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5.18 03:11
대사관 행사의 주역이 될 정도로 잡채는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이 되었다.
입력 : 2018.05.18 03:11
현대 한국인들이 즐기는 잡채는 사실 20세기에 탄생한 '하이브리드(hybrid)' 음식이다.
잡채의 주재료인 당면은 중국 산둥 지방 유래의 녹말면이다. 이름부터 '당면(唐麵)'이다.
중국 베이징에서는 펀쓰(粉絲), 일본에서는 하루사메(春雨)라고 한다.
한반도에 당면이 식재료로 들어온 것은 1910년대 이후이며,
당면을 사용한 잡채가 등장한 것은 그보다 훨씬 뒤인 1960년대 이후이다.
분식 장려 운동의 영향으로 고구마 녹말면의 활용법을 찾다가 (당면 순대와 함께)
지금과 같은 당면 잡채 조리법이 퍼졌다고 한다.
당면의 원산지가 어디이건 잡채는 이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코리안 푸드'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
달달 볶은 소고기와 양파의 고소한 향을 덧입힌 쫄깃한 당면을 싫어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부재료인 시금치와 당근은 영양 균형과 청홍(靑紅) 대비의 시각적 즐거움마저 더한다.
잡채는 이처럼 외부 것에 한국적 미감(味感)과 미감(美感)이 버무려져 새로운 보편성을 획
득한 사례이다.
전통은 닫힌 순수성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1+1=3' 또는 'A+B=C'의 열린 가능성을 추구할 때
더욱 굳건한 생명력을 가질 수 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명제는
가장 세계적인 것을 흡수하여 가장 한국적인 것으로 재창조하는 능력과 동전의 양면 관계가 아닌가 한다.
그러한 발상 전환에 한국의 미래가 달려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7/2018051703108.html
나 보란 듯 살자 (백영옥, 조선일보) (0) | 2018.05.19 |
---|---|
風林火山海 (서진영 9, 조선일보) (0) | 2018.05.18 |
인생은 도전 (CBS) (0) | 2018.05.18 |
성경의 가르침 (CBS) (0) | 2018.05.18 |
오미 상인의 산포요시 정신 (행복한 경영이야기) (0) | 2018.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