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공부

[국가 부채 급증][1~5]

colorprom 2020. 5. 15. 15:53


5[사설] 세계 89국이 시행 중 '국가부채 제동장치' 있어야 한다


조선일보
             
입력 2020.05.15 03:26

[국가 부채 급증] [5·끝]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기업 도산, 실업 대란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재정지출을 대폭 늘렸다. 그 결과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1996년 12%에서 1999년 22%로 급등했다. 현재 부채 비율 40%대에 비하면 낮은 편이지만, 3년 새 10%포인트나 급등한 것은 전례 없는 일이었다. 당시 우리 정부는 2003년까지 재정 적자를 없애고 균형 재정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2000년에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IMF(국제통화기금)의 감시, 세계경제 활황이란 3박자가 맞아떨어진 덕분이었다. 이후 지금까지 한국은 재정에 관한 한 세계 최우량 국가에 속하며 국가 신용등급이 일본보다 더 높은 상태를 유지해왔다.

문재인 정부 3년 만에 상황이 급변했다. 실정(失政)을 국민 세금으로 메꾸고 대형 선심 정책을 펴면서 적자 폭이 커졌다. 코로나 사태로 최소한의 금기조차 사라졌다. "국가부채 비율 60%도 괜찮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런 식이면 부채 비율 100%도 무너진다. 외환 위기 때와 비교하면 건전재정 의지를 가진 정부도, IMF 같은 외부 감시자도 없고, 세계경제 활황도 없다. 여기에 더해 정치권은 포퓰리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야당의 견제 역할도 없다는 뜻이다. 지난 총선에서 야당마저 전 국민 재난지원금, 전 대학생 특별장학금 지급 같은 매표(買票) 정책을 내놓았다.

희망을 걸 만한 것은 새로 선출된 의원 중 21대 국회에서 '재정 준칙(fiscal rules)' 법제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경제 전문가가 다수 있다는 점이다. 재정 준칙이란 국가부채·재정 적자 비율을 일정 수준 이하로 관리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것이다. 선진국은 물론, 개도국 대부분을 포함해 현재 89국에서 재정 준칙을 운영하고 있다. OECD 회원국 중 재정 준칙이 없는 나라는 한국과 터키뿐이다.

독일에선 한 해 재정 적자가 GDP의 3%를 넘지 않도록 헌법에 명문화하고, 국채를 찍어 새 빚을 내는 한도도 GDP의 0.35%로 제한하고 있다. 스웨덴은 재정수지가 GDP 대비 1% 이상 흑자를 내도록 의무화하고 있고, 스위스에선 재정 적자가 생기면 그다음 해 6년 동안 적자분을 메우도록 법으로 강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6년 정부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국가부채 비율을 GDP의 45% 이내, 연간 재정 적자를 3% 이내로 제한하는 '재정건전화법'을 만들어 국회에 제출했었다. 당시 민주당 의원들도 연간 국가부채 증가액을 GDP의 0.35% 이내로 제한하자는 '부채제한법'을 발의했다. 하지만 탄핵 사태와 정권 교체로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이제 문 정권이 이 법을 처리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렇다면 정부가 매년 국회에 보고하는 중장기 국가 재정 계획에 국가부채 감축 계획을 포함하는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재정 정보 공개 범위를 넓혀 국민 감시를 활성화하는 것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 이를테면 정부 예산안에 구체적인 사업 명세와 지출액을 세세하게 밝히도록 하는 것이다. 포퓰리즘 정치를 막을 수 있는 것은 법과 제도뿐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14/2020051404714.html



4[사설] 한번 늘어난 나랏빚은 줄지 않는다


조선일보
             
입력 2020.05.14 03:26

[국가 부채 급증] [4]

한번 늘어난 나랏빚은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를 겪은 선진국들 경험이 말해준다. OECD 국가들의 GDP 대비 평균 부채 비율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 73%에서 110%로 뛰었고, 위기가 지난 후에도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일단 시작된 복지 지출을 회수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불가능한 데다 고령화로 노인 관련 지출이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빚이 빚을 불러 눈덩이처럼 부푼다는 '부채 체증의 법칙'이다.

