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 세상]

[중국]인구 쇼크에 6% 성장도 어려워지는 중국

colorprom 2019. 1. 21. 20:51

[차이나포커스] 인구 쇼크에 6% 성장도 어려워지는 중국


조선일보
                             
             
입력 2019.01.21 03:12

노동 가능 인구 7년 전부터 매년 수백만명씩 감소하고 있어
景氣 진작책에도 성장률 하락기업도 시장 변화 적응해야

최유식 중국전문기자
최유식 중국전문기자


공식 발표는 나오지 않았지만 미·중 무역 전쟁이 벌어진 지난해 중국 경제성장률은 6.5~6.6% 정도가 될 것으로 중국 국내외 기관들은 추정한다. 2017년(6.9%) 대비 낮아졌지만 중국 정부 목표(6.5%) 달성에는 큰 문제가 없는 수치이다. 그런데도 중국 당국은 연초부터 초조한 기색이 역력하다. 돈을 풀어 경기(景氣)를 진작시키기 위한 조치를 쏟아내고 있다. 성장률의 내막을 들여다보면 심각한 부분이 적잖은 탓이다.

미·중 간에 거친 관세 보복 조치가 오갔지만 수출은 문제가 없었다. 중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은 4784억달러로 2017년에 비해 11% 늘었다. 대미 무역흑자도 17% 오른 3233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관세 보복 조치 발효에 앞서 수출 물량을 밀어낸 요인이 컸다.

문제는 내부에 있었다. 가장 뼈아픈 부분은 소비 부진이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미·중 무역 전쟁이 벌어져도 큰 문제가 없다고 자신해왔다. 중국은 이미 소비의 성장 기여율이 60% 이상인 내수 중심 경제가 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믿었던 소비가 줄줄이 무너졌다. 소비의 양대 축인 신규 주택과 자동차 구매가 모두 전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자동차 판매 감소는 28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스마트폰 판매도 15% 넘게 줄었고 백색 가전업체들도 매출이 줄어든 업체가 속출했다.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중국의 작년 상반기 실질 소매판매 증가율은 7.7%로 1995년 이후 가장 낮았다.

소비 부진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단기적으로는 과잉 생산시설을 줄이고 부채를 축소하는 구조조정의 영향이 컸다. 부동산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가계 부채도 급증했다. 집을 사느라 많은 돈을 빌려서 이자를 갚다 보니 소비 여력도 줄었다. 무역 전쟁으로 증시 폭락과 위안화 가치 급락으로 미래 불안감이 깊어진 측면도 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요인은 노동 가능 인구 감소에 있다. 중국의 소비 증가율이 줄기 시작한 것은 한두 해의 일이 아니다. 2008년 22.7%에 달했던 소비 증가율은 2011년부터 매년 떨어져 2017년 10.2%로 낮아졌다. 작년엔 한 자릿수로 떨어져 8%대에 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노동 가능 인구가 2012년부터 매년 수백만명씩 감소하는 것과 거의 같은 흐름이다.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의 이푸셴 교수는 "현재 중국의 노동 가능 인구와 노인 인구 비율이 1990년대 일본과 매우 비슷하다"고 분석했다. 일본 경제가 저출산으로 1990년대 위기를 맞은 것처럼 중국 경제도 인구 충격에 따른 경제 위기에 봉착했다는 것이다.

중국은 개혁 개방 이후 유지해온 한 자녀 정책을 2016년 포기하고 두 자녀 정책을 도입했지만, 저출산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중국사회과학원은 이달 초 발표한 인구보고서에서 "지금 같은 저출산이 계속되면 2027년부터 중국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현재 출산율은 일본보다 더 낮다.

중국은 연초 은행 지급준비율을 내려 돈을 풀고, 철도 건설 투자를 확대하기로 하는 등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올해 경제성장률은 작년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작년 11월부터 미국의 보복 관세 조치에 따른 수출 위축이 현실화된 데다, 국내 소비·투자 감소 추세도 되돌리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영국 옥스퍼드대 경제연구소는 '중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이 6.1%에 그 치고 내년에는 5.8%가 될 것'으로 봤다. 7~8년 전만 바오바(保八·8%대 성장 유지)를 걱정하던 중국이 이제 바오류(保六)에 매달려야 할 상황이 됐다는 것이다.

성장률 하락은 중국 시장 구조를 바꿔 놓고 있다. 소비 패턴이 과거와 크게 달라지고 기업 간 시장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있다. 이런 중국 시장에 어떻게 적응하느냐에 한국 기업들의 성패가 달렸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0/2019012002207.html


중국 경제 작년 6.6% 성장...28년만에 최저

             
입력 2019.01.21 11:10 | 수정 2019.01.21 15:35

국가통계국, 4분기 성장률 6.4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소비 9% 성장 전년대비 1.2%P 둔화...올해 성장률 목표 6% 이하 관측

중국 경제가 지난해 6.6% 성장에 머물렀다. 중국 정부 목표치(6.5% 안팎)와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지만 텐안먼(天安門) 민주화 사태 충격이 가시지 않았던 1990년(3.9%)이후 28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중국의 부채감축(디레버리징) 정책과 지난해 시작된 미⋅중 무역전쟁이 겹친 탓이라는 지적이다.

