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공부

[교육][오은영] “숙제 하면 게임하게 해줄게” 꼭 해야할 일, 조건 달면 안돼

colorprom 2022. 3. 25. 13:04

[오은영의 ‘토닥토닥’]

“숙제 하면 게임하게 해줄게” 꼭 해야할 일, 조건 달면 안돼

 

[아이가 행복입니다]

오은영·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입력 2022.03.25 03:00 | 수정 2022.03.25 03:00
 

부모는 아이에게 “숙제 다 하면 게임 하게 해줄게”라는 말을 종종 하곤 해요.

이 말을 들은 아이는 ‘게임보다 숙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하려면 숙제를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즉, 게임에 훨씬 더 큰 비중을 두고 조건이 충족되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거예요.

 

이런 말을 하는 부모는 조건을 달면 아이에게 동기부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그 효과는 아주 일시적입니다.

거듭할수록 부수적으로 얻게 되는 것이 아이가 행동을 하는 목적으로 바뀌어 버려요.

 

부모가 다는 조건은 보통 아이가 좋아하는 것입니다. 게임·만화책 등일 거예요.

이런 ‘당근’이 아이가 그 나이에 꼭 해야 하는 일 뒤에 붙으면,

아이의 마음속에는 그 일에 대한 내적 동기가 생기지 않아요.

당근에 대한 관심만 강해집니다.

시간이 갈수록 ‘그냥 기분 좋게 좀 하면 안 되나?’ 하는 생각에 불만만 커져요.

 

정말 내적 동기를 가지고 해야 할 일이라면,

조건 없이무슨 일이 있어도 이것은 네가 해야 하는 거야”라고 말을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조건은 서로가 타협을 통해서 바꿀 수 있는 일에만 달아야 해요.

예를 들면 “지금 병원에 가면 대기자가 적어서 진료가 빨리 끝나니까 더 오래 놀 수 있어.

하지만 놀다가 늦게 가면 대기자가 많아지기 때문에 병원을 다녀와서 노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어.

어떻게 할래?”와 같은 일입니다.

 

아이가 꼭 해야 하는 것에는 조건을 달지 마세요.

아이가 성장에서 꼭 해야 하는 것, 먹어야 하는 것, 공부하는 것들이 그것입니다.

 

매사 조건을 달면 아이는 부모의 사랑이 무조건적인 것이 아닌 것 같다고 느낄 수 있어요.

조건이 붙는다는 것은

‘내가 잘못하면 엄마가 나를 사랑하지 않겠구나’라는 말처럼 생각되기도 하거든요.

아이들은 그렇게 오해할 수도 있습니다.

 

 

오은영·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