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26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국립공원 내 흡연과태료 최고 200만원, 음주는 10만원 → 개정안 11월부터 적용.
흡연은 현재 첫 위반 1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인상. 두번째, 세번째 각 100만원, 200만원.
국립공원 등산로 등 음주도 과태료 5민원에서 10만원으로 인상. (문화)
2. 코로나 통계 발표 안한다 →
매일 오전 9시 30분 발표, 배포하던 코로나 통계 보도자료 발표 다음주부터 중단,
대신 관련 통계를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 공개. 일상 회복 방역 기조 반영한 것.
외국에서도 매일 공식 밮표하는 나라는 없다고. (매경)
3. 차량용 장애인표시 스티커, 무자격자가 붙여도 혜택 안 봤으면 ‘무죄’ →
대법원, 일반 주차구역 주차 중 적발된 것으로 ‘공문서 부정 행사죄 못 물어’ 판결.
1, 2심 뒤집어. (경향)
4. 교통사고 사망자의 44%(1295명)가 65세 이상 →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는
2019년 3349명에서 2021년 2916명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고령층 감소폭은 5.8%로 전체 보행자(10.1%), 어린이(19.5%)보다 훨씬 더딘 편. (중앙)
5. ‘빼빼로데이’의 위력? →
1983년 출시 후 1995년까지 13년간 누적 매출이 1630억이었지만
1995년 빼빼로데이가 생긴 후 25년 동안 매출은 1조 6천억원에 달한다.
빼빼로데이 전후 단순 비교해도 연매출 5배 차이.
해외에서도 ‘빼빼로데이’ 이벤트 시작. (아시아경제)
6. ‘템플스테이’ 경험자 601만명 →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시작된 템플스테이는
현재 전국 142곳 사찰에서 운영 중.
지난해까지 참가 연인원은 601만여명, 이중 10%가 넘는 65만여명이 외국인. (세계)
7. 소주병에 담은 와인 인기 →
기존 와인 절반 용량 360㎖를 소주병에 담아 부담 줄이고 재미 추구.
마개도 돌려따는 마개. 지난달 28일 CU 출시 후 매주 33%~79%씩 매출 증가,
가격도 병당 3000원으로 소주(1950원)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매경)
8. SPC 계열사 5곳이 빵 시장 83% 점유 →
빵 제조업체로 지난해 매출 수치가 있는 82곳의 전체 매출 4조 5172억여원 중
SPC 계열사 5곳이 3조 7658억으로 83.4%를 차지.
이에 대해 SPC측은 미등록 제빵점 등을 감안하면 실점유률은 40% 정도라고 해명. (경향)
9. 페티김(84세), 2012년 은퇴 선언 후 10년 만에 다시 무대 →
KBS ‘불후의 명곡’ 특집(11.19일, 26일, 12.3일 방송).
패티김은 대중가수로는 처음으로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했고
미국 카네기홀(1989)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2000)에서도 공연한 바 있다. (문화)
10. 금리 인상에 은행들 순익 사상 최대 →
4대 금융지주 3분기 순익 4.9조원, 지난해 동기 대비 18.6% 증가.
올 상반기까지 대출금리가 평균 0.8%P 오르는 동안
예금금리는 0.52%P 오르는데 그쳐. (한경)
이상입니다.
'[오늘 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1월 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1.02 |
---|---|
2022년 10월 3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1.02 |
2022년 10월 25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0.27 |
2022년 10월 2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0.25 |
2022년 10월 19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