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우리나라

[175] 전쟁을 하는 두 가지 방법 신미양요와 명량해전 (

colorprom 2019. 7. 31. 15:49


    

[박종인의 땅의 歷史] 하늘이 도운 게 아니라 완벽한 준비로 이긴 것이다


조선일보
                         
               

 

입력 2019.07.31 03:01

[175] 전쟁을 하는 두 가지 방법 신미양요와 명량해전

박종인의 땅의 歷史
울돌목까지 조선 해군이 몰리게 된 속 터지는 경과에 대하여

"조선 수군이 수전을 잘하고 선박도 견고하니 어두운 밤에 몰래 나가서 습격하되 조선의 큰 배 한 척에 일본은 작은 배 5~6척 내지 7~8척으로 대적하고 화살과 돌을 무릅쓰고 돌진하여 일시에 붙어 싸운다면 격파할 수 있다."(1596년 12월 21일 '선조실록') 임진왜란 강화 협상을 위해 일본에 다녀온 황신(黃愼)이 일본 고위층에게 들었다며 조정에 보고한 내용이다. 당연히 조정에서는 이에 대한 대비를 했어야 했다. 그 대비는, 어이없게도, 두 달 뒤 해군총사령관 이순신 파면이었다.

그리고 1597년 음력 7월 16일 거제도 앞바다 칠천량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일본군은 밤중에 병선 5~6척으로 가만히 우리 진영 배를 포위했는데, 모두 모르고 있었다. 이날 이른 아침 복병선이 이미 불태워져 부서지자 사령관 원균이 크게 놀라 변을 알리는데, 갑자기 각 배 옆에서 적선이 충돌하니 군사들이 크게 놀라 실색하였다.' 조선 해군은 궤멸됐다. "겁낼 때에 겁낼 줄 아는 것은 병가의 요긴한 계책"이라며 경상우수사 배설이 퇴각시킨 전함 열두 척만 살아남았다.(조경남, '난중잡록'3 1597년 7월 16일) 8월 3일 전임 사령관 이순신이 복직됐다.('난중일기' 1597년 8월 3일)

한 달 뒤 추석이 왔다. 일본 해군은 육군과 합세해 남원으로 치고 올라갔다. 남원성을 지키던 지휘관은 명나라 장수 양원이었다. 기마술에 능했던 양원은 산세 험준한 교룡산성에 있던 조선군 본부를 "비겁하고 우둔하다"며 말 달리기 좋은 평지인 남원성으로 옮겨버렸다.

남원성 동서남북 네 문 가운데 동문을 제외하고 모두 일본 해군이 배치됐다. 일본군이 개미 떼처럼 성벽을 타고 넘자 양원은 말을 타고 도주했다. 추석 다음 날 4만 남원성민이 몰살됐다. 훗날 명나라 정부는 양원을 참수한 뒤 사과 명목으로 그 목을 조선으로 보냈다. 조선 정부는 천조국(天朝國) 장수 양원을 위해 사당을 지어주었다.(1598년 10월 8일 '선조실록')

이미지 크게보기
전남 진도 진도대교 아래 해협 이름은 울돌목이다. 물이 우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거세서 울돌목, 명량(鳴梁)이다. 이순신 동상 너머 해가 진다. 서기 1597년 이 해협에서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해군과 일본 해군이 싸워서 조선 해군이 승리했다. 백성의 희생을 배제한, 철저하게 준비된 승리였다. /박종인 기자
바다에서, 조선 수뇌부는 적지에서 어렵게 획득한 '심야 기습 포위 작전' 첩보를 새까맣게 무시했다. 일본군은 타깃 선정은 물론 공격 방법까지 정확하게 정해놓았고, 조선군은 이미 예고된 타깃을 정확하게 저격당했다. 원균이 전임 이순신으로부터 인계받은 군량미 9914석, 화약 4000근과 '각 배에 나눠 실은 수를 제외하고도 남아 있던' 총통 300자루('이충무공행록')는 수장됐다.

육지에서, 조명연합군 사령관 양원은 현지 상황을 무시하고 자기가 선호하는 작전만 고집하다가 패했다. 불과 한 달 사이에 조선 육지와 바다가 뚫려버린 것이다. 여기까지가 명량해전이 벌어질 때까지 조선에서 벌어진 오만 잡사 가운데 일부다.