일본은 1990년대 초반만 해도 국가 부채 비율이 40%대였지만 거품경제 붕괴에 따른 불황을 오로지 국민 세금 투입으로만 대응하는 정책 실패를 범하면서 국가 부채가 급증했다. 경제 체질을 바꾸는 구조 개혁 대신 수요도 없는 곳에 도로·철도를 짓고 토건(土建)사업을 벌였으며, 전 국민에게 상품권을 나눠주는 일까지 벌였다. 일본의 부채 비율은 불과 5년여 만에 40%대에서 100%로 치솟았고, 다시 12년 만에 200%로 늘어났다. 경제는 살리지도 못한 채 빚만 부풀어 세계 최고의 고부채 국가로 전락했다. 이탈리아도 1980년 60%가 안 되던 부채 비율이 두 배로 불어나는 데 14년밖에 안 걸렸다.

예외가 없는 것은 아니다. 독일은 글로벌 금융 위기를 겪으며 82%까지 높아졌던 부채 비율을 정부가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60% 수준으로 줄였다. 불필요한 사업을 줄이고 세입 범위 내에서 지출한다는 원칙을 엄격하게 지킨 결과였다. 독일의 부채 축소가 가능했던 것은 국민이 방만한 재정 지출에 대한 거부감을 가져 포퓰리즘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본·이탈리아처럼 재정 건전성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없는 나라는 국가 부채가 두 배, 세 배로 불어나는 것은 순식간이다.

일각에선 우리 경우 코로나 위기가 끝나면 다시 국가 부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한국엔 빚을 줄이겠다는 의지가 아니라 늘리겠다는 의지를 가진 정부가 있다. 고통을 감내할 국민도 없다. 기초연금 인상, 아동수당 도입, 문재인 케어, 일자리 안정자금, 전 국민 고용보험 등 천문학적 돈이 들어갈 제도는 한번 만들면 없애거나 줄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꼭 필요한 복지제도는 도입하되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느냐를 먼저 따져야 한다. 지금이 놓치지 말아야 할 바로 그 시기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13/2020051304776.html

3[사설] 독일 같던 이탈리아가 지금의 病者 되는 데 불과 14년 걸렸다


조선일보                                  
             
입력 2020.05.13 03:26

[국가 부채 급증] [3]

일본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65세 이상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나라가

이탈리아독일이다.

두 나라 모두 재정 건전 국가였다.


그러나 2019년 현재 두 나라의 GDP 대비 국가 부채 비율독일 59.8%, 이탈리아 134.8%다.

독일은 2600조원이 넘는 천문학적 통일 비용을 지출하고도 우수한 재정 건전성을 자랑하며

경제 활력을 유지한다.

이탈리아는 만성 적자와 경제 침체에 빠져들면서 유럽의 병자(病者)로 전락했다.


두 나라 운명을 가른 것은 포퓰리즘 정치냐, 아니냐였다.

독일은 좌·우 정권을 불문하고 재정 건전성에 우선순위를 두고 국정을 운영해왔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겪으며 부채 비율이 82.4%까지 높아졌지만

메르켈 정부가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부채 비율을 20%포인트 이상 도로 줄였다.

독일에선 국가 부채로 미래 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국민 의식이 투철하다.


세금으로 선심 쓰는 포퓰리즘 정책이 유권자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정치 문화가 정착돼 있다.

2009년엔 신규 국채 발행액GDP의 0.35% 이내로 제한하는 제동 장치까지 헌법에 명시했다.

독일은 2000년대 초 저성장·고실업의 독일병을 겪을 때도 세금 풀고 빚 늘리는 손쉬운 정책 대신

노동·연금 개혁의 정공법으로 경제를 살려냈다.

