륭한 인물이 있었는데,
그는 인생에는 다섯 개의 계획(五計)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첫째는 생계(生計), 내 일생을 어떤 모양으로 만드느냐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신계(身計), 이 몸을 어떻게 처신하느냐의 계획이며,
셋째는 가계(家計), 나의 집안, 가족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의 문제이다.
넷째는 노계(老計), 어떤 老年을 보낼 것이냐에 관한 계획이고
다섯째 사계(死計), 어떤 모양으로 죽을 것이냐의 설계가 그것이다.
“당신에게도 노계(老計)가 있소?” 라고 묻는다면, 나는 “있지요” 라고 대답하고 싶다.
“그것이 무엇이오?”라는 물음에는 '소이부답 [笑而不答] ' 말을 안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만, 내가 사는 집 이야기를 한다면 그 속에 나의 대답 일부분이 있을 것 같기도 하다.
나는 달동네로 유명한 봉천동에 살고 있다.
25년 전 나는 관악산을 내다보는 계단식으로 되어 있는 대지를 사서 집을 지었다.
당시에는 주변도 비교적 좋았고 공기도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 이 집 주위는 그때와는 전혀 딴판이 됐다.
단독주택은 거의 다 없어지고, 주변에 5층짜리 다세대주택이 밀집해 있다.
주차도 어렵고, 지하철에서 이 집까지 오자면 가파른 언덕길을 허덕이며 올라와야 한다.
처음 오는 사람 중에는 ‘이 집이 정말 조순의 집이냐? 동명이인이 아니냐?고 묻는 경우도 있다.
아무튼 25년을 한 집에 살고 있는 사람은 이 마을에 나밖에 없다.
아이들은 날보고 이사를 가자고 한다.
좀 더 넓은 곳, 편한 곳으로 가자고 한다.
자기들이 모시겠다는 뜻인 것 같다.
그럴 때마다 나의 대답은 한결 같다.
“여기가 어떻다고 이사를 간단 말이냐?
불편한 점도 있지만 좋은 점도 많다.
다소의 불편은 참고 지내야지, 사람은 너무 편해도 못 써.
어딜 가도 먹는 나이는 막을 수 없고, 인생의 황혼은 짙어지는 법.
지난 25년의 파란 많은 세월을 이 집에서 사고 없이 지냈고,지금도 건강이 유지되고 있으니,
그만하면 됐지, 내겐 이 집이 좋은 집이야.”
이 집에는 좁은 대지에 나무가 많다.
모두 내가 심은 나무들이다.
해마다 거름을 주니, 나무들은 매우 잘 자라서 이제 이 집은 숲 속에 묻혀 버렸다.
감나무엔 월등히 좋은 단감이 잘 열리고,
강릉에서 가지고 온 토종 자두나무는 꽃도 열매도 고향 냄새를 풍긴다.
강릉에서 파온 대나무도 아주 무성하고,
화단은 좁지만 사계절 꽃이 핀다.
이 집과 나무, 그리고 화단은 아침저녁 내게 눈짓한다.
“당신이 이사를 간다구요? 가지 마시오!”
지난 25년의 파란이 압축된 이 애물단지!
내게 이런 것이 어디 또 있겠는가?
버리기는 어려울 것 같다.
2016. 08.
저도 봉천동 살아요, 조순 시장님~~~
저도 여기 이 아파트에서 오래오래 살고 있어요~~~분양받아서 지금까지요~~~*^^*
아마 앞으로도 이사 못 갈 것 같아요, 지금 우리집이 제일 쌀 걸요, 이 근처에서??? *^^*
분양받은 후로 별로 오르지는 않았지만 괜찮아요, 여기에서 저도 잘 살았거든요!!!
앞으로는 역모게지 해서 계속 살 겁니다. ㅎ~
21년 전, 삼풍백화점 무너진 그날, 하마터면 조순시장님을 직접 뵐 뻔 했었는데...
다리 부러져서 수술하고 입원실에 있는 바람에 못 내려가서 못 뵈었어요~(그날이었거든요!)
얼마나 아쉬웠었는지요~*^^*
조순 시장님, 글 감사합니다~~~*^^*
존경할 수 있는 어른이 계심은 참 행복하고 감사한 일입니다!!!
감사합니다~*^^*
봉천동 주민, 이경화 올림 *^^*
(어쩌다 성공의 의미가 이상야릇하게 바뀐 것일까요?...쩝!)
'이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생을 독립군에 바쳤던 '가려진 장군' 최운산 (조선일보, 오현영) (0) | 2017.03.12 |
---|---|
신학자 본훼퍼 (CBS) (0) | 2017.02.23 |
이근후 교수의 [마지막 10년 맞을 나에게 쓰는 편지] (조선일보) (0) | 2014.12.05 |
3[바버라 부시] 바바라 부시 여사 장례식 (조선일보) (0) | 2014.05.24 |
[스크랩] 이병철 회장과 미꾸라지 (0) | 201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