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공부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583] 바이러스와 인간의 공진화

colorprom 2020. 7. 21. 14:17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583] 바이러스와 인간의 공진화

 

조선일보

 

  •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입력 2020.07.21 03:08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모든 진화는 공진화(co-evolution)다.

1960년대 중반 나비와 식물, 그리고 식물과 개미가 서로에게 의존하며 함께 진화한다는 주장이

처음 등장했을 때

생물학자들은 대체로 회의적이었다.

지금은 다르다. 생태계 구성원 모두 먹이사슬과 사회관계망으로 얽혀 있는 마당에

다른 생물과 아무런 연계 없이 홀로 진화하기가 오히려 불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바이러스와 인간도 함께 진화한다.

얼마 전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파우치 소장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전파력이 6배나 높아졌다고 발표했다.

 

이 보도를 듣고 많은 사람이 더 큰 공포에 휩싸였지만,

진화생물학자인 내게는 사뭇 희망적인 소식이었다.

바이러스와 인간이 공진화하는 과정에서 드디어 숨 고르기 단계에 진입한 듯 보인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박멸하거나 퇴치해 사태를 종식시키는 게 아니라

공존해야 한다는 게 무슨 뜻일까?

 

감기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이다.

감기 바이러스가 인류를 공격하기 시작하던 초창기에는 아마 많은 사람을 죽였을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독성이 강한 바이러스 변이는 이미 감염시킨 사람과 함께 스러지고,

감염됐어도 사는 데 별 지장이 없는 사람들은 비교적 온건한 바이러스를 옮겨주며

함께 살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처럼 방역을 철저하게 하거나, 미국과 브라질처럼 많은 사람이 죽고 나면

독성이 강한 변이는 저절로 자연선택 과정에서 도태되고

상대적으로 약한 변이가 득세하게 되어 있다.

 

한 명만 확진받아도 직장이나 학교를 폐쇄하고 주변 모든 사람을 조사하는 정책을

언제까지 끌고 갈 것인지 고민할 때가 됐다.

 

바이러스는 이미 우리에게 적응하기 시작했는데,

그래서 조심스레 '불편한 동거'를 제안하고 있는데,

우리가 너무 냉정하게 뿌리치고 있는 건 아닌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변화는 함께해야 쉽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0/202007200361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