그리스에 이어 유럽 2위 빚투성이 국가가 된 이탈리아는 정반대 길을 걸었다.

이탈리아는 한때 영국보다 잘사는 경제 대국이었다.

1970년대 초만 해도 부채 비율 40%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선심 쓰는 연금 제도현금 퍼주기로 재정이 급속도로 악화했다.

포퓰리즘은 국민을 타락시킨다.

연금 축소를 시도한 총리는 국민 저항으로 1년도 버티지 못하고 물러났다.

재정 위기를 겪고도 개혁 헌법은 부결됐다. 개혁이 불가능한 나라가 된 것이다.

국가 신용 등급은 투기 등급 직전까지 추락했다.

연금 등 현금 복지에 돈을 쓰느라 덜 급한 의료 투자는 뒷전으로 밀렸고

부실 의료의 처참한 실상이 이번 코로나 쇼크 때 그대로 드러났다.

국가의 위기에서 시작된다.

부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빚이 빚을 부르는 '부채의 함정'에 빠져든다.

투자자들이 국채를 외면하면서 이자가 급등하고 국가 신용 등급이 떨어지면서

화폐 가치가 급락하는 위기 패턴이 역사에 반복돼왔다.


구소련의 붕괴재정 파탄 국가가 어떤 상황을 맞는지 보여준다.

1992년 공식 인플레이션율이 2000%를 넘었다.

자동차를 살 돈이 2년 뒤엔 초콜릿 살 돈밖에 안 됐다.

1970년대 남미 국가, 2010년 그리스도 비슷한 국가 부채 위기를 겪었다.

그동안 우리의 재정 운용은 독일과 비슷했다.

역대 정권마다 건전 재정을 국가 운용의 주요 목표로 삼았다.

1997년 외환 위기, 2008년 금융 위기를 빠르게 극복하고

2012년 사상 처음으로 일본보다 국가 신용 등급이 높아진 것도 재정 건전성 덕이 컸다.


그랬던 나라가 문재인 정부 들어 이탈리아를 닮아간다.

재정 건전성은 국정 후순위로 밀리고 대통령이 앞장서 '부채 비율 40%' 방어선을 폐기하라고 지시한다.

세금 아끼는 것이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사고방식으로 몰리고,

국민 세금 펑펑 쓰는 것이 미덕처럼 통용되며 재원은 따지지 않는 선심성 사업이 봇물 터지듯 쏟아진다.

세금으로 표를 사는 노골적인 매표(買票) 국정도 극성이다.


이번 코로나 위기 때도 피해 계층, 피해 기업 구제는 뒷전이고

정부와 정치권이 '전 국민 현금 살포'부터 앞장섰다.

이 위기가 지난 뒤 부채를 줄이려는 의지가 있는지도 의문이다.

지난달 글로벌 신용평가사 S&P가 한국의 신용 등급을 기존대로 유지하면서도

이례적으로 '균형 재정'을 강조했다.

피치도 "국가 채무 비율이 오는 2023년 46%까지 높아질 경우

국가 신용 등급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13/2020051300011.html

2[사설] 선진국도 '고령화' 전엔 우리보다 부채비율 낮았다


조선일보
             
입력 2020.05.12 03:26

[국가 부채 급증] [2]

