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는 신비한 힘을 발휘한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목표는 신비한 힘을 발휘한다. 모든 것을 실현하고 달성하는 열쇠는 목표 설정이다. 내 성공의 75%는 목표설정에서 비롯되었다.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면 그 목표는 신비한 힘을 발휘한다. 또 달성 시한을 정해놓고 매진하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목표가 다가온다. -폴 J.마이어 성공하는 .. 세상 공부 2013.04.12
성공의 비결은 결코 운이 아니다./(행복한 경영이야기) 성공의 비결은 결코 운이 아니다. 성공의 비결은 결코 운이 아니다. 셀 수없이 많은 고통에 몸이 찢겨 나가도 웃으며 앞으로 나아갔던 사람들의 시린 상처를 들춰보라. 거기에 답이 있다. 까지고 부러지고 찍어진 내 두발, 30년 동안 아물지 않은 그 상처가 나를 키웠다. 성공한 사람의 부.. 세상 공부 2013.04.10
너무 이른 성공은 위험하다./(행복한 경영이야기) 너무 이른 성공은 위험하다. 너무 이른 성공은 위험하다. 너무 어릴 때 성공하여 공적을 쌓고 추앙을 받으면, 그 사람은 오만과 같은 삐뚤어진 감각에 사로잡혀 동년배의 사람이나 차근차근 노력해 가는 사람에 대한 외경을 완전히 잊어버리고 만다. -니체 소년 급제를 크게 경계하는 동.. 세상 공부 2013.04.04
한계에 맞서지 않는 사람이 진정한 비극의 주인공 /(행복한 경영이야기) 한계에 맞서지 않는 사람이 진정한 비극의 주인공 진정한 비극의 주인공은 살면서 일생일대의 분투를 준비하지 않은 사람, 자기 능력을 발휘하지 않는 사람, 자신의 한계에 맞서지 않는 사람이다. -소설가 아놀드 베넷 고(故) 정주영 회장의 글을 함께 보내드립니다. “나는 인간이 스스.. 세상 공부 2013.03.27
만물은 성하면 반드시 쇠하기 마련이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만물은 성하면 반드시 쇠하기 마련이다 득의하였을 때 자신의 능력을 과장하지 말 것이며, 불우하다고 해서 세상을 질투하지 말라. 만물은 성하면 반드시 쇠하게 마련이며, 융성한 성공도 교체가 있게 마련이다. -임동석 역주, ‘석시현문’에서 하늘의 도는 오만한 자를 일그러지게 하.. 세상 공부 2013.03.13
[기도] 오늘도 소망 중에 사는 저희가 되게 하소서 /(CBS) 오늘도 소망 중에 사는 저희가 되게 하소서 2013년 3월 12일 화요일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고요한 이 새벽에도 주님 앞에 나와 엎드렸습니다. 늘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시기를 기뻐하시는 그 크신 사랑을 생각하며 기도를 드립니다. 험한 세상을 사는 동안 상처 입은 저희들이 주님 앞에 나.. +기도 2013.03.12
터무니없어 보이는 높은 목표를 공개적으로 밝히기 /(행복한 경영이야기) 터무니없어 보이는 높은 목표를 공개적으로 밝히기 나는 10대 때부터(남들이 허풍이라 할 정도의) 터무니없어 보이는 목표를 공개적으로 밝혀, 호언장담하는 버릇이 있었다. 일단 공언하면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게 되고, 강한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 조직에 목표를 공언하고 그 목표를 달.. 세상 공부 2013.03.12
성공이 우리에게 다가오는 법 /(행복한 경영이야기) 성공이 우리에게 다가오는 법 한 가지 뜻을 세우고, 그 길로 걸어가라! 잘못도 있으리라! 실패도 있으리라! 그러나 다시 일어나서 앞으로 나아가라! 반드시 빛이 그대를 맞이할 것이다! -칸트 달로 가는 로켓은 항로를 이탈해있는 시간이 무려 전체의 90%라고 합니다. 끊임없이 실패와 교정.. 세상 공부 2013.03.11
삼할 타자 /(고도원의 아침편지) 삼할 타자 야구에서 삼할 타자라면 타율이 엄청 높은 선수를 말합니다. 그런데 다르게 생각해보면 그들은 열 번 중 약 일곱 번을 실수하는 겁니다. - 이종훈의《인생은 야구처럼 공부는 프로처럼》중에서 - * 너무 완벽하려고 하지 마세요. 날아오는 공 열 개를 모두 다 칠 순 없는 거예요... 세상 공부 2013.03.09
성공과 안정은 위기의 징조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성공과 안정은 위기의 징조다. 현재의 성공은 분에 넘치는 행운이다. 내 이름이, 우리 회사 이름이 남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순간이 위기의 시작이다. 지속적인 성공은 ‘당장 내일 망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을 늘 품고 있는 사람에게만 찾아온다. -하마구치 다카노리, ‘사장의 일’에서.. 세상 공부 2013.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