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신문]

2020년 6월 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colorprom 2020. 6. 1. 13:09

2020년 6월 1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G11’ → 트럼프, 기존의 G7(주요 선진 7개국 모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에

한국, 호주, 러시아, 인도도 초청 G11로 가고 싶다. 중국 고립 의도도 담겨.(매경)

 

2. ‘코로나 백신, 아무리 서둘러도 3년 안에는 힘들다’ → ‘연말까지 개발’은 정치가의 간절한 염원일 뿐...

백신은 통상 8~15년 걸려. 2002년 사스백신은 개발 중 질병이 사라져 개발 중단 된 상태.

지금껏 코로나 바이러스류 백신은 만든 적 없어. 강진한 가톨릭대 의대 백신바이오연구소장.(중앙)

 

3.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 심리

타인의 불행이나 고통을 보면서 기쁨을 느끼는 인간의 이중적 심리.

독일어 ‘샤덴’(고통) + ‘프로이데’(기쁨)의 합성어.(중앙선데이, 칼럼)

 

4. 코로나로 골프장은 ‘호황’ → 골퍼들이 해외에 못 나가고, 골프 말고는 다른 야외 활동이 힘들어

웬만한 골프장은 다 만원. 골프장 매출, 수익 20~30% 늘어.(중앙선데이)

 

5. 첫 민간 유인우주선, 우주정거장 도착

머스크(테슬라 CEO)가 세운 민간 우주 탐사기업 ‘스페이스X’가 발사한 ‘크루 드래건’ 호.

NASA 출신 우주인 2명 태우고 민간인 우주여행 가능성 시험.(한경 외)

 

6. 미국 식당에서 ‘웨이터’를 부를 때 ‘헬로’가 아니라 ‘웨이터’...

우리 정서에는 아무리 ‘급사’라도 해도 ‘급사’라고 부를 수 있나 정서가 있지만

미국은 그런 마인드는 없다.(중앙선데이, 전문가 칼럼)


*정 어색하면 “Excuse me!” 또는 “Pardon me!”도 좋다

 

7. 민식이법 시행 후 ‘운전자보험’ 가입 급증 → 시행전 보다 2.4배 늘어.

여러 곳 가입해도 중복 보상되는 건 아님. ‘보험이면 다 된다’... 교통사고 경각심을 해칠 우려도.(중앙선데이)

 

8. 15, 16세기까지 중국·인도·중동 과학에 밀렸던 서구 과학이 약진한 이유

중국 등이 ‘요순시대’의 복원처럼 과거지향이었던데 비해

서구는 그리스·로마 지향의 시야를 버리고 미래를 꿈꿨다.(중앙선데이, 서평기사 중)

 

9. 『한국 수학사』, 『나라의 힘은 수학 수준에 비례한다』, 『역사의 역습』, 『천황은 백제어로 말한다』,

『일본의 몰락』... → 30일 타계한 수학자 김용운(94세)이 남긴 150여권 저서들 중.(중앙)

 

10. 기타 → ①스페인 간 벨기에 왕자, 봉쇄명령 어기고 파티... 코로나 걸려 격리 망신
中언론 ‘美 흑인시위 아름답다’... 펠로시의 ‘홍콩시위 아름답다’ 발언 조롱
대전현충원 현판 ‘안중근체’로 교체. 안 의사의 쓴 ‘장부가’ 한글 원본에서 발췌해 만든 서체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