닝지저(寧吉喆) 중국 국가통계국 국장은 21일 기자회견에서 2018년 국내총생산(GDP)이 90조 309억위안(약 1경 4675조 367억원)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해 목표치(6.5% 안팎)을 실현했다고 발혔다.

닝 국장은 "작년 경제가 합리적인 구간에서 운행됐다"며 "전체적으로 평온한 성장을 했고 안정속에 진전이 있었다"고 자평했다. 닝 국장은 "6.6% 성장률은 세계 경제규모 상위 5대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으로 중국의 세계 경제성장 공헌도가 30%에 근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가통계국이 지난 18일 2017년 GDP 확정치를 당초 발표치보다 6367억위안(약 103조 7821억원) 낮추면서 성장률을 6.9%에서 6.8%로 떨어뜨려 2018년 성장률 둔화폭이 줄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끄는 소비와 투자 증가율이 지난해 9%와 5.9%로 각각 전년 대비 1.2%포인트, 1.3%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중국 경제가 28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6.6% 성장에 머물렀다. 중국 경제 최대 성장동력이 소비증가세가 지난해 1.2%포인트 둔화된 탓이 크다. 베이징의 까르푸 매장./베이징=오광진 특파원
중국 경제의 작년 4분기 성장률은 6.4%로 예상치와 같았지만 미국발 글로벌금융위기로 흔들렸던 2009년 1분기(6.4%)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밀렸다.

리다오쿠이(李稻葵) 칭화대 경제관리학원 교수는 "중국 경제가 지난해 조정을 받은 가장 중요한 이유는 금융의 과도한 긴축 탓"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경제는 2011년 9.3%로 한자리수 성장률로 둔화된 후 완만한 L자형 성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닝 국장은 미⋅중 경제무역 마찰 영향이 확실히 있지만 전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며 올해도 경제가 합리적인 구간에서 운행되기 위한 기초와 조건과 신심과 능력이 있다고 자신했다. 중국에선 3월 5일 개막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국회)에서 확정할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치가 6% 또는 6~6.5%로 인하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세계은행은 지난 8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 보고서에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6.2%로 예상했다. UBS 등 일부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무역 전쟁이 극적으로 해소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5%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고 있다.


중국 경제성장의 최대 동력인 소비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게 중국 경제의 우려를 부추기고 있다. 닝 국장은 작년 12월 소매매출 증가율이 8.2%로 전달에 비해 0.2%포인트 확대된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 소매매출은 38조 987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이 9%로 전년에 비해 1.2%포인트 둔화됐다. 연간 기준으로 중국 소비도 증가율이 한자리수대에 진입한 것이다.

지난해 최종 소비지출의 경제성장 공헌도는 76.2%로 전년 대비 18.6%포인트 상승했다. 중국 소비의 변화가 전체 경제 성장의 흐름을 좌우할 수 있을만큼 영향력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닝 국장은 중국 소비가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며 작년 엥겔지수가 28.4%로 전년 대비 0.9% 하락한 사실을 들었다. 가계지출에서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인 엥겔지수가 낮을 수록 소비가 고도화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대외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또는 선진국의 엥겔지수가 30% 이하인 점을 들어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특히 서비스 소비가 늘어나는 점도 강조했다. 지난해 주민 1인당 소비지출 가운데 서비스성 소비 비중은 44.2%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중국 관광소득이 10% 이상 성장하고, 영화 박스오피스 수입도 600억위안을 넘어서 10% 가까이 성장했다는 게 닝 국장의 설명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신유통이 확산되면서 온라인 소비도 급증세를 타고 있다. 작년 실물 상품의 온라인 소매는 25.4% 증가했다.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온라인 비중이 18.4%로 전년보다 3.4%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자산투자도 지난해 증가율이 5.9%로 전년 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닝 국장은 민간투자 증가율이 8.7%로 전년 대비 2.7%포인트 상승한 점을 강조했다. 민간투자는 경기회복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다. 부동산개발투자는 9.5% 증가해 전체 투자 증가율을 웃돌았다.

지난해 산업생산 증가율은 6.2%로 전년보다 0.2%포인트 둔화됐다. 외자기업(홍콩 대만계 포함) 산업생산 증가율은 4.8%로 평균을 1.4%포인트 밑돌았다. 중국 전략적 신흥산업 생산 증가율은 8.9%로 2015~2017년의 연평균 증가율(10.5%)을 밑돌았다.


수출의 경우 지난해 증가율은 9.9%로 전년 대비 2%포인트 상승했지만 무역전쟁 여파가 본격화된 작년 11월부터 약세가 뚜렷하다. 작년 11월 수출 증가율이 5.4%로 급격히 둔화된데 이어 12월엔 4.4% 줄며 감소세로 돌아섰다. 수출 감소폭 4.4%는 2016년 12월 이후 최대폭이다.

