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은 간병 휴직하면 임금 67% 주는데, 한국은 무급
한국 간병인 부담 月 280만원
거동이 불편한 부모를 돌보는 자녀들의 간병은 퇴직으로 이어지고
노동력 공백이라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경제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우선 간병 휴직.
가족 1인에 한해 최대 93일 휴직할 수 있으며, 3회 분할 휴직이 가능하다.
가족 범위는 배우자, 부모, 조부모, 배우자 부모 등으로 폭넓다.
계약직 사원도 1년 이상 일하는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간병 휴직을 이용할 수 있다.
간병 휴직을 하면 ‘간병 휴업 급부금’이라고 해서 임금의 67%가 지급된다.
간병 휴가 제도도 마련돼 있다.
부모님 통원이나 간병 서비스에 필요한 업무를 하기 위해 1년에 5일까지 쉴 수 있다.
대상 가족이 2명이면 10일로 늘어난다.
그렇다면 한국은?
우리나라에도 간병 휴직(가족돌봄휴직제도·연 90일) 제도가 마련돼 있는데
일본과 달리 무급이 원칙이다.
단기 간병 휴직은 없고, 한번 휴직하면 최소 30일을 쉬어야 하는 등 조건이 까다롭다.
그래서 실제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다.
그렇다고 간병인을 쓰기도 쉽지 않다.
2019년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간병인 고용 시 월 평균 부담액이 280만원에 달했다.
또 이들 환자 중 85%는 월소득 200만원 미만이었다.
국내 간병 보험 시장은
암과 치매보험에 특약으로 간병비·간병인 비용을 보장하는 형태로 시작했고
최근에는 이 두 가지를 합친 종합형 간병 보험이 등장했다.
전문가들은 “보장 사항을 꼼꼼히 비교한 뒤 가입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치매보험에 딸린 간병비 특약의 경우 지급 조건이 너무 까다롭지는 않은지,
일일 간병비는 충분한지 등을 세부적으로 살펴봐야 한다는 뜻이다.
'[바깥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 탱크 박살낸 터키제 드론 ‘바이락타르’ 열풍 (0) | 2022.04.12 |
---|---|
[우크라이나]“새벽4시 폭발음, 남편 딱 한마디 했다” 우크라 영부인이 말한 전쟁 그날 (0) | 2022.04.12 |
지금 일본에선, 중년의 아들이 부모 간병의 짐 떠안는다 (0) | 2022.04.12 |
[독일] 푸틴을 사랑한 獨 엘리트들 (0) | 2022.04.09 |
[중국] 대륙의 자유인들 <26회>수십만 아사한 1948년 창춘의 기억 (0) | 202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