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9.25 06:18 | 수정 2019.09.25 08:24
민주당이 장악한 미국 하원이
24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공식적인 탄핵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2020년 대선주자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 부자(父子)에 대한 비리 조사를 압박했다는
이른바 ‘우크라이나 의혹’이 탄핵 사유가 될 수 있다고 판단, 탄핵 절차에 전격 돌입한 것이다.
이날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이날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공식 조사를 개시하겠다고 밝혔다.
펠로시 의장은
"나는 오늘 하원이 공식적인 탄핵 조사를 추진한다는 것을 발표하며
6개의 상임위가 관련 조사를 진행할 것을 지시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크라이나 의혹을 언급하며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바이든 전 부통령을 중상모략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도움을 요청했는지를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정상과의 부적절한 통화로 헌법적 책무를 저버렸다"며
"아무도 법 위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25일 갓 취임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25일 갓 취임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의 아들 헌터 바이든에 대한 비리 조사를 하라고 여러차례 압박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통화가 이뤄진 시기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2억5000만달러 규모 군사 원조를 보류하고 있었던 때로
군사 원조를 빌미로 외국 정상에게 압력을 가했을 수도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의 아들과 관련된 의혹은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의 아들과 관련된 의혹은
2016년 우크라이나 검찰이 당시 바이든의 아들이 이사로 있던 우크라이나 에너지 회사
부리스마홀딩스를 비리 혐의로 조사하려고 하자 바이든이 이를 무마하려 했다는 내용이다.
당시 부통령이었던 바이든은 빅토르 쇼킨 우크라이나 검찰총장이 부패 사건들을 은폐해왔다며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이후 쇼킨 검찰총장이 해임돼 바이든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바이든은 쇼킨의 해임이 자신과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으며 우크라이나 당국도 이를 인정했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와의 내통 의혹인 ‘러시아 스캔들’ 이후로 계속해서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와의 내통 의혹인 ‘러시아 스캔들’ 이후로 계속해서
‘탄핵 만이 최후의 해결책’이라고 주장해 왔던 민주당은
이번 우크라이나 의혹을 계기로 탄핵
공세를 높여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던 펠로시 의장 마저 공식적인 탄핵 조사를 지시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궁지에 몰리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탄핵 추진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탄핵 추진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빌 클린턴과 리처드 닉슨에 이어 세 번째로 임기 중 사임하는 사례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 트럼프 탄핵 이슈 커지나…韓증시 장초반 약세전준범 기자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