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주말] “살아 있잖아요!”
[아무튼, 줌마]
![](https://blog.kakaocdn.net/dn/cNZD0R/btrHpDXnTUd/6wukbCBvA8RfaHDLd3Ktak/img.webp)
지혜와 경륜, 게다가 넉살까지 갖춘 ‘할머니 친구’를 사귀는 건
즐겁고도 든든한 일입니다.
두 어머니가 계시지만, 딸이고 며느리라 오히려 털어놓지 못할 고민을
‘할머니 친구’에겐 무람없이 할 수 있거든요.
‘홍대 앞 할머니’가 그런 분입니다.
‘대모’라기엔 체구가 귀여운 소녀 같고, ‘멘토’라기엔 좀 딱딱해서
그냥 서로 존대하며 친구처럼 지냅니다.
그러고 보니 벌써 10년 우정!
예전엔 이메일로 소식을 주고받다
카톡이 생긴 뒤로는 매주 한두 번 문자로 안부를 전하지요.
언제나 그렇듯 제가 푸념하고 그분은 다독여주시고요.
아버지 돌아가셨을 때도, 큰애 군대 보낼 때도, 나이 쉰에 맹장 수술 했을 때도
특유의 짧고 담백한 문장으로 절 응원해주셨지요.
흐르는 강물처럼 조용한 성품인데도 위트가 뛰어나 저를 빵 터지게도 합니다.
지난주엔 수학자 허준이 얘기를 주고받다 웃었지요.
“우리 수학은 가르치는 게 문제 있어요.
저도 수학 시간에 딴짓 하다가 걸려 선생님이 백묵을 슝~ 날린 적 있지요.
‘이놈들아, 나중에 계를 하더라도 빵꾸는 안 내야 되잖아!’.”
아주 가끔 속내를 드러내실 때도 있는데 그 방식이 우아해요.
얼마 전 함께 살던 딸네 가족이 미국으로 가게 돼 공항에서 작별 인사를 했는데
카톡에 이렇게 쓰셨더군요.
“공항에서 오는 길, 나도 남편도 아무 말 안 하고 창밖만 내다봤어요.
‘결혼시키고 올 때가 꿈 같네’ 하자, 남편이 ‘꿈이지’ 그래요.
집에 와서는 음악을 크게 틀어놓고 문을 잠그고 우는지 안 내려오더라고요.
헤어지고 만나고… C’est la vie(세라비), 그게 인생이죠.”
지난주엔 이러저러 속 끓는 일로 제가 또 시시콜콜 불평을 이어가자,
단 한마디로 정리해주시더군요.
“다 잊어버려요. 우리, 살아 있잖아요!”
이번 주 배준용 기자가 쓴 ‘손웅정 신드롬’은
강하고도 자애로운 아버지의 속정과 눈물이 배어 있어 뭉클했습니다.
지면에 못다 쓴 이야기가 많아 배 기자가 뉴스레터로 배달한답니다.
현역선수로 뛰다 부상으로 은퇴한 뒤 네 식구 먹여 살릴 길 없어 막노동판을 뛴 이야기,
손흥민 선수의 형 흥윤씨도 어릴 때 똑같이 축구 훈련을 시켰는데
형제가 어떻게 다른 길을 가게 됐는지 전해드립니다.
제가 ‘홍대 앞 할머니’를 소재로 썼던 ‘新줌마병법’도 함께요.
아래 QR코드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갖다 대거나, 인터넷 주소창에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5743을 넣으면 뉴스레터 구독 창이 열립니다.
거기에 ‘이메일 주소’와 ‘존함’을 적고 ‘구독하기’를 누르시면
그날부터 해당 이메일로 레터가 날아갑니다.
'세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물상] 켄타우로스 변이 (0) | 2022.07.16 |
---|---|
[백영옥] [261] 과잉의 청구서 (0) | 2022.07.16 |
[윤희영] 한국판 정글의 법칙, ‘갑질’ (0) | 2022.07.12 |
‘월세 시대’ (0) | 2022.07.12 |
[홍성욱] [8] 제자를 알아본 스승 (허준이, 히로나카 헤이스케, 오스카 자리스키)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