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신문]

2022년 8월 4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colorprom 2022. 8. 4. 14:19

2022년 8월 4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코로나 정점 당초 예상보다 절반 수준 예상

재감염률 낮고 4차 접종 많아 유행 규모 감소에 영향.

이번 6차 유행 정점 시기도 이번 주 또는 다음 주 될 것 전망도. (세계)

2. 반도체 매출 압도적 1위... 한국, 대만 아닌 미국

반도체 시장은 메모리 반도체가 35~40%, 시스템 반도체가 60% 정도 비중.

미국은 시스템 반도체 칩 설계에서 강세.

인텔, 엔비디아, 퀼컴 등의 활약에 전체 반도체 시장의 49.3%를 점유해 1위.

메모리 반도체에 강자인 한국은 19.3%로 2위,

파운드리(위탁생산) 강자인 대만은 3위 5.9%. (아시아경제)

3. ‘바이오베터’

제약 업계에서 오리지널 약품의 특허 종료 후 각 제약 회사가 만드는 복제약(시밀러) 중

약효나 투여 방법, 부작용 등에서 오리지널보다 개선된 약을 말한다. (아시아경제)

4. ‘정상’이 드문 정당 정치... → 주요 3당 모두 비대위 체제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 결의.

민주당 역시 대선 이후 윤호중, 박지현, 우상호 비대위 이어져.

정의당 또한 이은주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아 비대위 체제로 운영 중. (헤럴드경제)

5. 태풍이 몰고 온 습기 탓 체감온도 3도 이상 높아

체감온도는 습도, 바람에 주로 좌우되는데

여름철 습도 10% 증가 시마다 체감 온도는 1도가량 올라간다. (문화)

6. 비싼 수입차가 더 잘 팔린 이유?

올 상반기 수입차 판매는 13만 1009대로 전년보다 11.3% 감소,

반면 1억 이상은 3만 4055대로 역대 최고,

전체 수입차 중 1억 이상 비중도 26%로 3.2%P 늘어.

 

탈세를 막기 위해 법인 차 번호판 색상 교체 추진설에

법인들, 고가 수입차 구입을 늘렸다는 분석도 나와. (문화)

7. 재확산 속 폭증하는 ‘숨은 확진’

의료 현장, ‘증상 있어도 자가 검사에서 두 줄 나와도 검사를 받지 않겠다는 환자도 있다’.

의료진도 PCR 강요 못 해 약만 처방해 주는 상황... (서울)

8. 한국은행, ‘주택시장 리스크’ 보고서

기준금리 1% 포인트 오르면 2년 뒤 집값이 최대 2.8% 하락한다는 연구 결과.

지금의 전국 주택가격은 소득, 임대료와 비교했을 때 과거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어

고점에 다다랐다는 인식도. (서울)

9.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용 해저터널 공사 4일 본격 시작될 듯

한, 중 우려와 일본 현지 어민들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 인가에 이어 원전 소재 지자체도 터널 공사 허가.

1km 터널 공사 8~9개월이 소요 전망. (매경)

10. 붓기·댓가·갯수(X), 부기·대가·개수(O) → 한글 맞춤법에선

한자로만 된 말에는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 것이 원칙.

이 세 말은 모두 한자어 浮氣, 對價, 個數로 사이시옷 없이 ‘부기, 대가, 개수’로 써야 한다.

(뉴스1)


*한자말이지만 사이시옷을 넣는 예외 6가지

횟수(回數), 숫자(數字), 셋방(貰房), 곳간(庫間), 툇간(退間), 찻간(車間.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