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환목사님

말없는 설교단이 된 화형주

colorprom 2014. 8. 30. 16:16

말없는 설교단이 된 화형주

 

희생자들은 잔인한 고문 끝에 죽임을 당하였는데,

화형을 집행할 그들의 고통을 더욱 연장시키기 위하여 화력을 약하게 하라는

특별한 지시가 주어졌다. 그러나 그들은 마치 승리자들처럼 죽었다.

그들의 지조는 변함이 없었고, 그들의 평화에는 그늘이 없었다.

박해자들은 그들의 확고부동한 태도에 어찌할 없음을 알고 자신들이 패배한 것을 느끼었다.

“단두대는 파리의 모든 거리에 세워지고 화형은 날마다 계속 집행되었는데,

이렇게 사형의 집행을 백성들에게 보여줌으로 이단에 대한 공포심을 갖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마침내 복음이 최후의 승리를 얻었다.

파리의 모든 시민들은 새로운 주의가 어떠한 종류의 사람을 만들어 있는지를 있었다. 순교자 화형시키기 위하여 쌓아올린 장작더미처럼 좋은 설교단은 다시없었다.

사형 집행장으로 끌려갈 , 사람들의 얼굴에 나타난 조용한 기쁨,

심한 불길 속에 있는 그들의 영웅적 태도, 모욕에 대한 그들의 온유하고 관대한 용서 등은

많은 사람들의 분노를 동정으로, 증오를 사랑으로 바꾸어 주었고,

저항할 없는 웅변으로 복음을 옹호하는 방편이 되었다”

 

(Wylie, b.13, ch.20).

 

There Was No Pulpit Like the Martyr's Pile

 

The victims were put to death with cruel torture, it being specially ordered that the fire should be lowered in order to prolong their agony. But they died as conquerors. Their constancy were unshaken, their peace unclouded. Their persecutors, powerless to move their inflexible firmness, felt themselves defeated. "The scaffolds were distributed over all the quarters of Paris, and the burnings followed on successive days, the design being to spread the terror of heresy by spreading the executions. The advantage, however, in the end, remained with the gospel. All Paris was enabled to see what kind of men the new opinions could produce. There was no pulpit like the martyr's pile. The serene joy that lighted up the faces of these men as they passed along . . . to the place of execution, their heroism as they stood amid the bitter flames, their meek forgiveness of injuries, transformed, in instances not a few, anger into pity, and hate into love, and pleaded with resistless eloquence in behalf of the gospel."--Wylie, b. 13, ch. 20. The Great Controversy, 226.
  

'+ 박정환목사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을 밝게 하는 말들  (0) 2014.09.01
모든 말에 네 마음을 두지 말라   (0) 2014.08.31
이성을 대신하는 감정  (0) 2014.08.29
올바른 신앙적 결과  (0) 2014.08.28
그를 찬송할지로다  (0) 201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