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의미에 충실하십시오 2013년 11월 21일 목요일
고전 11:17~34
17 내가 명하는 이 일에 너희를 칭찬하지 아니하나니 이는 너희의 모임이 유익이 못되고 도리어 해로움이라
18 먼저 너희가 교회에 모일 때에 너희 중에 분쟁이 있다 함을 듣고 어느 정도 믿거니와
19 너희 중에 파당이 있어야 너희 중에 옳다 인정함을 받은 자들이 나타나게 되리라
20 그런즉 너희가 함께 모여서 주의 만찬을 먹을 수 없으니
21 이는 먹을 때에 각각 자기의 만찬을 먼저 갖다 먹으므로 어떤 사람은 시장하고 어떤 사람은 취함이라
22 너희가 먹고 마실 집이 없느냐 너희가 하나님의 교회를 업신여기고 빈궁한 자들을 부끄럽게 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무슨 말을 하랴 너희를 칭찬하랴 이것으로 칭찬하지 않노라
23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24 축사하시고 떼어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25 식후에 또한 그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이르시되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26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그가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27 그러므로 누구든지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하지 않게 먹고 마시는 자는
주의 몸과 피에 대하여 죄를 짓는 것이니라
28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
29 주의 몸을 분별하지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
30 그러므로 너희 중에 약한 자와 병든 자가 많고 잠자는 자도 적지 아니하니
31 우리가 우리를 살폈으면 판단을 받지 아니하려니와
32 우리가 판단을 받는 것은 주께 징계를 받는 것이니
이는 우리로 세상과 함께 정죄함을 받지 않게 하려 하심이라
33 그런즉 내 형제들아 먹으러 모일 때에 서로 기다리라
34 만일 누구든지 시장하거든 집에서 먹을지니 이는 너희의 모임이 판단 받는 모임이 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
그밖의 일들은 내가 언제든지 갈 때에 바로잡으리라
성경 길라잡이
너희 중에 파당이 있어야 너희 중에 옳다 인정함을 받은 자들이 나타나게 되리라(19절):
- 고든 피(G.D.Fee)는 이 말을 “이 편지에 있는 가장 어려운 수수께끼 중 하나”라고 부른다.
- 앤토니 티슬턴은 “파당이 불가피하다”라는 말은 예배 처소를 제공했던 집 주인들의 입장에서
주의 만찬이 거행되던 방식을 두고 내놓은 변명의 말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주장한다.
- 김세윤은 이 말이 냉소적인 말로써 ‘그런 것이 없어야 하지만, 너희들 가운데 그런 것이 있다니
그럴 바에야 올바른 자들을 드러내는 기능이라도 했으면 좋겠다.’라는 뜻이라고 말한다.
너희가 먹고 마실 집이 없느냐……빈궁한 자들을 부끄럽게 하느냐(22절):
부자 그리스도인들은 많은 음식을 가지고 와서,
일과를 끝내고 늦게 도착할 수밖에 없고 별로 음식을 준비해 올 수 없는 노예나 가난한 형제들을
기다리지 않고 먹고 마시고, 나중에 온 가난한 사람들은 먹을 것이 없어 배고프게 되어,
가난한 사람들을 부끄럽게 만들었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으로 하나가 되게 하신 것과는 정반대로 분열을 일으키는 것이 되었다.
진정한 의미에 충실하십시오 2013년 11월 21일 목요일
성만찬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하나됨을 상징하고 또 그것을 성도들 안에서 강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런데 오히려 사회적 계층이 이런 은혜의 예식에서 차이를 초래하게 하는 것은
도무지 있어서는 안 될 일입니다.
우리는 성경이 가르치는 예식의 진정한 의미를 우리의 가슴에 깊이 새겨,
참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하나 됨을 지켜가야 할 것입니다.
성찬은 주의 죽으심을 기억하는 예식입니다.
