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남북] 서해 여섯 용사 ‘리멤버 357′
예비역 해군 대위 윤두호(80)씨는 서울 강동구 보훈병원에 1년 넘게 입원 중이다.
2002년 6월 29일 제2 연평해전에서 스물여덟 꽃다운 나이에 전사한
참수리 357호 정장 윤영하 소령의 아버지다.
지난해 봄 뇌졸중으로 쓰러져 팔다리를 제대로 쓰지 못해 재활 치료를 받는 윤씨는
“20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영하가 너무도 그립다”고 했다.
“군인 자식 둔 아비, 어미로서 감당해야 할 일”이라며
오열하는 유가족을 담담하게 다독여왔던 그였기에,
수화기 너머 떨리는 음성과 울먹임이 예사롭지 않았다.
그는 “제2 연평해전이 잊힌 전쟁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했다.
대통령이 기념식에 참석한 건 2012년 10주기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윤 소령 어머니 황덕희씨는
“속상하고 답답할 때마다 악물어 어금니가 조각난 지 오래”라고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wg3gk/btrEdSIDzcQ/vwecvFBYE7CKuqVo7MYUiK/img.jpg)
2022년 6월 대한민국은 스무해 전 한일 월드컵 ‘4강 신화’의 열기와 감동을 되새기고 있다.
축구 대표팀과 브라질의 친선 경기가 열린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선
‘어게인 2002′ 문구가 관중석에서 물결쳤다.
20년 전 한국과 터키의 3·4위 결정전이 열린 날,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에 맞서 산화한 여섯 용사를
지금 우리는 얼마나 기억하고 있을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메모리얼 데이(미국 현충일)인 지난달 30일 알링턴 국립묘지를 찾아
“민주주의는 옹호해 줄 투사들이 필요하다.
군인과 가족들이 겪은 희생을 잊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본보기 중 한 명으로 꼽은 링컨 대통령은
1863년 11월 19일 게티즈버그 연설에서
“용사들이 이곳에서 이뤄낸 것을 (세상은) 결코 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들의 사명에 헌신하자”며 ‘남은 이들의 의무’에 대해 이야기했다.
러시아 침공에 100일 넘게 맞서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개전 초 수도 키이우 병원을 찾아 부상병에게 훈장을 수여하고 악수하며
결사 항전 의지를 다지는 장면은
4300만 우크라이나 국민이 하나로 뭉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했다.
지난달에는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게 불렀다.
희생자를 기억하고 유가족의 아픔을 공유하며 국민 통합을 위해 한 걸음 내디딘
의미 있는 시도라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윤 대통령은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더 이상 영웅들의 희생이 남겨진 가족의 눈물로 이어져서는 안 될 것”이라고 했다.
재임 중 제2 연평해전 기념식에 단 한 번도 참석하지 않은 전임 대통령과는 결이 다른 행보다.
오는 29일 20주년 기념식은
‘국가 안보와 국토 방위의 신성한 의무’(헌법 5조 2항)를 사수(死守)한 6 용사에게
군 통수권자가 ‘기억의 의무’를 다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위협에 맞서
‘싸우면 반드시 이기겠다는 의지’를 다지는 결의 시간으로 삼아야 한다.
윤 대통령이 이달 말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담 참석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들린다.
한 유가족은 “정상회담과 날짜가 겹친다면 기념식 일정을 하루 이틀 조정해도 괜찮을 것”
이라며 “대통령이 꼭 참석해 많은 사람이 기억하는 자리가 되길 간절히 원한다”고 말했다.
유가족 곁을 오래 지켜온 추모본부의 구호는 ‘리멤버 357′이다.
영웅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는 뜻이다.
윤영하·한상국·조천형·황도현·서후원·박동혁 ‘연평 6용사’ 이름을 딴 고속함 6척이
서해 파도를 가르는 가운데,
군 통수권자인 윤 대통령이 이들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주는 모습을 기대한다.
♠[더 한장] 외면당한 영웅들 “그동안 다른 현충일을 맞이했다”
- 나라를 위해 희생된 영웅들에 대한 국가의 태도
![](https://blog.kakaocdn.net/dn/kKHh0/btrEgvgDwje/CHkBGjdcg7VOMZe14MxAt1/img.jpg)
“천안함 폭침에 대한 대통령의 입장을 밝히라”
불과 1년전 현충일에 행사장에서 기자는 기이한 상황을 목격했습니다.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과 생존 장병들이 천안함 폭침에 대해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을 알려달라는 시위가 열린 것입니다.
현충일 추념식에 초대받지 못한 그들은
청와대 경호실과 경찰들이 막아놓은 울타리에 막혀 행사가 모두 끝나고 문 전대통령이 떠난 후에
현충탑을 찾아 참배할 수 있었습니다.
나라를 위해 우리 바다를 지키다 전우들이 희생되고 살아 남았어도
현충일에 초대받지 못한 영웅들이 지구상에 또 어디에 있을까요?
최원일 전 함장은 기자에게 “그동안 같은 나라, 같은 장소에서 다른 현충일을 했다”면서
“다시는 국가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이 피켓을 들고 거리로 나가는 일은 없어야 한다”라고 했습니다.
오는 9일 윤석열 대통령은 최원일 전 함장과 천안함 생존 장병들,
연평해전과 북한 목함지뢰 도발 희생자 가족 등을 초청해서 오찬을 가질 예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HJFBI/btrEdSRmDVY/FU3n5rWmSU9lqKNz9r5Zl0/img.jpg)
'세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광일]죄와 벌은 공평해야 (0) | 2022.06.10 |
---|---|
[김규나] [165] 전과자 수두룩한 국회 (0) | 2022.06.08 |
[검수완박]검사 출신 野 의원들의 서글픈 뒷모습 (0) | 2022.06.07 |
인생은 50부터, 스티븐 앨커 (0) | 2022.06.07 |
북한과 싸우는 자유인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