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도의 무비 識道樂] [196] Only Newton asked why
입력 2020.11.07 03:00
“인간이 인공지능(AI)을 똑똑한 보조자(IA·intelligent assistants)로 잘 활용하는 역량이 중요해졌다.”
퓰리처상을 세 번 받은 경영 전략가 토머스 프리드먼의 통찰입니다.
미래의 더 나은 복지를 위해 인간이 AI와 팀워크를 잘 이루어야 한다는 견해이기도 하지요.
한편 픽사 애니메이션 ‘월-E(WALL-E·사진)’는
지구 멸망 이후 인공지능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인류의 삶을 그립니다.
주인공 월-E는 지구 쓰레기를 청소하는 로봇입니다.
인류가 지구를 떠난 지 700년 된 미래의 어느 날 잿빛 하늘을 뚫고 백색 로봇 이브가 등장합니다.
그녀 임무는 지구 식물 탐사.
호감을 느낀 월-E는 그가 700년 만에 처음 발견한 식물을 선물합니다.
이브는 ‘창세기’에서 감람나무 새 잎사귀를 물고 노아에게 돌아가는 비둘기처럼 우주로 떠납니다.
월-E가 몰래 따라가 잠입한 비행선은 거대한 방주(方舟)를 닮았고,
그 내부는 낙원 뺨치는 신세계입니다.
문제는 인간이 전적으로 인공지능 시스템에 의존해 살다 보니
누구도 깊은 사유나 비판적 사고를 안 한다는 것.
식물을 받아 든 선장은 지구에 희망이 있다고 판단, 인공지능 조종사 오토에게 귀환을 명령합니다.
오토가 거역합니다.
식물을 죽이려 하는 오토의 반란을 월-E와 이브가 막아냅니다.
귀환 비행이 성공합니다.
불행하게도 오토에게 파괴된 월-E는 기억이 싹 지워진 상태.
이브가 처음으로 월-E의 손을 꼭 잡아줍니다.
인간의 영화를 보며 기억해둔 대로 교감하려는 겁니다.
오토와 달리 둘은 공감 능력이 있어서일까요, 월-E가 반응하더니 이브를 알아봅니다.
훗날 월-E와 이브가 나무 아래에서 무성한 잎을 올려다봅니다.
이 장면에서 제가 떠올린 명구는 이것.
‘수많은 사람이 떨어지는 사과를 봤어도 뉴턴만이 왜 떨어지는지 알고 싶어 했다
(Millions saw the apple fall, but only Newton asked why).’
인간이 AI를 똑똑한 보조자로 잘 활용하려면 특히 창의적 질문 능력을 키우는 게 매우 중요해졌지요.
끝부분에서 영화는 나무의 뿌리를 보여줍니다.
지구를 되살리려 인간이 첫 삽 뜰 때 심은, 월-E가 이브에게 선물한 식물이 드러납니다.
'멋진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행복의 단추를 채우는 완벽한 방법(Sometimes always never)' (0) | 2020.11.28 |
---|---|
[영화]'프리다의 그해 여름(Summer)' (0) | 2020.11.21 |
[책]'수술의 탄생', 英 외과의사 조지프 리스터 평전 (0) | 2020.11.02 |
[뮤지컬] ‘나인(Nine)' (0) | 2020.11.02 |
[영화]‘예스터데이(Yesterday)' (0) | 202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