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6.28 03:11
'evolution'이라는 영어를 진화(進化)라고 옮기는 데 이의를 다는 사람은 이제 없다.
그러나 한자 문화권에서 이 단어를 번역하는 과정은 간단치 않았다.
그런 개념 자체가 거의 없었던 까닭이다.
메이지(明治) 때 일본은 이를 '진화'로 옮겼지만, 청말(淸末)의 중국은 '천연(天演)'이라고 적었다.
토머스 헉슬리의 '진화와 윤리(Evolution and Ethics)'라는 책에 자신의 관점을 곁들여
'천연론(天演論)'으로 번역한 엄복(嚴復·1854~1921)이 주인공이다.
그는 생명체들의 경쟁을 물경(物競), 자연의 선택을 천택(天擇)으로 적었다.
그리고 다툼 끝에 살아남는 일을 최적자존(最適者存)으로 적었다.
생존경쟁(生存競爭), 자연도태(自然淘汰), 적자생존(適者生存) 등
일본이 옮겨 지금 우리가 쓰는 말들의 초기 중국어 번역이다.
서구의 문명을 보는 경이와 충격, 이어 우리도 각성하자는 차원의 사고가 배어 있는 역어들이다.
서구의 문명을 보는 경이와 충격, 이어 우리도 각성하자는 차원의 사고가 배어 있는 역어들이다.
그러나 일본의 '진화'에 비해 중국의 '천연'은 위기의식을 조금 더 짙게 담고 있다는 평을 받는다.
'진화'는 능동적인 사고를 담았다.
경쟁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관념이며 전반적 서구화(西歐化)를 지향한다.
그에 비해 '천연'은 자연의 선택을 중시한다.
좀 더 수동적이며, 중국과 서양의 문명적 성과를 융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엄복은 '천연론'에서 경쟁과 다툼을 통한 진화는 피할 수 없는 과정이지만,
국민의 윤리의식을 일깨워 단합을 이룬다면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실현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천연론'은 현대 중국 지식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개혁·개방을 추진했지만 민주와 자유 등 서구의 가치체계에는 아주 냉담한 현재 공산당의 지향도
공교롭게 그 틀이다.
그러나 evolution의 번역에서 '진화'가 '천연'을 도태시킨 지 오래다.
이 점은 지금의 중국에 어떤 의미일까.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