복귀한 해군사령관 이순신이 전쟁을 준비한 방법에 대하여

남원 함락 전날인 음력 8월 15일 복직한 해군사령관은 '병력이 적으니 해군을 해체하고 육군에 편입하라'는 정부 명령서를 받았다. 이를 거부하고 이순신이 정부에 올린 보고서가 그 유명한 '신에게는 아직 배가 열두 척 있나이다, 죽을 힘을 다해 항전하겠나이다[今臣戰船尙有十二 出死力拒戰·금신전선상유십이출사력거전]'였다.('이충무공행록')

그리하여 많은 사람은 이렇게 생각한다. 명량해전은 상상을 초월한 정신력이 승리한 싸움이라고. 전투가 끝나고 이순신 또한 일기장에 "하늘이 도왔다[天幸·천행]"고 썼으니까.

그러하지 않았다. 하늘에 기댄 적은 일초도 없었다. 8월 3일 복직한 그날부터 9월 16일 전투 당일 아침까지 이순신은 몸이 불편한 날을 제외하고는 단 하루도 쉬지 않고 '새벽' '일찍' 출발해 행군했다. '난중일기'에 따르면 그는 이렇게 전쟁을 준비했다.

8월 3일 진주에서 재임명 교지를 받은 이순신은 곧바로 섬진강 하구 두치진을 건너 구례로 갔다. 바로 이날 하동에 상륙한 일본 해군이 두치진을 건너 남원으로 북상했다. 간발의 차이로 조선 운명이 달라졌다.(게이넨(慶念), '조선일일기' 1597년 8월 3일) 해군사령관이라면 응당 남하해 바다로 가야 했지만, 그는 생각이 달랐다. 해군 재건에 가장 필요한 군비(軍備) 확보였다.

장교 9명, 병사 6명을 동행해 곡성, 옥과를 거쳐 남하한 이순신은 순천, 보성(16일)에 닿을 때까지 군사를 모았다. 순천에서 정예 군사 60명이 모였고 보성에서는 120명으로 불어나 있었다.('행록') 배흥립, 송희립, 최대성, 김붕만, 이기남 등 전라좌수영을 함께 지휘했던 역전의 전사들이 재회했다.

둘째는 무기 확보였다. 순천에 있던 군사 창고는 조선군이 후퇴하면서 이미 파괴되고 없었다. 다행히 보성(15일) 창고에는 말 네 마리 분량의 무기가 남아 있었다. 이지, 태귀생, 선의 같은 활을 만드는 무기 제조 기술자도 합류했다. 바로 이날 해군 해체 명령서가 도착했다. 이순신은 거부했다.

군사와 무기 확보가 완료되고 8월 18일 이순신은 장흥 회령포에서 경상우수사 배설이 숨겨놓은 전함을 인계받았다. 한 척이 더 확보돼 조선 해군 함대는 열세 척이 됐다. 초라하기 짝이 없지만, 복직 보름 만에 전투에 필요한 병력과 무기와 전함이 확보된 것이다.

셋째는 유리한 위치 확보였다. 회령포는 포가 좁아 전투에 불리했다. 이순신은 20일 함대를 해남반도 동쪽 이진으로, 24일 해남 서쪽 어란포로 진을 옮겼다. 바로 다음 날 서진(西進)하던 일본 해군이 이진에 도착했다. 하루만 늦었으면, 궤멸이었다. 29일 함대를 어란포보다 안전한 진도 울돌목 동쪽 벽파진으로 이동시켰다.

그리고 9월 14일 어란 앞바다에 일본 전함 55척이 진입했다는 첩보에 다음 날 울돌목을 건너 옛 전라우수영으로 함대를 이동시켰다. 마침내 전투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이순신은 끊임없이 첩보원 임준영을 적지로 내보냈고, 그 정보에 따라 움직였다. 그사이 두 차례 소규모 전투가 벌어졌다. 이순신이 직접 지휘해 전투를 치러 이겼다.

이미지 크게보기
경남 남해 관음포에 있는 이락사(李落祠). 이씨 성을 가진 장군, 이순신을 기리는 사당이다. 사당 편액에는 '대성운해(大星隕海)'라고 적혀 있다. '별 하나가 바다에 떨어졌다'는 뜻이다.
직접 나선 이유가 있다. 칠천량 참패의 기억은 현실적인 공포였다. 그 궤멸 장면을 목격한 경상우수사 배설은 병(病)을 이유로 육지로 나가버렸다. 이에 지휘관이 직접 나서서 전투를 지휘해 공포심을 잠재운 것이다.

전투 전날 그가 군사들에게 이리 말했다. "살고자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산다." 그리고 그가 내린 명령은 "피란한 백성들은 즉시 육지로 올라가라고 하라"였다. 전쟁은, 군인이 치르겠다는 말이었다.

울돌목에서 벌어진 장엄한 승리 원인에 대하여

조선 해군이 가지고 있는 전함은 판옥선(板屋船)이고, 주력 무기는 대포다. 판옥선은 갑판 아래에서 격군이 노를 젓고 군사들은 갑판에서 전투하는 대형 군함이다. 일본군 주력 함선 아타케부네(安宅船)보다 높았다.

