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느헤미아

[느] 다양성이 전제된 통일성/느 3:1~3:15(CBS)

colorprom 2013. 1. 7. 11:47

날마다 주님과 장년
다양성이 전제된 통일성 2013년 1월 4일 금요일
찬송
1장 (통 1장)
성경
느헤미야 3:1~3:15
1   그 때에 대제사장 엘리아십이 그의 형제 제사장들과 함께 일어나 양문을 건축하여 성별하 고 문짝을 달고 또 성벽을 건축하여 함메아 망대에서부터 하나넬 망대까지 성별하였고
2   그 다음은 여리고 사람들이 건축하였고 또 그 다음은 이므리의 아들 삭굴이 건축하였으며
3   어문은 하스나아의 자손들이 건축하여 그 들보를 얹고 문짝을 달고 자물쇠와 빗장을 갖추었고
4   그 다음은 학고스의 손자 우리아의 아들 므레못이 중수하였고 그 다음은 므세사벨의 손자 베레갸의 아들 므둘람이 중수하였고 그 다음은 바아나의 아들 사독이 중수하였고
5   그 다음은 드고아 사람들이 중수하였으나 그 귀족들은 그들의 주인들의 공사를 분담하지 아니하였으며
6   옛 문은 바세아의 아들 요야다와 브소드야의 아들 므술람이 중수하여 그 들보를 얹고 문짝을 달고 자물쇠와 빗장을 갖추었고
7   그 다음은 기브온 사람 믈라댜와 메로놋 사람 야돈이 강 서쪽 총독의 관할에 속한 기브온 사람들 및 미스바 사람들과 더불어 중수하였고
8   그 다음은 금장색 할해야의 아들 웃시엘 등이 중수하였고 그 다음은 향품 장사 하나냐 등이 중수하되 그들이 예루살렘의 넓은 성벽까지 하였고
9   그 다음은 예루살렘 지방의 절반을 다스리는 후르의 아들 르바야가 중수하였고
10   그 다음은 하루맙의 아들 여다야가 자기 집과 마주 대한 곳을 중수하였고 그 다음은 하삽느야의 아들 핫두스가 중수하였고
11   하림의 아들 말기야와 바핫모압의 아들 핫숩이 한 부분과 화덕 망대를 중수하였고
12   그 다음은 예루살렘 지방 절반을 다스리는 할로헤스의 아들 살룸과 그의 딸들이 중수하였고
13   골짜기 문은 하눈과 사노아 주민이 중수하여 문을 세우며 문짝을 달고 자물쇠와 빗장을 갖추고 또 분문까지 성벽 천 규빗을 중수하였고
14   분문은 벧학게렘 지방을 다스리는 레갑의 아들 말기야가 중수하여 문을 세우며 문짝을 달고 자물쇠와 빗장을 갖추었고
15   샘문은 미스바 지방을 다스리는 골호세의 아들 살룬이 중수하여 문을 세우고 덮었으며 문짝을 달고 자물쇠와 빗장을 갖추고 또 왕의 동산 근처 셀라 못 가의 성벽을 중수하여 다윗 성에서 내려오는 층계까지 이르렀고
성경길라잡이
  그 때에 대제사장 엘리아십이……하나넬 망대까지 성별하였고(1절) : 성벽 재건은 대략 40여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 이루어졌다. 이는 느헤미야의 지도력 아래 성벽 재건이라는 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여기서 ‘양문’은 성벽의 북쪽 모퉁이를 말하고, 함메아와 하나넬 망대는 북쪽 성벽의 망대들을 말한다.
그 다음은 드고아 사람들이……분담하지 아니하였으며(5절) : 드고아 귀족들이 참여를 거절한 이유는 분명치 않지만, 아마도 새로운 지도력에 대한 반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당시 광범위한 유다 공동체 내에서 의견 대립이 공공연히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은 금장색 할해야의 아들……넓은 성벽까지 하였고(8절) : 성벽 재건 그룹들은 대부분 가족 또는 지역적 유대로 모인 그룹들이었는데, 여기 나타나는 ‘금장색’과 ‘향품 장사’는 직업적 연합체로 모인 그룹들도 있었음을 보여준다.
 
묵상과 삶
  3장은 조금은 과하다 싶을 정도로 자세히 성벽 재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성벽 재건에 있어 유다 공동체가 보여준 두 가지 중요한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의도나 목적의 통일성이고, 다른 하나는 관심과 활동의 다양성입니다. 즉 유다 공동체는 자신들의 관심이나 이익과 관련하여 자발적으로 성벽 재건이라는 한 목표에 참여했던 것입니다.

통일성과 다양성은 공동체의 두 가지 중요한 특징입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를 균형 있게 담아내는 공동체는 매우 드뭅니다. 특히 다양성의 문제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다양성은 보기에는 물론이거니와 일의 능률이나 효과에 있어서도 좋지 않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그래서 공동체에서는 종종 가능하면 다른 부분들은 제거하고 같은 부분들만 유지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억지로 끼워 맞춘 옷에 모두가 불편을 느끼고 결국에는 임계점에 도달해 분열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실 다양성은 하나님의 창조가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공동체가 풍성해지는 중요한 도구이기도 하며, 또한 공동체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기제이기도 합니다. 오늘날 점점 더 다양화되는 사회에서 세상은 공동체의 다양성을 깨닫고 앞서 나가고 있는데, 교회와 하나님나라는 여전히 존재적 통일성에만 집착한 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모양새를 띠고 있습니다. 좀 더 넓고 포용적이며 겸손한 자세로 나와 다름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데서 우리의 통일성은 더욱 아름답게 완성될 것입니다.
 
1.5.3 묵상질문
1   성벽 재건에는 어떠한 사람들 또는 그룹들이 참여했고, 또 그들의 관심사는 무엇이었겠습니까?
5   공동체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특히 내가 동의하지 못하는) 관심사나 활동들에 대해 어떤 자세가 바람직하겠습니까?
3   -
기도
 
  나와 다른 것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버리고 좀 더 겸손하고 관용하는 자세로 대할 수 있게 해주십시오.
교회와 하나님나라가 편협한 통일성에 매몰되지 않고 다양성을 통해 확장되어 가게 해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