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이라는 학교 2015년 5월 6일 수요일
시편 119:65~119:80 / 543장 (통 342장)
여호와여 주의 말씀대로 주의 종을 선대하셨나이다
내가 주의 계명들을 믿었사오니 좋은 명철과 지식을 내게 가르치소서
고난 당하기 전에는 내가 그릇 행하였더니 이제는 주의 말씀을 지키나이다
주는 선하사 선을 행하시오니 주의 율례들로 나를 가르치소서
교만한 자들이 거짓을 지어 나를 치려 하였사오나 나는 전심으로 주의 법도들을 지키리이다
그들의 마음은 살져서 기름덩이 같으나 나는 주의 법을 즐거워하나이다
고난 당한 것이 내게 유익이라 이로 말미암아 내가 주의 율례들을 배우게 되었나이다
주의 입의 법이 내게는 천천 금은보다 좋으니이다
주의 손이 나를 만들고 세우셨사오니 내가 깨달아 주의 계명들을 배우게 하소서
주를 경외하는 자들이 나를 보고 기뻐하는 것은 내가 주의 말씀을 바라는 까닭이니이다
여호와여 내가 알거니와 주의 심판은 의로우시고 주께서 나를 괴롭게 하심은 성실하심 때문이니이다
구하오니 주의 종에게 하신 말씀대로 주의 인자하심이 나의 위안이 되게 하시며
주의 긍휼히 여기심이 내게 임하사 내가 살게 하소서 주의 법은 나의 즐거움이니이라
교만한 자들이 거짓으로 나를 엎드러뜨렸으니 그들이 수치를 당하게 하소서
나는 주의 법도들을 작은 소리로 읊조리리이다
주를 경외하는 자들이 내게 돌아오게 하소서 그리하시면 그들이 주의 증거들을 알리이다
내 마음으로 주의 율례들에 완전하게 하사 내가 수치를 당하지 아니하게 하소서
THE SCHOOL OF PAIN |
I know, O Lord, that Your judgments are right, and that in faithfulness You have afflicted me. -Psalm119:75 |
In his book The Problem of Pain, C. S. Lewis observes that “God whispers to us in our pleasures, speaks in our conscience, but shouts in our pains: it is His megaphone to rouse a deaf world.” Suffering often helps us to redirect our focus. It shifts our thinking from immediate circumstances so we can listen to God concerning His work in our lives. Life as usual is re-placed by a spiritual schoolroom. how the psalmist maintained a teachable heart even during painful circumstances. He accepted them as orchestrated by God, and in submission he prayed, “In faithfulness You have afflicted me” (Ps. 119:75). Isaiah the prophet viewed suffering as a refining process: “Behold, I have refined you, but not as silver; I have tested you in the furnace of affliction” (Isa. 48:10). And Job, despite his laments, learned about the sovereignty and greatness of God through his troubles (Job 40?42). God Himself took on human form and suffered greatly: “For to this you were called, because Christ also suffered for us, leaving us an example, that you should follow His steps” (1 Peter 2:21).
The one with nail-scarred hands is near. He will comfort us and teach us in our suffering. -Dennis Fisher |
Dear Lord, life is so hard sometimes. Your purpose in my trials. and teach me to become the person that You desire me to be. |
We learn the lesson of trust in the school of trial. |
고통이라는 학교 |
여호와여 내가 알거니와 주의 심판은 의로우시고 주께서 나를 괴롭게 하심은 성실하심 때문이니이다 -시편 119:75 |
씨 에스 루이스는 《고통의 문제》라는 그의 저서에서 그의 관찰을 이렇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즐거울 때에는 속삭이시고, 우리의 양심에는 말씀하시며, 우리가 고통 중에 있을 때는 크게 외치신다. 고통은 귀먹은 세계를 깨우는 하나님의 확성기이다.” 고통은 우리의 일상의 관심을 새로운 방향으로 돌리는데 종종 도움을 줍니다. 고통은 우리 삶 가운데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일에 대해 그분의 말씀을 들을 수 있도록, 우리의 생각을 바로 눈앞의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줍니다. 그래서 우리의 일상생활을 영적인 배움의 교실로 바꾸어놓습니다. 시편기자가 어떻게 하나님의 가르침에 잘 따르는 마음을 유지했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그는 그 고통들이 하나님의 섭리 속에 있음을 받아들이고, 순종하는 마음으로 이렇게 기도했습니다. “주께서 나를 괴롭게 하심은 성실하심 때문이니이다”(시 119:75). 이사야 선지자는 고통을 하나의 연단하는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보라 내가 너를 연단하였으나 은처럼 하지 아니하고 너를 고난의 풀무 불에서 택하였노라”(사 48:10). 그리고 욥은 한탄하는 가운데서도, 그의 고난을 통해 하나님의 통치와 그분의 위대하심을 배웠습니다 (욥 40-42장). 하나님 자신도 인간의 형체를 취하셔서 큰 고통을 당하셨습니다.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벧전 2:21).
못 자국이 난 손을 가지신 분이 우리 가까이 계십니다. 주님은 우리가 고통 중에 있을 때 우리를 위로하시며 깨우쳐주실 것입니다. |
사랑하는 주님, 때로 삶이 너무나 힘겹습니다. 늘 보지 못함을 고백합니다. |
우리는 시련이라는 학교에서 믿음이라는 교훈을 배운다. |
'+ CBS오늘의 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 탑승 (0) | 2015.05.08 |
---|---|
삐걱대는 바퀴 (0) | 2015.05.07 |
기쁜 마음 (0) | 2015.05.07 |
사상 최고의 결혼식 (0) | 2015.05.04 |
섬기는 자 (0) | 201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