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위기]

[16]먹을 수 있는 짐승들 (레위 11:1~23) (CBS)

colorprom 2015. 4. 11. 18:35

먹을 수 있는 짐승들 2013년 4월 23일 화요일


레위기 11:1~11:23

 

여호와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육지의 모든 짐승 중 너희가 먹을 만한 생물은 이러하니

 

모든 짐승 중 굽이 갈라져 쪽발이 되고 새김질하는 것은 너희가 먹되

새김질하는 것이나 굽이 갈라진 짐승 중에도 너희가 먹지 못할 것은 이러하니

 

낙타는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사반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토끼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돼지는 굽이 갈라져 쪽발이로되 새김질을 못하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니

너희는 이러한 고기를 먹지 말고 그 주검도 만지지 말라 이것들은 너희에게 부정하니라

 

물에 있는 모든 것 중에서 너희가 먹을 만한 것은 이것이니

강과 바다와 다른 물에 있는 모든 것 중에서 지느러미와 비늘 있는 것은 너희가 먹되

물에서 움직이는 모든 것과 물에서 사는 모든 것 곧 강과 바다에 있는 것으로서

지느러미와 비늘 없는 모든 것은 너희에게 가증한 것이라

이들은 너희에게 가증한 것이니 너희는 그 고기를 먹지 말고 그 주검을 가증히 여기라

수중 생물에 지느러미와 비늘 없는 것은 너희가 혐오할 것이니라

 

새 중에 너희가 가증히 여길 것은 이것이라 이것들이 가증한즉 먹지 말지니

곧 독수리와 솔개와 물수리와 말똥가리와 말똥가리 종류와 까마귀 종류와

타조와 타흐마스와 갈매기와 새매 종류와 올빼미와 가마우지와 부엉이와

흰 올빼미와 사다새와 너새와 황새와 백로 종류와 오디새와 박쥐니라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다니는 곤충은 너희가 혐오할 것이로되

다만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다니는 모든 곤충 중에

그 발에 뛰는 다리가 있어서 땅에서 뛰는 것은 너희가 먹을지니

곧 그 중에 메뚜기 종류와 베짱이 종류와 귀뚜라미 종류와 팥중이 종류는 너희가 먹으려니와

오직 날개가 있고 기어다니는 곤충은 다 너희가 혐오할 것이니라

 

 

성경 길라잡이

 

육지의 모든 짐승 중(2절):

창조 이야기에 나오는 세 가지 영역,

곧 땅, 물, 공중에 따라 이스라엘 백성이 먹을 수 있는 생물들이 정해지는데,

먼저 땅의 짐승 중 먹을 수 있는 것은 굽이 갈라지고 새김질하는 동물들이다.


물에 있는 모든 것 중(9절), 새 중에(13절):

어류 가운데서는 지느러미와 비늘이 있는 것만 먹고,

조류 가운데서는 육식을 하고 사체를 먹는 새나 날지 못하는 새들은 먹을 수 없었다.

기어 다니는 곤충들도 먹을 수 없었다.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의 구분: 이에 대한 정확한 기준을 발견하기는 힘들다.

다만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은

하나님의 창조 영역인 땅, 물, 공중에 합당한 이동 수단을 가진 동물들은 정하고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땅에서 걷는 동물, 물에서 헤엄치는 고기, 공중에서 나는 새들인데,

여기서 피를 흘리고 사체를 먹는 맹금류는 제외된다.

 

먹을 수 있는 짐승들 2013년 4월 23일 화요일

 

제사장의 위임이 끝난 후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정하고 부정한 것의 구별에 대하여 말씀하십니다.

 

특히 오늘 본문에서는

먹을 수 있는 동물과 관련해 세 가지 영역, 곧 땅, 물, 공중에 속한 동물들을 분류합니다.

비록 본문에서 먹을 수 있다고 하는 동물들을 정확하게 분류하기는 어렵지만,

중요한 것은 이렇듯 정함과 부정함에 대한 구체적인 하나님의 지침이 있었고,

동시에 그에 대한 순종이 요구되었다는 것입니다.

비록 예수님의 오심으로 말미암아 구약시대의 음식법은 오늘날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지만,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를 통해

하나님의 명령과 그 명령에 순종하는 것을 날마다 학습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로써 이방 민족들과 구별되는 하나님 나라 백성의 독특한 표지를

매순간 상기하고 확인했을 것입니다.

 

그러면 오늘날에는 무엇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까요?

다양한 이야기들을 할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 성찬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비록 안타깝게도 오늘날 교회에서는 여러 가지로 이유로 성찬이 자주 시행되고 있지 않지만,

성찬을 통해서 우리는 하나님의 명령과 그 명령에 대한 순종을 학습하며,

나아가 세상과 구별되는 그리스도인의 표지를 상기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편 하나님께서 부정하고 가증하니 먹지 말라고 하신 동물들은

대개 그 고유한 존재 양식, 즉 땅, 물, 공중에서 존재해야 하는 독특한 방식에서 벗어난 것들입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 역시도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서 존재해야 하는 독특한 방식에서 벗어날 때

부정하고 가증한 자가 될 것입니다.

 

묵상질문

 

- 본문에서 부정하거나 가증한 것, 혐오해야 하는 것들은 어떤 것들입니까?

- 거기서 중요한 특징들을 찾아봅시다

 

- 이스라엘 백성은 이러한 음식법을 통해 어떤 교훈을 얻었겠습니까?

 

기도

 

+ 오늘날 교회들에서 성찬의 의미와 중요성이 회복되게 하시고,

그로써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명령과 그에 대한 순종을 학습하며

나아가 참되고 거룩한 하나님 나라 백성의 표지를 상기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