정부·여당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선진국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나랏빚을 더 내 씀씀이를 늘려도 괜찮다고 말하고 있다. OECD 평균 부채 비율이 109%인 반면 우리는 42% 수준이기 때문에 재정 여력이 충분하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미 지난해 초대형 예산 편성을 지시하면서 '40% 마지노선'의 폐기를 주문했었다. 민주당 일각에선 부채 비율을 60%까지 높여도 된다는 주장도 한다. 역대 정부가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지켜온 '40%' 방어선을 포기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선진국보다 재정 여력에 여유가 있다는 주장은 저출산·고령화 변수를 감안하지 않은 것이다. 선진국도 고령화 전엔 국가부채 비율을 낮게 유지했었다. 독일은 1972년에 65세 이상이 인구의 14%를 넘는 '고령사회'에 진입했는데 그해 채무 비율은 18%에 불과했다. 1975년과 1990년에 각각 '고령사회'가 된 영국과 프랑스의 해당 연도 부채 비율은 44%, 36%였다. 이 나라들은 그 후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천문학적 비용 증가로 국가부채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한국의 '고령사회' 시점은 2018년이다. 선진국보다 30~40년 늦게 진입했지만,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선진국들의 재정 악화 코스를 그대로, 더 빠르게 밟아갈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고령화가 진행되면 생산인구 감소로 세입이 줄어드는 반면 노인복지·의료비 등에 투입돼야 할 정부 지출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예컨대 65세 이상에게 최대 월 30만원을 주는 기초노령연금 지출의 경우 지난해 약 15조원에서 2045년엔 101조원으로 7배나 늘어나게 된다. 이 기간 중 65세 이상 인구가 1000만명 증가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노인에게 기초연금을 주기 위해 납세자 1인당 연간 36만원을 내지만, 2045년엔 240만원을 부담해야 한다. 동시에 노인돌봄 서비스, 노인일자리 사업 같은 각종 복지 지출과 의료비도 급속도로 늘어나게 된다. 여기에 보장 범위를 대폭 확대한 '문재인 케어'가 더해지면서 건보료 지출이 급증하고, 건강보험 적립금은 2024년 바닥나게 된다. 국민연금도 2057년 적립금 고갈이 예정돼 있다. 건보와 국민연금 제도를 유지하려면 보험료를 더 걷거나 국민 세금으로 메워야 한다. 나랏빚이나 국민 부담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런 처지인데 3년 전 한국은행은 소비세를 제외한 세금 수입이 50년 뒤엔 지금보다 연간 47조원 줄어들 것으로 보았다. 생산 인구가 감소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기 때문이다. 그만큼 재정적자가 늘어나 국가부채를 팽창시키게 된다. 지난해 국회예산정책처는 2050년 국가채무 비율이 지금보다 두 배 이상 높은 85.6%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정치권이 새로 눈을 뜬 대규모 현금 살포 정책을 더하고 기초연금 증액까지 반영하면 실제 채무 비율은 100%를 훨씬 넘어설 것이다. 경제성장률이 1~2%대 아래로 내려가면 국가부채는 더 크게 늘어난다.

국민이 세금과 각종 사회보험료 형태로 떠안는 국민부담률도 현재 GDP의 27% 수준에서 30년 뒤엔 40% 이상으로 뛰어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가만히 있어도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 변화에 의해 지금 선진국보다 더 심각한 고부채·고부담 국가가 된다는 뜻이다. 게다가 우리는 통화 발권력으로 재정적자를 보강할 수 있는 기축(基軸)통화국이 아니다.

20~30년 뒤의 일이라고, 자식 세대의 문제라고 치부할 수 있는 사태가 아니다. 국가부채가 악화될수록 경제 현장에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그 부작용이 다시 부메랑처럼 돌아와 국가부채를 더 키우는 악순환이 벌어진다. 콜레스테롤이 혈관을 터뜨리기 전에 환자는 온갖 질환을 앓게 되는 것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11/2020051103504.html

1[사설] 100만원 나눠주면서 500만원 새 빚 안긴다


조선일보
                                           
입력 2020.05.11 03:26

[국가 부채 급증] [1]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 출범 3주년 특별 연설에서 "문제는 경제"라면서 "경제 위기 극복에 모든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했다. "전 국민 고용보험 시대의 기초를 놓겠다" "한국형 실업부조를 조속히 시행하겠다"는 등 고용 안전망 구축 청사진을 제시했고 '한국판 뉴딜' 구상도 밝혔다. "지금은 경제 전시 상황"이라는 상황 인식에 이의를 제기하는 국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3차 추경'을 공식화하면서도 재정 적자 악화에 대해선 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밝은 빛'만 내세우고 그 빛이 만든 '그림자'에 대해선 모른 척해 온 것이 지난 3년이었다.

