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는 1948년 대한민국 출범] [10] 국군을 창설하다
서울 중앙청 광장에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이 열린 1948년 8월 15일 아침
조선경비대와 조선해안경비대가 용산에 집결했다.
이들은 세종로 서울소방소 앞으로 이동하여 오후 1시 반경
이승만 대통령과 이범석 국무총리 겸 국방장관 앞에서 사열식을 거행했다.
군악대를 선두로 보병대·병참대·통신대·해안경비대 등이 차례로 사열대를 지난 뒤
종로를 거쳐 동대문까지 시가행진을 벌였다.
광복이 되자 정치 지도자들과 군사 경력이 있는 청·장년은
되찾은 나라의 주권과 국민을 지키는 군대를 건설하고자 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광복군의 귀환이 늦어지면서
8월 30일 좌익 세력이 먼저 조선국군준비대를 조직했고,
국내에 들어와 있던 광복군 계열도 10월 29일 대한국군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
1945년 11월 미 군정에 등록된 군사 단체는 30개에 이르렀다.
사설(私設) 군사 단체들이 난립하면서 소란이 빚어지자
미 군정은 불편부당의 원칙을 내세워 좌우익의 모든 군사 단체들에 해산 명령을 내렸다.
그런데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반도에 임시정부 수립과 신탁통치안을 협의하기로 하자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국방에서 육군 못지않게 해군의 역할이 중요했다.
해안경비대는 1945년 11월 11일 손원일 등이 중심이 돼 "해양 투사는 오라"는 구호 아래 모집한
70명의 해방병단(海防兵團)이 모태가 되었다.
해방병단은 국방사령부로 편입된 후 조선해안경비대로 개칭했다.
1946년 1월 초 태극기가 나부끼는 진해 앞바다에서 첫 해상 훈련을 실시했고
이듬해에는 우리 손으로 만든 첫 군함인 충무공정(艇)을 진수시켜 인천 근해에서 편대 훈련을 했다.
1947년 가을 제2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미국 정부는 한국 문제를 유엔으로 이관하면서
조선경비대를 5만명으로 늘린다는 방침을 정했다.
1947년 12월 기존의 9개 연대로 서울·대전·부산에 각각 여단을 창설했고,
이듬해 4월 추가로 2개 여단이 편성됐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가장 시급한 과제의 하나는 국군 창설이었다.
1948년 8월 16일 이범석 국방장관은 '국군 장병에게 보내는 훈령'을 발표하여
"금일로부터 육·해군 각급 장병은 대한민국의 국방군으로 편성되는 영예를 안게 됐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장병들에게 진충보국(盡忠報國) 정신을 실천해
전 국민의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조선경비대와 조선해안경비대는 육군과 해군으로 개칭되었고
국군조직법이 제정됨에 따라 기병·포병·공병·통신·기갑·병참·경리 등 병과의 체계를 갖추었다.
8월 31일 광복군 선·후배인 유동열 미 군정 통위부장과 이범석 대한민국 국방장관 사이에
군사 업무가 이양됨으로써 대한민국 국군의 정통성이 광복군을 잇는다는 상징성을 나타냈다.
조선경비대가 국군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일본군·만주군·광복군·중국군 등 다양한 출신이 참여하면서
파벌적 이익이 아니라 천신만고 끝에 되찾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일심일체가 돼야 할 필요가 절실했다.
또 군에 침투한 상당수 좌익 세력을 솎아내는 숙군(肅軍)이 중요 과제로 떠올랐다.
군사 장비가 열악하여 부족한 무기를 확보하는 것도 시급한 당면 과제였다.
정부 수립 당시 국군은 육군이 5개 여단, 5만여명이었고 해군은 3000여명이었다.
1949년 10월 공군이 육군 항공사령부에서 분리 독립했지만 6·25전쟁 전까지 2000명이 되지 않았다.
미 군정은 대규모 정규군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여 병력 증강에 소극적이었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남북한이 분단된 상황에서 국방력 강화가 시급했다.
군과 이승만 대통령은 당시 병력으론 치안 유지에도 부족하므로 10만명으로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규군 10만명 확보'는 새로 출범한 정부의 당면 목표가 되었다.
공동기획: 한국정치외교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