일본군 주력 무기는 조총이었다. 이동이 편하지만, 사거리가 짧았다. 조선군은 사거리 900보짜리 천자총통, 800보짜리 지자총통 따위 대포로 화살이나 탄환 수백 발을 동시에 발사해 원거리에 있는 적선을 파괴하는 전술을 구사했다. 일본 해군은 적선에 근접해 조총을 퍼부은 후 배에 올라타 칼로 싸우는 등선백병전(登船白兵戰)을 구사했다.

명량해전이 벌어진 장소는 울돌목이다. 울돌목은 조류가 강물처럼 거세고 가장 좁은 곳은 폭이 280m밖에 되지 않았다. 일본 아타케부네는 진입이 불가능했다. 판옥선보다 훨씬 작고 승선 병력도 적은 중형선 세키부네(關船)만 통과할 수 있었다. '적선 200여척이 바로 진을 친 곳으로 향하고 있었지만'('난중일기' 9월 16일), 실제로는 울돌목을 통과해 조선 함대 13척과 대결할 수 있는 배는 많아야 한 번에 6척에 불과했다.(정완희 등, '칠천량해전과 명량해전의 유형 전투력 분석') 산술적으로, 앞에 나온 '세키부네 5~6척당 판옥선 1척'이라는 일본 전술은 어긋나 있었다.

'난중일기'에 따르면 조선 해군은 '철환을 쏘고 화살 쏘기를 비바람같이 하며' 앞으로 나아갔다. 거제현령 안위의 배에 일본 군함 2척이 개미처럼 달라붙어 등선백병전을 개시했다. 이순신은 그 백병전에 개입하지 않고 '빗발치듯 어지럽게 화살을 쏴댔다.' 바다에 떨어져 죽은 일본 장수 마다시(馬多時)를 건져 올려 '마디마디 잘라[寸斬]' 내걸자 적들 사기가 꺾였다. 그리하여 적선 2척을 남김없이 무찌르고, 다른 적선 31척도 깨부수었다. 남은 적들은 퇴각했다.('난중일기' 9월 16일)

장엄했던 그날, 일본군 등선백병전에 말려든 조선 해군은 한 척밖에 없었다. 가용 자원을 최대한 확보하고, 그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전쟁터를 찾아 그 자원을 한꺼번에 사용한 전투였다. 대형 화기술과 원거리 전술로 일본 해군을 철저하게 응징한 날이었다.

'열두 척'과 '죽을힘'과 '의병과 죽창'에 대하여

이게 죽을힘을 다해 싸운 배 열두 척의 실체다. 정신력의 승리가 아니라, 객관적인 승리였다. 분산돼 있던 전력을 결집시키고, 그 전력에 합당한 전술을 써서 그 힘을 완전히 사용했다. 이순신은 전투 종료와 함께 함대를 이끌고 군산 앞바다 고군산열도까지 곧바로 북상했다. 작전상 후퇴라고도 한다. 영광 법성포 앞바다에서는 일본군에 약탈당하는 법성포를 목격하고도 지나쳤다.('난중일기' 9월 19일) 가용 자원을 소진해 목표를 달성하고, 불필요한 전투를 회피한 것이다. 백성에게 죽창을 들라고 요구하지도 않았고 의병을 일으키라고 하지도 않았다. 전쟁터를 떠나라는 요구를 백성이 오히려 거부했다. 이순신은 그들에게 '도우러 올 것처럼 먼바다에 피란선을 줄지어 배치하도록' 명하고 스스로 맨 앞에서 싸웠다.('행록')

그해 11월 19일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이순신 유해는 남해 관음포로 운구됐다. 관음포에는 그를 기리는 사당 이락사(李落祠)가 있다. 이락사 편액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대성운해(大星隕海)'. 큰 별이 바다에 떨어졌다. 여기까지가 이순신이 전쟁을 하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였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31/2019073100013.html



박성훈(bu****)2019.07.3110:06:08신고
명량에서 다룬 해전이 바로 이것이었지요? 영화보다 훨씬 실감이 나네요.
명량 영화를 다시 봐야 되겠습니다. 생각할 수록 마음이 아려오는 역사입니다.
나라의 운명이 바람앞의 등불처럼 흔들릴 때 자신의 임무에 충실했던
그리고 지혜롭게 그 일을 계획하고 실행했던 위인이 계셨습니다....
말 그대로 성스런 영웅, 성웅입니다.
오늘 일본을 이기기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생각하게 됩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31/201907310001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