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 반군 "우리가 생산시설 공습" 미국은 공격 배후로 이란 지목, 세계 원유 공급량 5% 일시 감소
석유수출국기구(OPEC)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핵심 석유 시설이 14일(현지 시각) 친(親)이란계 군사 세력의 드론(무인기) 공격을 받아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중동 정세가 급격히 악화되고, 사우디 산유량의 절반이 생산 차질을 빚게 돼 국제 유가가 급등할 전망이다.
AP통신은 이날 새벽 4시 세계 최대 석유 회사인 아람코가 보유한 사우디 동부 아브카이크 석유단지와 사우디에서 둘째로 큰 유전인 쿠라이스 유전 등 2곳이 드론 공격을 받아 불길이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사우디 내무부는 피해를 복구할 때까지 아브카이크 단지와 쿠라이스 유전의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압둘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은 국영 SPA통신을 통해 "아브카이크 단지와 쿠라이스 유전의 가동 중단으로 사우디 전체 산유량의 절반인 하루 570만배럴의 원유 생산이 차질을 빚게 됐다"고 밝혔다. 570만배럴은 세계 원유 공급량의 5%에 해당한다. 드론 공격 직후 예멘의 후티 반군은 자체 방송을 통해
"사우디의 석유 시설을 10대의 드론으로 타격하는 데 성공했으며 앞으로 공격 대상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후티 반군은 이란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이란과 앙숙인 사우디와 군사적으로 대치해왔다.
미국 정부는 이번 공격을 사실상 이란이 저지른 것으로 규정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란은 세계 에너지 공급에 대해 전례 없는 공격을 저질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