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7.17 03:15
안정·상식 중시했던 英 보수당… 브렉시트로 심각한 내부 분열
총리 유력한 보리스 존슨 등 강경파, 포퓰리즘으로 黨 흔들어
지난 5월 유럽의회 선거 때 득표율 8.8%로 5위… 갈수록 약세
지난 수년간 영국 정치는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Brexit)라는 늪에 빠졌다.
지난 2016년 6월 국민투표(referendum)에서 52%가 '탈퇴'를 선택한 이래
집권 보수당 정부는 EU와 탈퇴 후 관계를 새로 정립하는 협상을 했지만,
이 안에 대해 당내에서조차 합의를 이뤄내지 못했다.
보수당 의원들은 '탈퇴'와 '잔류'로 나뉘어 대립했고, 결국 오는 22일 당원투표에서 새 총리를 뽑는다.
이런 총체적 난국에선 위인(偉人)을 찾는 법.
'매기(Maggie·마거릿 대처 전 총리의 애칭)라면 어떻게 했을까'라는 질문은
정책 세미나와 매체뿐 아니라 티셔츠·머그컵에도 등장한다.
6년 전 숨진 대처는 지난달 영국 보수당원 여론조사에서 윈스턴 처칠(95%)에 이어 둘째(93%)로 존경받는
당 지도자였고, 올해는 그가 1979년 총선 승리로 12년 장기 집권을 시작한 지 40주년 되는 해이기도 하다.
대처는 1988년 9월 유럽 통합의 심장부인 벨기에 브뤼주의 유럽칼리지에서 강력한 연설을 했다.
대처는 1988년 9월 유럽 통합의 심장부인 벨기에 브뤼주의 유럽칼리지에서 강력한 연설을 했다.
그는 "우리도 유럽 유산의 계승자이지만
유럽은 프랑스·스페인·영국이 각자의 관습·전통·정체성을 지키며 긴밀히 협력할 때에 더욱 강해진다"며
당시 유럽공동체(EC)를 지금의 '수퍼국가 유럽'으로 바꾸려는 움직임에 분명히 반대했다.
그는 브뤼셀의 임명직 관료들이 유럽 전체를 위한 결정을 내리고,
각국의 다양성을 합쳐 가공(架空)의 유럽인을 합성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못 박았다.
보리스 존슨 전 외무장관을 비롯해 "무슨 일이 있어도 브렉시트를 하겠다"며 이번에 총리 선거에 나선 이들은 20대 중반 이 연설에 열광했던 '대처의 아이들'이다.
물론 "대처라면 애초 이런 이슈를 선동가와 독재자의 도구인 국민투표에 부치지도 않았다"
"대처는 EU에 '가시' 같은 존재로 남아 영국의 이익을 극대화했을 것"이라는 측근들 증언도 있다.
대처가 이 연설을 한 30년 전 영국은 패전국 독일이 다시 유럽 대륙으로 권력을 모으는 것을 계속 의심했다.
대처가 이 연설을 한 30년 전 영국은 패전국 독일이 다시 유럽 대륙으로 권력을 모으는 것을 계속 의심했다.
지금의 독일은 국내총생산(GDP)의 2%도 국방비에 안 쏟아
장갑차에 기관총 대신 나무 봉(棒)을 꽂고 NATO(북대서양조약기구)군 훈련에 임해 동맹국들의 원성을 산다.
그래서 영국 지식인들은
"비민주적인 중국과 국제법을 무시하는 러시아의 부상, 중동과 북한의 위협,
트럼프 행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가 촉발한 무역 전쟁 등 숱한 위협이 새로 속출했는데
'브렉시트'를 최우선 공약으로 내건 이들은 30년 전 국제정치 현실에 갇혀 있다"고 비판한다.
근 200년 존속해 온 보수당의 정식 명칭은 '보수주의자·연합주의자당'이다.
잉글랜드·웨일스·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로 구성된 연합왕국(union)을 지킨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이 브렉시트 강경파는
지난번 국민투표에서 EU 잔류 의사가 더 많았던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가 앞으로 유니언에서 이탈하고,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더라도 '브렉시트'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렇게 해서 EU의 주권 간섭에서 해방되고, '대영제국의 영광'을 되찾겠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급격한 변화나 원대한 꿈은 철저히 의심하고,
이 과정에서 급격한 변화나 원대한 꿈은 철저히 의심하고,
상식에 기초해 신중한 변화를 꾀한다는 영국 보수주의의 제1 원칙은 사라졌다.
'토리(Tories)'라 불리던 귀족층이 시작한 보수당은 결코 특정 이념을 고집하지 않았다.
안정적인 국가 경영에 도움이 된다면 여러 아이디어에 개방적이었다.
그래서 당이 쪼개지고 집권에 실패하기도 했지만
토지 귀족층의 이익에 반해 외국산 곡물에 붙이던 고율의 관세를 폐지하고 계속 투표권을 확대하고
노동당의 복지국가 정책도 수용했다.
영국의 정치철학자 마이클 오크숏에 따르면
보수주의자란 "모르는 것보다 익숙한 것, 안 해 본 것보다 해 본 것, 신화보다 사실, 가능성보다 실제,
차고 넘치는 것보다 충분한 것, 완벽보다 편리, 이상향(理想鄕)적인 축복보다 현재의 웃음을 선호하는 사람들" 이다.
작년 이맘때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전문성이 없는 대중의 지혜란 것은 사회주의자들의 환상일 뿐,
보수주의자들은 인재(人材)들로 충원한 통치 계층의 판단에 의존한다"고 분석했다.
차기 총리로 유력한 존슨과 당내 지지세력은 이 모든 전통을 깼다.
차기 총리로 유력한 존슨과 당내 지지세력은 이 모든 전통을 깼다.
구체성도 없이 미국의 14%, 중국의 19%인 세계 5위의 경제 규모(GDP)로 과거 대영제국을 회복하겠다는
그의 말을 믿는 이는 사실 보수당원 중에도 많지 않다.
이들은 그저 유럽과 거리를 두며 번성했던 과거가 그리울 뿐이고, 존슨은 바로 그 비위를 맞춘다.
대처는 달랐다.
경제 자유화 초기인 1980년 실업 급증과 경기 후퇴로
당내 반대파에서 이전의 계획경제로 돌아가자는 목소리가 높았다.
대처는 단호했다.
"숨죽이고 유턴을 기다리는 이들에게 할 말은 이것뿐이오. 원하면 돌아가시오. 나는 돌아가지 않소!"
포퓰리스트에게 역사는 빠질 수 없는 소재다.
포퓰리스트에게 역사는 빠질 수 없는 소재다.
보수당의 브렉시트 강경파는 2차 대전 때 프랑스 해안 됭케르크로 수많은 작은 배를 몰고 가
독일군 포위에 갇힌 연합군 40만명을 구해낸 '됭케르크 정신'으로 이 위기를 극복하자고 호소한다.
하지만 일부에선
포퓰리즘 민족주의당으로 바뀐 보수당이 이대로라면 앞으로 더 쪼개져
군소 정당으로 몰락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지난 5월 유럽의회 선거에서 보수당은 8.8%로 5위였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브렉시트 이후 '안정과 실용적 접근으로 존중받던' 지금의 영국은 사라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포퓰리즘에 빠진 정당이 당과 나라를 어떻게 그르쳤는지 좋은 교훈이 될 것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