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colorprom 2019. 9. 6. 15:45



유관순의 첫 스승, 사애리시를 아시나요


조선일보

입력 2019.09.06 03:01

'앨리스 샤프' 1900년 감리교 선교사로 한국 와 공주·논산·천안 등 충남서 사역
여학교 9·유치원 7곳 설립하고 유관순 열사 이화학당 입학 주선
후손들 천안 교회 찾아 유품 기증8일 출판기념회·사진전 열려

앨리스 샤프
"앨리스 할머니가 한국에서 이렇게 대단한 일을 한 줄 몰랐습니다.
지금 충남에 감리교회가 1400, 성도(聖徒)20만명이라는데,
그 시작이 할머니의 선교였다니 놀랍습니다.
저희 가족은 '앨리스 할머니가 한국에서 40년 선교했다'는 정도만 알고 있었거든요."

4일 오전 충남 천안시 하늘중앙교회'앨리스 샤프 기념홀' 카페에서 만난
데이비드(64)·스티븐(62) 솔로즈 형제는 놀라워했다.
이들은 '충남 믿음의 어머니'로 불리는 앨리스 샤프(1871~1972) 선교사의 후손.
샤프 선교사 언니의 증손자인 이들은 하늘중앙교회(유영완 담임목사)의 초청으로 한국을 찾았다.

캐나다 북동부 노바스코샤 출신인 샤프 선교사는 1900년 감리교 선교사로 한국에 파송됐다.
1903년 서울에서 동료 선교사 로버트 샤프와 결혼한 그는
1904년부터 공주를 근거지로 충남 지역 선교를 맡았다.
당시 충남 지역은 감리교가 선교를 담당했다.

1906년 남편이 논산 선교 중 발진티푸스로 사망한 후에도 샤프 선교사는 한국에 남아
1939년까지 대전·논산·강경·부여·보령·천안·안면도 등 충남 전역을 순회하며 선교 활동을 펼쳤다.
공주 영명학교를 비롯해 여학교 9, 유치원 7곳을 설립했고,
유관순 열사에게 영명학교 이화학당 입학을 주선했다.
가마, 말과 자동차를 타고 충남 구석구석을 누볐다.

한국명 사애리시(史愛理施) 혹은 '사(史) 부인'이란 별칭으로 불린 그는 존재 자체로 화제였다.
외국인을 처음 보고 도망가는 이도 있었지만 풍금 연주엔 구름 관객이 몰리고,
서툰 한국말로 전하는 복음을 받아들이는 이가 늘어갔다.
여성들에겐 글을 가르쳐가며 전도했다.
어떤 지역에선 한 마을 38가구가 모두 신자가 됐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사 부인은 훗날 한국 선교를 회상하며
"내가 세운 학교에서 어린이들이 교육받고 주일학교와 교회에서 훈련받아
전도사, 교사, 전도 부인, 의사, 간호사로서 그리스도를 위한 일꾼으로 성장하는 것을 보는 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기쁨이었다"고 했다.

1세기 전 충남 지역에 복음을 전한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유품이 천안 하늘중앙교회에 기증된다. 데이비드(왼쪽)·스티븐 솔로즈씨 형제가 유영완(가운데) 목사와 함께 샤프 선교사의 유품을 소개하고 있다.
1세기 전 충남 지역에 복음을 전한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유품이
천안 하늘중앙교회에 기증된다.
데이비드(왼쪽)·스티븐 솔로즈씨 형제가 유영완(가운데) 목사와 함께
샤프 선교사의 유품을 소개하고 있다. /이태경 기자
하늘중앙교회사애리시 선교사 현양에 나선 것은 이 교회 역시 사 부인과의 인연으로 시작됐기 때문.
1905년 사 부인이 전도한 당시 65세 유씨 할머니 댁에서 예배를 드린 가정 교회가
이 교회의 시작이었다고 전해진다.

1922년 천안 최초로 이 교회에 유치원을 세운 것도 사 부인이었다.

유영완 목사는 "사 부인은 1939년 은퇴해 미국으로 돌아간 후로 연락이 끊겨 자료가 태부족한 상태여서
기념 사업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었다"고 했다.

언론인 출신 임연철 박사가 미국과 캐나다를 오가며 열정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면서
베일에 싸였던 사 부인의 생애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사 부인의 고향에서 후손들을 만난 것도 임 박사였다.

소식을 들은 하늘중앙교회는 올 초 완공된 교육관에 앨리스 샤프 기념홀을 개관하고,
오는 8일 임 박사의 저서 '이야기 사애리시'(신앙과지성사) 출판기념회와 사진 전시회를 개막한다.

