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일을 하느냐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행복한 경영이야기) 어떤 일을 하느냐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태도는 사소한 것이지만, 그것이 만드는 차이는 엄청나다. 즉 어떤 마음가짐을 갖느냐가 어떤 일을 하느냐보다 더 큰 가치를 만들 수 있다. -윈스턴 처칠 유대경전에 ‘어느 겨울날 눈이 수북이 쌓여 있을 때 만약 당신이 길을 만들어 걸어가면.. 세상 공부 2013.03.05
생생하게 상상하라. 그리고 간절하게 소망하라 /(행복한 경영이야기) 생생하게 상상하라. 그리고 간절하게 소망하라 생생하게 상상하라. 간절하게 소망하라. 진정으로 믿으라. 그리고 열정적으로 실천하라. 그리하면 무엇이든지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다. -폴 마이어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목표가 분명하다는 점입니다. 목표는 불타는 욕구와 강렬한 자.. 세상 공부 2013.03.04
간절히 원하면 무엇이든 이루어진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간절히 원하면 무엇이든 이루어진다. 목표를 끝까지 관철하고 말겠다는 집념은, 기개가 있는 자의 정신을 단단히 바치고 있는 기둥이며 성공의 최대 조건이다. 이것이 없다면 아무리 천재라고 할지라도 이리저리 방황하게 되고 헛되이 에너지를 소비할 뿐이다. -체스터필드 성공은 그것.. 세상 공부 2013.02.28
꿈은 천국에 가깝고 현실은 지옥에 가깝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꿈은 천국에 가깝고 현실은 지옥에 가깝다. 누구나 꿈꾸고 희망하는 것은 천국이다. 하지만 꿈꾸고 희망하는 것을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옥과 같은 현실의 가시밭길을 통과해야 한다. ‘꿈은 천국에 가깝고, 현실은 지옥에 가깝다’라는말이 있는 것도 이런 연유다. -야나이 다다시, .. 세상 공부 2013.02.25
나는 어제의 나와 경쟁한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나는 어제의 나와 경쟁한다. 나의 유일한 경쟁자는 어제의 나다. 눈을 뜨면 어제 살았던 삶보다 더 가슴 벅차고 열정적인 하루를 살려고 노력한다. 연습실에 들어서며 어제 한 연습보다 더 강도 높은 연습을 한번, 1분이라도 더 하기로 마음먹는다. 어제를 넘어선 오늘을 사는 것, 이것이 .. 세상 공부 2013.02.21
[스크랩] 수만명을 백만장자로 만들었던 브라이언 트레이시는 이렇게 말했다. 카네기 공대의 실험은 너무나 잘알고 있다. 졸업생들을 상대로 진행된 실험에서 재능있고 똑 똑한 사람의 성공 확률은 15%이내였고 85%이상이 인간관계가 성공의 핵심이었다. 인간관계는 우엇으로 알수있을까? 수만명의 사람을 백만장자로 만들었던 브라이언 트레이시는 이렇게 말했다. ".. 세상 공부 2013.02.16
성공은 항상 곤궁 다음에 오는 것이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성공은 항상 곤궁 다음에 오는 것이다. 성공과 명예란 항상 곤궁에 처한 날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이요, 일을 그르침은 거의가 득의했다고 자만할 때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임동석 역주, ‘석시현문’에서 중국에서 명심보감 보다 인기 있는 현문에 나와 있는 유사 내용을 함께 보내드립.. 세상 공부 2013.02.14
남의 성공을 도우면 나의 성공이 따라온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남의 성공을 도우면 나의 성공이 따라온다. 성공은 내가 주변 사람들을 얼마나 밟고 올라섰느냐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주변 사람들을 얼마나 끌어올려주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과정 속에서 사람들은 나를 끌어올려주고 나도 그렇게 해주었다. -조지 루카스(영화.. 세상 공부 2013.02.13
실패 예찬 /(행복한 경영이야기) 실패 예찬 여러분이 하버드 졸업생이라는 사실은 곧 실패에 익숙하지 않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성공에 대한 열망만큼이나 실패에 대한 공포가 당신의 삶을 좌우할 것입니다. 인생에서 몇 번의 실패는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실패 없이는 진정한 자신도, 진짜 친구도 결코 알 수 .. 세상 공부 2013.02.12
상냥하고 친절한 그리스도인/(박정환목사님) Jung Park 숨은 참조 ltdkorea@yahoo.co.kr 상냥하고 친절한 그리스도인 복음을 위한 가장 강력한 논증은 상냥하고 친절한 그리스도인이다. 그와 같은 생애를 하고, 그러한 감화를 끼치는 데는 매 발걸음마다 노력과 자아 희생과 수양을 요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 박정환목사님 201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