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8.11.17 03:00
[김동길 인물에세이 100년의 사람들] (49) 강영훈(1922~2016)
강영훈은 가장 장군다운 장군이었고, 가장 대사다운 대사였고, 가장 총리다운 총리였다.
내가 오늘도 그를 잊지 못하는 것은
그가 '생활은 검소하게 생각은 고상하게'라고 우리에게 가르친 영국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가르침을 철저히 지켰기 때문이다.
95년 긴 인생을 살고 깨끗하게 떠난 한 시대의 선비였다.
그의 삶을 일관한 정신은 안중근의 순국 정신이요, 안창호의 애국정신이었다.
그의 삶을 일관한 정신은 안중근의 순국 정신이요, 안창호의 애국정신이었다.
남기고 간 마지막 저서의 제목처럼 '나라를 사랑한 벽창우'였기 때문에 나는 그를 잊을 수가 없다.
얼핏 보면 군인으로, 대학교수로, 외교관으로 고위 공직자로 순탄한 인생을 살고 간 것처럼 보이지만
그의 일생은 파란만장하였다.
민족사의 어려운 고비들을 잘 참고 이겨낸 우리 시대의 영웅이었다.
그는 평안북도 창성 사람이다.
그는 평안북도 창성 사람이다.
중학교를 일본에서 마치고 고향에 있는 고등 농림학교를 졸업하였다.
신생 만주국에 세워진 건국대학교 경제학과에 다녔는데 태평양 전쟁 중에는 학병으로 끌려갔다.
해방이 되고서야 풀려나 월남하여 서울에 마련된 군사영어학교를 1기생으로 졸업하여 소위로 임관했다.
그 뒤에도 계속 육군 공병 학교, 보병 학교, 헌병 학교 등을 두루 거쳤고
포병, 보병 학교의 고등 군사반도 졸업하였다.
내가 그를 우러러보는 것은 박정희 군사 쿠데타에 정면으로 반대하여
내가 그를 우러러보는 것은 박정희 군사 쿠데타에 정면으로 반대하여
혁명 나고 3일 만에 중장으로 예편되었다는 사실 때문이다.
시대의 양심 있는 군인으로 그는 온갖 고초를 다 겪어야만 했다.
당시 김웅수와 강영훈 두 장군이 군사혁명에 반대하였다는데 이 두 사람은 사돈 간이었다.
김흥수의 누이동생이 강영훈의 아내가 된 것이다.
역경에 처한 두 장군을 소중한 인재로 알아보고 그들에게 미국 유학 길을 열어준 것은
역경에 처한 두 장군을 소중한 인재로 알아보고 그들에게 미국 유학 길을 열어준 것은
아마도 미국 국방부나 국무부였을 것이다.
강영훈은 뉴멕시코대학을 거쳐 USC에 가서 정치학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이미 1950년대에 국방부 차관을 지냈고 육군 제6군단장으로 활약하기도 하며
60년대 들어 육군사관학교 교장 자리에도 올랐다.
군인의 정치 참여를 반대하는 그 두 사람은 원칙 하나 때문에 군에서 추방된 셈이다.
미국서 공부를 마치고 돌아와 한때 외국어대학 대학원장으로 후진 양성에 전념하기도 했지만
미국서 공부를 마치고 돌아와 한때 외국어대학 대학원장으로 후진 양성에 전념하기도 했지만
돌연 외교안보연구원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1981년에는 영국 주재 대사로 발탁되어 아일랜드 대사를 겸직하기도 하였고
85년에는 로마교황청 주재 대사로 시무하기도 하였다.
대통령 요청에 따라 그는 제13대 전국구 국회의원을 지냈고 국무총리에도 임명되었지만,
그의 그런 결정은 모두 나라를 위해 부득이하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군에서는 까마득한 후배이던 사람 밑에서 총리를 맡는 것을 조금도 부끄러워하지 않았으니
그는 정말 거인이었다.
남들이 뭐라고 해도 자기 자신이 나라를 위해 필요하다고 확신하는 일은 물불을 가리지 않고 해내는
보기 드문 이 시대의 애국지사였다.
나와 이야기를 나눌 때 그는 다만 선비였다.
나와 이야기를 나눌 때 그는 다만 선비였다.
한국 정치 현실에는 보수와 진보가 따로 있을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의견이었다.
"우리나라에 무슨 보수가 있습니까.
의회정치의 틀도 마련하지 못한 처지에 누구를 보수라고 하고 누구를 진보라고 하겠습니까.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려는 사람들을 보수라고, 반동이라고 비난할 수는 없지요.
평등을 위해 헌신하는 사람들을 진보라고 해야 옳은데
친북·종북 세력을 다 묶어 진보라고 한다면
자유와 평등의 두 가치를 구현해야 하는 이 나라에서는 무가치한 논쟁만 벌어질 뿐입니다."
우리 의견은 늘 일치하여 그를 만나면 형님을 만난 것처럼 흐뭇하였다.
그의 아끼는 딸 강혜연은 내가 존경하던 오천석 박사 아들 오정무와 혼인하였다.
그런 연유로 그 두 사람은 나를 아버지처럼 정답게 대해 준다.
그를 추억하면 떠오르는 일화가 하나 있다.
그를 추억하면 떠오르는 일화가 하나 있다.
둘이 이야기하면서 건국대학교에 다닐 때 교수이던 그의 스승 최남선을 친일파로 모는 부당한 일에
매우 분개하고 있었다.
"그 어른은 역사를 강의할 때마다 나라 사랑 정신을 강조하였습니다.
나는 최남선의 교육을 직접 받은 사람입니다. 어떻게 그런 어른을 민족 반역자로 몹니까. 언어도단입니다."
나도 감동하지 않을 수 없는 그의 소신이었다.
'친일인명사전'에 기재된 705명 중에 이광수, 모윤숙을 비롯한 문인들
그리고 백낙준, 김활란을 포함한 교육자들이 있는데, 그분들을 매국노로 매도할 수는 없다.
강영훈과 내 의견은 같았다.
그 시대를 살아 보지도 않은 사람들이 시대 상황을 잘 모르면서 과연 누구를 지탄할 수 있단 말인가.
누구를 반역자로 탓할 수 있단 말인가.
강영훈은 세 사람, 네 사람의 삶을 혼자서 다 훌륭하게 살 수 있을 만큼 유능한 인물이었다.
강영훈은 세 사람, 네 사람의 삶을 혼자서 다 훌륭하게 살 수 있을 만큼 유능한 인물이었다.
그는 청렴결백하여 자손들에게 한 푼도 남겨주지 않고 떠났다.
그의 통장 잔액이 '0'이었다고 들었다.
강영훈은 요한이라는 세례명을 가진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으니
하늘나라의 아름다운 동산에서 더욱 보람 있는 하루를 보낼 것이다.
고산 윤선도의 시조 한 수가 떠오른다.
고산은 지는 꽃, 시드는 봄풀을 보며 탄식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시조를 이렇게 마무리했다.
"아마도 변치 않을 손 바위뿐인가 하노라."
윤선도는 마당 어귀에 우뚝 서 있는 바위를 보면서 위로를 받았다.
그 바위를 그려 보면서 나는 강영훈을 생각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