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으십시오. 2013년 8월 9일 금요일
사무엘상 8:10~8:22
10 사무엘이 왕을 요구하는 백성에게 여호와의 모든 말씀을 말하여
11 이르되 너희를 다스릴 왕의 제도는 이러하니라
그가 너희 아들들을 데려다가 그의 병거와 말을 어거하게 하리니 그들이 그 병거 앞에서 달릴 것이며
12 그가 또 너희의 아들들을 천부장과 오십부장을 삼을 것이며
자기 밭을 갈게 하고 자기 추수를 하게 할 것이며 자기 무기와 병거의 장비도 만들게 할 것이며
13 그가 또 너희의 딸들을 데려다가 향료 만드는 자와 요리하는 자와 떡 굽는 자로 삼을 것이며
14 그가 또 너희의 밭과 포도원과 감람원에서 제일 좋은 것을 가져다가 자기의 신하들에게 줄 것이며
15 그가 또 너희의 곡식과 포도원 소산의 십일조를 거두어 자기의 관리와 신하에게 줄 것이며
16 그가 또 너희의 노비와 가장 아름다운 소년과 나귀들을 끌어다가 자기 일을 시킬 것이며
17 너희의 양 떼의 십분의 일을 거두어 가리니 너희가 그의 종이 될 것이라
18 그 날에 너희는 너희가 택한 왕으로 말미암아 부르짖되
그 날에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응답하지 아니하시리라 하니
19 백성이 사무엘의 말 듣기를 거절하여 이르되 아니로소이다 우리도 우리 왕이 있어야 하리니
20 우리도 다른 나라들 같이 되어 우리의 왕이 우리를 다스리며
우리 앞에 나가서 우리의 싸움을 싸워야 할 것이니이다 하는지라
21 사무엘이 백성의 말을 다 듣고 여호와께 아뢰매
22 여호와께서 사무엘에게 이르시되 그들의 말을 들어 왕을 세우라 하시니
사무엘이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각기 성읍으로 돌아가라 하니라
성경 길라잡이
왕의 제도는 이러하니라 그가 너희 아들들을 데려다가(11절): 왕정국가의 가장 큰 특징은
중앙의 권력을 활용하여 백성을 강압적으로 통제하는 방식으로 통치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사람들을 함부로 징집하거나 해산시키기도 한다. 개인의 소유물을 빼앗아 국가에 귀속시키기도 한다.
왕이 우리를 다스리며 우리 앞에 나가서 우리의 싸움을 싸워야 할 것(20절):
왕정국가에서 전쟁을 치르기 위해서는 협의체에서 서로의 역할을 분담하여 인력을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
왕의 절대권력 앞에서 누구나 예외 없이 성인은 모두 징집 대상이 되었다.
본문에서는 백성들이 자신의 자유를 제한시켜서라도 왕정체제를 주장하는 역설적인 상황이다.
묵상과 삶
왕정체제에서 왕은 절대적인 위치입니다. 왕을 중심으로 모든 권력이 집중됩니다.
권력이 집중되면, 권력자의 판단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그것을 제어할 다른 장치가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권력이 한 사람에게 집중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하나님의 절대 권력은 모든 인간의 권력을 상대화시키기 때문에,
권력자로 인한 백성의 타락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절대적인 하나님을 기준으로 하면 모든 사람은 평등합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공동체는 언약 가운데서 일정한 역할을 함께 분담함으로써,
서로 자발적으로 공동체적인 책임을 지고 있었습니다.
공동체의 일원들이 서로 신뢰하며 존중하고, 서로를 위해 자신을 내어줄 때
아름다운 공동체를 세울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사회에 독재자가 출현하는 것을 원치 않으십니다.
인류의 역사에서 독재자의 통치는 결국 타락할 수밖에 없었고, 백성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어버렸습니다.
깨어서 우리 자신과 사회를 끊임없이 성찰하고 반성하지 않으면,
누구 한 사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신뢰하는 길만이, 모든 악한 권력의 통치를 견제할 수 있습니다.
협동조합의 출현이나 공유경제 정신 등 여러 대안민주주의 체제가 출현한 것 등은 반길 만한 일입니다.
하나님의 공유 정신과 평등 의식에서 볼 때,
그리스도의 공동체인 교회야말로 새로운 사회체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정반대로,
그리스도의 교회가 독재정권을 비호하고 폭력적 정권을 대변한 역사적 실례들이 많습니다.
특히 현대를 사는 그리스도인들은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이 아닌 다른 사람, 혹은 집단에 권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막을 책임이 있습니다.
이런 책임을 다하는 것이 곧 하나님의 절대 왕권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묵상질문
본문으로 볼 때 왕정체제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일까요?
이스라엘 백성들은 왜 왕정체제의 한계를 알면서도 그것을 선호했을까요?
기도
이 시대에 독재 정권들로 인해 고통 받는 땅에 평화의 시대가 도래하게 하소서
이 땅에서 억압받고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의 삶에 소망을 주소서
'+ [사무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삶의 책사를 만나십시오 (삼상 9:15~27) (CBS) (0) | 2016.12.28 |
---|---|
[17]하나님께서 마음에 합한 자를 찾으십니다. (삼상 9:1~14) (CBS) (0) | 2016.12.28 |
[15]하나님을 최고의 권위자(왕)로 삼으십시오 (삼상 8:1~9) (CBS) (0) | 2016.12.28 |
[14]기도로 하나님을 찾으십시오 (삼상 7:1~17) (CBS) (0) | 2016.12.28 |
[13]하나님께서는 때로 자신을 숨기시기도 하십니다. (삼상 6:13~21) (CBS) (0) | 2016.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