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5.11 03:11
[유광종의 차이나 別曲] [8] '孔孟' 아닌 또 다른 중국
네 갈래 길 오르막에 주막을 차린 여성. 이름은 손이랑(孫二娘). 별호는 모야차(母夜叉).
중국 4대 기서 '수호전(水滸傳)'의 양산박 108두령 명단에 이름을 올린 세 여성 중 하나다.
특기할 점은 사람의 고기로 만든 인육만두(人肉饅頭)의 제조자.
호랑이도 때려눕힌다는 장사 무송(武松)을 혼미케 한 뒤 만두소로 만들려고 했던 인물이다.
남편 장청(張靑)과 함께 사람 고기를 잘게 썰어 만두로 만들거나,
쇠고기로 위장해 장에 내다 팔던 소설 속 캐릭터다.
이를 모티브로 삼았던 홍콩 영화 '신용문객잔(新龍門客棧)'도 우리의 기억에 뚜렷하다.
중국의 현대 문호 루쉰(魯迅)은 자신의 유명 소설 '광인일기(狂人日記)' 집필 동기를 설명하면서
"중국인은 아직 사람을 먹는 민족"이라고 했다.
사람을 극도로 옥죄는 유가의 예교(禮敎) 질서가 지닌 폐해를 지적했다는 설명이 뒤를 따른다.
그러나 그의 지적은 실재했던 중국 역사 속 식인의 자취를 말한 내용이다.
학술논문의 통계에 따르면 장구한 왕조 역사에 등장하는 식인의 사례는 모두 408회다.
당나라 시인 백거이는 "강남에 기근이 들어 사람이 사람을 먹었다(人食人)"는 시를 남겼다.
각종 기록에 등장하는 사례는 아주 많다. 다양한 명칭도 따른다.
지면으로 소개하기에는 아주 끔찍해서 다 적지 않기로 한다.
그럼에도 사람을 두 다리로 걷는 양이라는 뜻에서 '양각양(兩脚羊)'이라고 적었던 점만 덧붙이자.
대개는 전쟁이 그런 참담함을 불렀다.
그에 못지않게 중국 대륙을 휩쓸었던 재난 또한 큰 요인이다.
가뭄과 홍수, 그리고 거대한 메뚜기 떼에 의해 벌어졌던 황재(蝗災)가 대표적이다.
이런 참사는 1959년 대약진운동 무렵, 1966년의 문화대혁명 시기에도 벌어졌다.
우리는 공자와 맹자의 공맹(孔孟), 노자와 장자의 노장(老莊)이라는 사상의 맥락으로 중국을 볼 때가 많다.
그래서 착시에 자주 빠진다.
중국의 실제 역사 전개과정은 공맹이나 노장으로 포장할 수 없는 '그늘'이 아주 깊고 넓다.
이제 그 점을 제대로 살펴야 할 때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0/2018051003900.html
- 위 글자수 제한 내용을 보완하면, 우리는 중국어 발음과 뜻을 연결수 없어
- 그 한자 고유명사를 기억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 우리는 한자를 우리 발음대로 적는 것이 맞다.
- 그리고 한자가 한자라는 이름을 얻은 것은 한나라 이후로,
- 실제 한자가 만들어지거나 형성되던 시기에는 한나라가 없었고, 한자=중국어 라는 데 의문이 든다.
- 중국의 속국인 한국. 중국것이라면 무조건 좋아하며 소중화의식에 빠졌던 조선사대부들..
- 60년대 초 울나라 선원들이 이름모를 남태평양 원주민= 식인종들에게 잡혀
- 손이랑(孫二娘). 모야차(母夜叉). 수호전(水滸傳), 무송(武松), 백거이, 신용문객잔(新龍門客棧)',
- 모야차 신이랑이 백두주 에 취하여 헤롱헤롱 하는 조선을 만두소로 하려 하고 있구나.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0/2018051003900.html
'[바깥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 천국' 북유럽의 진실 (손진석 특파원, 조선일보) (0) | 2018.05.17 |
---|---|
[말레이지아][노년]93세 총리 마하티르 (김기철 위원, 조선일보) (0) | 2018.05.11 |
[프랑스]잠잠한 68혁명 50주년 (손진석 특파원, 조선일보) (0) | 2018.05.09 |
2[미국][매케인]정치인의 품격 (이하원, 조선일보) (0) | 2018.05.04 |
[유광종의 차이나 別曲][7] '허풍' 가득한 중국 武術 (조선일보) (0) | 2018.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