이 자리에선 후손들이 보관해온 사 부인의 유품 기증식도 열린다.

후손들이 보관해온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유품. 만년필과 복주머니, 인형, 골무 등 80년 전 소박한 생활을 보여준다.
후손들이 보관해온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유품. 만년필과 복주머니, 인형, 골무 등
80년 전 소박한 생활을 보여준다. /이태경 기자

후손들이 가져온 유품들은 80년 전 소박한 신앙생활을 보여준다.

한복을 입은 작은 인형, 색색 골무, 만년필 한 자루, '만세(萬歲)' 글자가 수놓인 복주머니 등이다.

데이비드 솔로즈씨는 셔츠 앞섶에서 목걸이를 꺼내 보여줬다.

사 부인이 마지막까지 걸고 있었다는 목걸이는 작은 십자가와 '수(壽)'자로 이뤄졌다.

십자가엔 '보령교회 리신덕' '사랑'이란 글자가 새겨졌다.

선교 사역을 마치고 귀국하는 사 부인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은 선물이었다.

유 목사는 "사 부인은 100여년 전 한국에서 여성과 어린이 등 소외된 이들을 섬긴 분"이라며

"그 뜻을 이어서 교회는 다문화 가정과 중도 입국 자녀들을 돕는 사업을 펴고 있다"고 말했다.

교회는 이미 작년부터 중도 입국 자녀 20명을 1대1로 교육해 그중 7명을 일반 학교에 진학시키기도 했다.

유 목사는 "앞으로 관련 자료를 더 모아 작은 기념관도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06/2019090600166.html


이병천(ho****)2019.09.0608:42:42신고

'동맹의 나라는 번창한다.'
이말은 최근 매티스 회고록에서 아프가니스탄에 미군의 역활이 활발하지 못해
아프가니스탄이 지금의 현실로 어려움을 당하고 있다고 회고했다.
그는 그러면서 한국은 40년 동안 동맹과 미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로
지금의 평화와 번영의 나라로 기회를 맞고 있다고 모범 사례로 우리나라를 들고있다고 한다..
사실이다.
우리가 미국과의 혈맹으로 지금의 대한민국을 건설할수있었고
이는 베트남의 사례에서도 그들의 급성장의 배경이 관심받고 있질 않는가??
요새, 청와대 대변인과 조국 그리고 여당에선 자주를 강조 독립을 이야기하며
극단적인 방향 '지소미아 파기'주한미군 철수'를 이야기하지만
이는 북한의 핵대치에 정면으로 위반하는 어리석은 기우일뿐이다...
사애리시와 같은 선교사로 유관순이 교육받고 민족 투사로 길러졌으며 그의 정신이 이어져 오듯
우리는 한미일 영원한 공조로 국가와 민족을 사수할 책임이 있음을 각인해야 한다고 믿는다..,
오늘..청문회 잘하길 바란다...조국!!
문통령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법무장관 임명철회를 국민들은 기대한다.

윤민상(seti****)2019.09.0607:28:53신고
공자와 맹자를 폄하하고 싶은 생각은 조금도 없다.
그러나 백성을 가축처럼 사육하던 500년 중화사대사상을 깨트린 것은
조선조말과 일제강점기에 이 나라에 들어와 젊음과 생명을 바친 초대 선교사들이다.
당시 서당 글 읽는 소리 안 들리는 동네가 없었고,
부모 돌아시게 만든 죄인이 하늘을 보면 안 된다며 쓰는 방갓이 거리에 넘쳐나고,
횟배를 앓는 얼굴 노란 어린이가 곰방대 물고 뒷곁에서 담배 피우는 모습은 흔한 광경이었고,
부모 중에 누구 한 분 사망하면 직장까지 다 때려치우고 삼년간을 묘 옆에서 시묘살이를 해야 했던
그 엄혹한 시기에 인간평등주의와 박애정신을 전파한 기독교 사상은
하늘과 땅을 뒤집어 놓은 천지개벽의 새 물결이었다.
이들이 아니었다면 유관순 이상재 이승훈 이승만 서재필 등이
한국 근현대사에 이름을 남길 수 있었을까?
그들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이 지금의 이 풍요를 누릴 수 있을까?
그러나 이승만은 지금 동상 하나 없는 역사에 뒷방 늙은이로 남아 있다. 못난 후손 탓이다.
박은실(p5****)2019.09.0607:22:26신고
이런 귀한 역사를 널리 알려주시는 하늘중앙교회와 김한수 기자께 감사드립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06/201909060016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