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의 世說新語] [577] 부작무익 (不作無益)
조선일보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입력 2020.06.25 03:16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꼭 해야 할 일은 버려두고, 굳이 안 해도 좋을 일이나 해서는 안 될 일만 찾아서 한다.
잠깐 통쾌함으로 백일의 근심과 맞바꾼다.
윤기(尹愭·1741~1826)가 '정고(庭誥)'에서 말했다.
"'서경'에서는 '무익한 일을 하여 유익함을 해치지 말라(不作無益害有益)'고 했다.
대개 무익한 일을 하면 이익이 없을 뿐 아니라, 그 폐단이 반드시 해로운 데 이르는 까닭에
성현께서 경계로 삼으신 것이다.
요즘 사람들을 살펴보니 유익함과 무익함의 구분이 너무도 분명해서,
말 한마디 동작 하나도 자기에게 유익하면 하고, 무익하면 하지 않는다.
남이 어떤 사람을 위해 충성하는 것을 보면 쓸데없는 짓이라고 나무라고,
제 몸을 위한 꾀에 재빠르지 않으면 허술한 사람이라고 비웃는다.
소위 무익한 일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인정머리 없고 염치도 던져버린 시정잡배의 습속이다.
이른바 유익함을 해치지 않는다는 것은
의리를 배반하고 사사로운 욕심을 따르는 좀도둑의 재주에 지나지 않는다
(書曰:“不作無益害有益.” 蓋作無益,則不但無益而已,其弊必至於有害,
故聖賢以爲戒.竊甞觀今之人, 於有益無益之分甚明, 一言一動, 有益於己則爲之, 無益於己則不爲.
見人忠於爲人者, 則譏之以不緊. 緩於謀身者, 則哂之以歇客.
而其所謂不作無益者, 只是沒人情墜廉恥底市井之習也.
其所謂不害有益者, 不過背義理徇私慾底穿窬之技也)."
사소한 이익에 팔려 대의를 놓친다.
남을 힘들게 하고 괴롭히며 시정잡배와 좀도둑의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
결국은 자신이 더 불리하고 불행하게 될 줄은 생각지 못한다.
'서경' 여오(旅獒)의 말은 이렇다.
"무익한 일을 하여 유익한 일을 해치지 않는다면 공이 이루어진다.
이상한 물건을 귀하게 여기면서 보통 쓰는 물건을 천하게 보지 않아야 백성이 넉넉해진다.
먼 곳의 물건을 보배로 여기지 않으면 먼 데 사람이 찾아오고,
어진 이를 보배로 여기면 가까운 사람이 편안해진다
(不作無益害有益, 功乃成. 不貴異物賤用物, 民乃足. 不寶遠物, 則遠人格, 所寶惟賢, 則邇人安)."
이치가 이렇게 단순하고 명료한데도, 나랏일도 사람 일도 자꾸 반대로만 간다.
문제가 풀리지 않고 자꾸 꼬여만 간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25/2020062500034.html
'세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북전단]'표현의 자유' (0) | 2020.06.25 |
---|---|
[625전쟁]"김일성이라는 작자는 정치와 전쟁 구별이 안 되는가" (0) | 2020.06.25 |
'6.25의 노래’ (0) | 2020.06.25 |
[625전쟁70년]오늘의 대한민국은 70년 전 비극을 기억하고 있는가 (0) | 2020.06.25 |
겸손한 사람과 함께 일해야 하는 이유 [행복한 경영이야기] (0) | 2020.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