오는 3월 1일까지 시한을 두고 진행중인 미⋅중 무역협상이 극적인 타결을 이루지 않을 경우 중국 수출이 절벽식 감소세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중국 당국은 내수시장을 내세워 큰 충격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닝 국장은 "지난해 소비와 투자의 경제 성장 공헌도는 100%가 넘고 순수출은 오히려 마이너스였다"며 "중국 내수시장의 개척공간이 매우 광활해 경제무역 마찰도 중국 경제의 펀더멘털을 바꿀 수 없다"고 주장했다.

소비가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커지는 것은 서비스업 중심의 3차산업의 영향력 확대와 무관치 않다. 중국 GDP에서 3차산업 비중은 지난해 52.2%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2차산업보다 11.5%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3차산업의 경제 성장 공헌도 역시 59.7%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부채감축이 경기둔화에 영향을 줬지만 부채리스크를 낮췄다는 평가도 나온다. 연간 매출 2000만위안 이상 공업기업의 자산부채비율이 작년 11월말 기준 56.8%로 1년 전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통화(M2)가 GDP 대비 202.9%로 전년 보다 3%포인트 하락한 것도 부채감축이 효과를 보고 있는 징후로 소개됐다. 하지만 중국 당국이 경제의 급격한 둔화를 막기 위해 지방정부 채권 발행을 확대하고, 조기 발행을 유도하면서 부채리스크가 다시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닝 국장은 "지난해 창출한 신규 일자리가 1361만명으로 전년 보다 10만명 늘어 6년 연속 1300만명을 넘었다"며 "작년에는 목표를 123.7% 달성했다"고 밝혔다. 실업률도 4.8~5.1%를 맴돌아 정부 목표치는 5.5%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작년 12월 실업률은 4.9%로 전달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2012년부터 시작된 노동인구 감소세가 지난해도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말 기준 노동연령인구(16~59세)는 8억 9729만명으로 470만명이 감소했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4.3%로 0.6%포인트 하락했다.

2018년말 중국 전체 인구는 13억 9538만명으로 전년 대비 530만명 늘었다. 지난해 출생 인구는 1523만 명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감소폭도 2017년 60만명에서 2018년 200만명으로 확대됐다. 인구 출생율도 10.94%로 사상 최저치로 내려왔다. 인구 자연성장률도 3.81%로 사상 최저치로 떨어졌다. 60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17.9%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이 2자녀 허용을 다자녀 허용으로 바꾸는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1/2019012101132.html


최윤동(chois****)
2019.01.2120:34:05신고
모든게 남탓인 문재인이 경제가 나쁜것은 중국때문이라고 하겠네.
이국현(khlee1****)
2019.01.2120:32:04신고
연 7%아래 성장률로는 시진핑의 장기집권 계획을 달성하기 어렵다.그에 더해 필연적인 부동산 폭락까지 몰아친다면 제2의 천안문 사태가 지구상 마지막 공산주의를 끝장 낼수도 있을텐데 그러려면 중국을 더 버짝 굶겨야만 가능하다.문제는 국제적 이해관계로 그 힘이 빠지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3차 세계대전의 단초를 저 중국이란 국가에게 제공할 가능성이 커진다는데 있다.국가에 속한 국민을 넘어 지구상 모든 인류도 각자의 이권과 이념으로 인해 누군가의 통제를 필요로 한다.굳이 미국의 제국적 관점까지 두둔할 생각은 없지만 지난 100년을 돌이켜 보면 민중을 기반으로 지리적 문화적 특수성위에 세워진 미국만큼 적역인 나라를 보지 못했다.어리석은 이 나라 많은 백성들은 내 못남을 이웃나라 국민을 욕하는 것으로 배설하고 배타적 이기심으로 똘똘뭉친 중국은 주변을 모두 오랑캐로 만든다.21세기를 대한민국 몰락의 세기로 만들어 후손들에게 노예의 삶을 전가하고 싶지 않다면 이제라도 중국을 넘어서야 한다.
조중선(j****)
모바일에서 작성2019.01.2120:26:54신고
전체주의 국가의 반자유시장체제는 망하게 되어있단다! 이 뻘겅곰과 개 돼지 빠들아!!!!!!
송병호(sbh****)
2019.01.2120:19:15신고
미국이 무역 압박하니 중공이 죽는 소리 하는것이라고 생각 한다. 한국은 실속 없이 큰돈을 북한에 철도, 도로 건설 해준다고 하니 부자나라로 생각 하게 만들고... 실속없는 국가는 바로 한국이다. 좀 정신 차리거라.
정경식(cksck****)
2019.01.2120:18:37신고
중금속 화학 미세먼지 없애려면 중공 경제성장율이 매년 마이너스 66% 되어야 한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1/201901210113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