정부는 코로나 사태 전 올해 예산을 편성하면서 일자리 창출과 복지 확대를 명분으로 경제성장률의 네 배에 달하는 증가율(9.1%)로 512조원 수퍼 예산을 편성했다. 새해 들어서도 투자, 고용, 수출 등 각종 경제지표가 좋지 않자 예산 서류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예산을 더 늘리는 조기 추경을 추진했다. 결국 코로나를 명분 삼아 3~4월에 24조원 규모의 1·2차 추경을 잇따라 편성했다. 이에 따라 올해 찍어야 할 적자 국채 규모가 무려 74조원대로 늘었다. 작년 적자 국채 발행액의 2배가 넘고, 재작년 적자 국채 발행액의 5배에 이르는 것이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3차 추경은 최소 30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직자 93만명에게 150만원 지급 등 각종 실업 대책에만 10조원가량이 들어간다. 정부 안팎에선 올해 세수 감소분이 20조원 이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3차 추경은 전액 적자 국채로 조달해야 할 상황이다. 이렇게 되면 올해 적자 국채 총액은 104조원으로 늘어난다. 적자 국채 발행액을 재난지원금 100만원을 받는 전국 가구 수(2171만가구)로 나누면 가구당 479만원에 이른다. 정부가 가구당 100만원씩 나눠주면서 그것의 5배에 가까운 새 빚을 함께 떠안기는 꼴이다. 작년엔 가구당 국가 부채가 3360만원이었는데, 올 한 해에 가구당 빚 부담액이 14%나 늘어난다. 국민에게 쓰는 선심의 몇 배나 되는 빚이 뒤에서 쌓이고 있다. 국민이 언젠가는 갚아야만 하는 돈이다.

정부와 여당은 "세계 최고 재정건전성을 갖고 있어 빚을 더 늘려도 괜찮다" "국가부채비율이 60% 선을 넘어도 상관없다"고 주장하지만 정말 그럴까.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 피치가 "국가부채비율이 2023년 46%까지 높아지면 신용등급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이 추세대로면 올해 국가부채비율이 45% 선을 넘게 된다.

국가부채비율이 224%에 달해 최악의 재정 부실 국가로 꼽히는 일본의 경우, 국가 예산 30%가량을 빚을 내 조달하는 기형적 구조를 갖고 있다. 올해 우리 정부가 적자 국채를 100조원 이상 찍으면 우리나라도 예산의 20%가량을 빚으로 조달하는 꼴이 된다. 일본은 국채 이자 갚는 데만 예산의 8%를 쓰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존 국채 빚 부담도 결코 작지 않다. 올해 정부가 지출하는 국가부채 이자만 18조9000억원에 이른다. 국민 1인당 37만원씩 부담하는 셈이다. 올해 적자 국채를 100조원 이상 발행하면 내년부턴 연간 이자 지출액만 20조원을 웃돌게 된다. 20조면 얼마 전 우리나라 국방 예산이다.

일본은 엔화가 국제통화인 데다 해외 순자산이 3조달러가 넘어 기형적 예산 구조를 감당할 수 있다. 게다가 일본 국채는 절반가량을 중앙은행이 인수하기 때문에 수요처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반면 우리나라 국채는 은행·보험사가 대부분 소화하며 외국인도 16%를 갖고 있다. 너무 빠른 국가부채 증가 속도 탓에 국가 신용등급에 적신호가 켜지면 남유럽 재정 위기 때 그리스처럼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국채 인수자를 찾기 어렵게 될 수 있다. 그리스는 유럽중앙은행(ECB)이란 보호막이라도 있었지만, 우리는 곧바로 국가 부도 위기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 적자 국채 남발과 국가부채 급증은 먼 산의 불로 알았는데 이제 우리 바로 코앞에 다가와 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10/202005100218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