이 예식이 거행될 때마다 주의 죽음과 부활이 주의 재림 때까지 선포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주의 죽음을 선포하는 예식일 뿐만 아니라, 주의 재림을 기대하는 예식이기도 합니다. 또한
이 예식은 주의 죽으심을 통하여 이루어진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하나 됨을
체험하고 선포하는 예식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성찬예식을 통해 용서받음을 확인할 뿐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어떤 차별도 없이 다른 형제를 용서하고 용납하며
진정한 교제를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거행되는 성찬에 참여할 때마다 주님께서 가르치신 이 진정한 의미를 가슴에 새기고 누려야 합니다.
성찬뿐만이 아닙니다.
사실 우리는 종종 예배의 이름으로 모이기는 하지만,
더 이상 예배행위로 간주할 수 없는 모습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나님을 찬양하는 시간도 자축과 서로를 위한 향응의 시간으로 변질되기도 합니다.
단순히 형식으로 참여하거나 자기 마음대로 해보려는 시도는
하나님께서 주신 예배의 진정한 의미를 망각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풍성한 은혜와 삶을 누리지 못하게 합니다.
우리가 드리는 예배의 모든 요소들의 진정한 의미를 잘 깨달음으로,
그리스도의 몸 된 말할 수 없는 감격을 경험하기를 바랍니다.
최후의 만찬 (2018년 3월 29일 목요일) (고넌 11:23~26)
예수님은 3년 남짓 자신과 생사고락을 같이 해온 사랑하는 제자들과 함께 마지막 만찬을 하셨습니다.
그 만찬이 곧 성만찬의 기원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사도 바울은 성만찬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빵을 들어서 감사를 드리신 다음에 떼시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다.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억하여라.'
식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시고서 말씀하셨습니다.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다. 너희가 마실 때마다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억하여라.'
그러므로 여러분이 이 빵을 먹고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님의 죽으심을 그가 오실 때까지 선포하는 것입니다."(고전11:23-26, 새번역)
사도 바울은 예수님의 피를 언급하며 "새 언약"이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전달합니다.(막14:24, 고전11:25)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르면 죽음의 재앙을 피할 수 있으리라는 언약의 사건을 기억하는 절기입니다. 이스라엘의 유월절은 짐승의 피로 세운 언약에서 비롯되었지요.
예수님의 피는 그 언약의 사건을 상기하되 새로운 언약을 상징합니다.
사도 바울은 주님의 몸을 먹고 주님의 피를 마실 때마다 주님을 기억할 것을 강조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주님의 희생적 사랑을 반드시 기억하여야 합니다.
그 은혜를 가슴 깊이 새깁시다.
+ 주여, 주님의 몸과 피로 세운 새 언약이 우리 안에 살아있게 하소서. 아멘.
묵상질문
- 왜 주의 만찬에서 분쟁이 있게 되었습니까?
- 성찬 속에 담긴 서약과 약속을 맹세하면서도 진심으로 참여하지 않는 사람은 어떤 결과를 초래합니까?
기도
- 예배와 삶에서 성찬의 깊은 감격을 누리기를 소원합니다.
- 말씀이 가르치는 바른 가치를 깨달아 그리스도인의 감격을 누리며 세상에 보여내기를 기도합니다.
'+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비교와 경쟁은 성령님의 뜻이 아닙니다/고전12:12~12:30 / (CBS) (0) | 2013.11.27 |
---|---|
[25]교회의 유익을 위해 은사를 사용하십시오/고전12:1~11 /(CBS) (0) | 2013.11.22 |
[23] 예배의 초점이신 하나님께만 집중할 수 있게 하십시오. /고전 11:2~16 /(CBS) (0) | 2013.11.20 |
[22]사랑을 위해 자유를 유보하십시오 /고전10:23~11:1 /(CBS) (0) | 2013.11.19 |
[21]언약적 충성의 맹세를 지키십시오/고전10:14~22/(CBS) (0) | 2013.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