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공부

피갈회옥(被褐懷玉) - 스탠포드대학교 설립 이야기

colorprom 2022. 7. 21. 14:27

▣피갈회옥(被褐懷玉)■

 

노자(老子)의 도덕경을 보면

"위대한 사람은 겉은 허름한 옷을 입고 가슴속에는 옥을 품고 있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을 섬기기에 더욱 강하고 위대 할 수 있다는 노자의 가르침은

2,500년 동안 ‘진정 강함’이 무엇인지에 대해 우리에게 큰 가르침을 주고있습니다.

 

"피갈회옥"(被褐懷玉)이란

겉은 허름한 베옷을 입고 있지만 가슴 속에는 영롱한 옥을 품고 있다는 뜻입니다.

 

진정 위대한 능력을 갖춘 사람은 그 능력을 가슴 속에 품고 겉으로 내보이지 않습니다.

빛나는 광채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빛을 뽐내어 남을 눈부시게 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자신을 낮추고 남을 섬기며, 자신을 비우는 것이야말로

강하고 높고 채운 사람들의 인생 모습이어야 한다는 말이지요.

 

미국 서부의 명문 사학 "스탠포드 대학교"의 설립 비화를 소개 하겠습니다.

 

어느날, 허름한 옷차림의 노부부가 사전 약속도 없이 "하버드 대학교" 총장실을 찾았습니다.

사전 약속도 없이 총장을 만나겠다고 불쑥 찾아 온 시골 촌뜨기 노인부부가

곱게 보일리 없었겠지요.

 

비서는 총장이 오늘 하루종일 바쁘다는 핑계를 대며

그 노인들의 요구를 한마디로 딱 잘라 거절했지만

끈질긴 노부부의 간청에 비서는 면담을 주선했습니다.

 

총장은 초라하고 남루한 옷차림의 노인들을 만나는 것이

자기의 권위와 사무실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다며 못마땅해 했지만

딱히 거절할 명분도 없었습니다.

 

먼저 부인이 총장에게 말을 건넸습니다.
이 학교에 1년 동안 다닌 아들이 있었는데 무척 행복하게 생활 했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는 눈시울을 적시면서 1년 전에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며

오늘 총장을 뵈러 온 것은 캠퍼스 내에 그 아이를 위한 기념물을 하나 세우고 싶어서라고

말했습니다.

 

총장은 감동은 커녕 놀라움만 나타냈습니다.

총장은 불쾌하고 퉁명스런 어투로

"우리는 "하버드"에 다니다 죽은 사람 모두를 위해 동상을 세울 수는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이곳은 아마 공동묘지 같이 될 것입니다.”

 

그러자 노부인이 고개를 내 저었습니다.

“아니에요. 총장님 그게 아닙니다.

동상을 세우려는 것이 아니라 그 아이를 위해 하버드에 건물 하나를 기증하고 싶어서

오늘 총장님을 찾아 뵌 것입니다.”

 

총장은 의아해 했습니다.

“건물이라고요? 건물 하나에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알고나 하시는 말씀입니까?

현재 하버드에는 750만 달러가 넘는 건물이 여러 채 있어요."

잠깐 말이 끊기고 총장은 내심 이제 돌아 가겠거니 하고 기뻐하며 회심의 미소를 머금었습니다.

 

이때 부인이 남편을 향해 고개를 돌리며 조용히 말했습니다.

“여보 대학교 하나 설립하는데 비용이 그것밖에 안 드나 보죠?
그러지 말고 우리가 대학교를 하나 세웁시다.”

남편은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이때 총장의 얼굴은 홍당무가 되어 당혹감으로 일그러졌고

두 내외는 말없이 바로 일어나서 곧장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의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이곳에 바로 "하버드대학교"에서 푸대접 받고

더는 돌보아 주지 않는 아들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샌 프란시스코 만(灣)이 고즈넉히 내려다 보이는 산타 클라라 언덕에

노부부의 성을 딴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를 설립하고

서부의 명문 사학으로 육성 시켰습니다.

 

이 사건 이후 "하버드 대학"에서는 학교 정문에 이런 글귀를 붙여 놓았다고 합니다 .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외모로 사람을 판단하지 마라.

 

우리는 살아가면서 사람의 겉 모습만 보고 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자들은 생각보다 검소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오늘도 피갈회옥(被褐懷玉)의 미덕을 몸소 실천하기 바랍니다.(받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