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총 해체운동 벌여온 손봉호 "전광훈 목사 거짓말 굉장히 위험" | |
|
백성호 기자
"전 목사, 기독교 대표인양 발언하는 건 거짓말
종교가 한쪽 정당 편 드는 건 굉장히 위험한 일"
- 전광훈 목사의 발언을 어떻게 보나.
“좋게 해석을 하려고 한번 시도해 보자.
전 목사는 아주 보수적인 이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 정권이 나라를 북한에 내주는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자기 나름대로 그걸 막고자 한다.
적어도 그건 대단한 애국심이다. 저는 애국심 그 자체를 나무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걸 ‘기독교’의 이름으로 하는 것에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
기독교가 정치 문제에 개입할 분야는 국한돼 있다.”
- 기독교가 정치에 개입할 수 있는 분야는 어디인가.
“인권과 정의, 그리고 평화다.
가령 정치단체나 정부, 혹은 국가가 인권을 유린할 때다. 과거 군사독재 정권이 그랬다.
상당수 국민이 말하고 싶어도 두려워서 말하지 못할 때, 종교가 개입할 수 있다.
그러나 종교가 절대 개입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사당(私黨) 정치다.
기독교 전통으로, 교회의 이름으로 한쪽 정당 편을 드는 것을 해서는 안 된다.”
- 만약 그럴 경우 부작용이 있나.
“우리나라는 다종교 사회다. 한국 사회만큼 종교 간 갈등이 없는 나라도 드물다.
그런데 기독교가 한 정당을 지지하고, 그 정당이 정권을 잡으면 어떻겠나.
다른 종교가 굉장한 위기를 느낄 수밖에 없다.
종교가 정치권력과 손을 잡는 순간, 우리 사회에는 갈등이 시작된다.
이건 굉장히 위험한 일이다.”
그게 왜 그토록 위험한가.
“기독교가 어디에 가장 초점을 두나. 하늘나라다. 그건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초월해 있다.
그래서 종교 자체는 절대화해도 괜찮다. 하나님 나라는 세상 권력과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교가 이념과 결탁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이념은 항상 정치적 색깔을 띤다.
종교와 이념이 결합하는 순간, 그 정치 이념 자체가 절대화된다.
답은 뻔하다. 종교는 결국 타락하고, 사회는 아주 위험해진다.”
손봉호 교수는 예수 당시의 일화를 꺼냈다.
고린도전서 1장에는 ‘유대인에게는 거리끼는 것이요, 그리스인에게는 어리석은 것이요’라는 구절이 있다.
손 교수는 전광훈 목사의 논란이 되는 행보에 대해
- 교양이 뭔가.
“간단하다. 자신의 말을 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기분을 나쁘지 않게 하는 거다.
그렇게 말하고, 그렇게 행동하는 거다. 그게 교양이다.
우리가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세 가지다.
첫째 예의에 어긋나는 것,
둘째 윤리에 어긋나는 것,
셋째 법에 어긋나는 것이다.
예의 없이 행동할 때 우리는 ‘교양 없다’고 말한다.
한기총은 이제 군소교단의 집합체다. 기독교를 대변하지 못한다.
그런데도 전 목사가 기독교계의 대표인 양 발언하는 것은 거짓말이다. 그건 비윤리적인 일이다.
저는 그런 ‘거짓말’에 대해서 화를 내고 지적하고 비판하는 거다.”
한기총은 출범 초기만 해도 개신교계의 대표 연합기관이었다.
- 전광훈 목사는 자신의 명의로 성명을 발표할 때도
- 서두에 ‘1200만 성도 여러분, 30만 목회자 여러분, 25만 장로님 여러분!’이라고 강조한다.
- 일종의 ‘세력 과시’다. 정치인들도 이걸 무시하지 못하고 휘둘리지 않나.
“맞는 말이다. 언뜻 보면 이게 다 ‘표’로 보인다. 그래서 정치인들도 (전광훈 목사를) 차마 무시하지 못한다.
실제로 상당한 기독교 세력을 등에 진 것처럼 보이니까.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 현실은 이것과 전혀 다르다.”
- 현실은 어떤가.
“정치인들이 상당한 착각을 하고 있다.
담임목사가 교회에서 한마디 하면 교인들이 모두 따라서 투표를 하는 줄 알고 있다.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건 극소수 교회에만 해당하는 이야기다.
선거는 잠깐 부는 바람이고, 교회는 지속적으로 경영해야 하는 대상이다.
담임목사라 하더라도 ‘누구를 찍으라’고 결코 말하지 못한다. 물론 말해서도 안 된다.
그런데도 정치인들은 자꾸 엉뚱한 기대를 한다.”
- 보수층에서는 이런 지적도 한다.
- “이명박ㆍ박근혜 보수 정부 때 정의구현사제단이 정치적 발언을 할 때는 괜찮고,
- 전광훈 목사가 정치적 발언을 하는 건 문제인가. 그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 어떻게 보나.
“그건 내용을 보고 평가해야 한다.
가령 정의구현사제단이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면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인권을 보호하라거나, 전쟁을 하지 말라는 발언을 했다면 비판할 수 없다.
종교가 ‘인권’이나 ‘전쟁 반대’ 등 보편적 동의를 얻는 사안에 대해서는 얼마든지 발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는 북한의 인권 유린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이다.
문재인 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 침묵하는 것도 저는 비판한다.
동시에 북한에 식량을 보내는 인도적 지원에 대해서 저는 찬성한다.
그 둘 다 보편적 가치에 입각한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 전광훈 목사는 모두 네 차례 기독교 정당을 설립해 총선을 통한 원내진출을 시도했다.
- 다음 총선에서도 그럴 것으로 보인다. 종교의 정치세력화는 어떻게 보나.
“종교의 정치세력화는 금기 중의 금기다. 이건 모든 사회가 강한 관심을 가지고 막아야 한다.
왜 그런가. 굉장한 독단으로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종교가 이념과 결합한 상태에서 ‘순교 정신’이 강조되면 엄청난 비극이 발생할 수도 있다.
종교는 돈과 명예와 권력 등 ‘세상적인 것’에 대해서 거리를 두어야 한다.
그래야 종교가 종교로 남을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종교로서도 끝이고, 정치와 사회까지 위험에 처하게 된다.”
- 종교와 이념이 결합하면 독이 된다고 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철학에서 ‘이론’은 ‘시어리(Theory)’다. 시어리는 논리적이고 객관적이고 냉정해야 한다.
그런데 거기에 정치적 확신이 들어가면 ‘이데올로기(이념)’가 된다.
흥미로운 게 뭔지 아나.
이데올로기에 빠진 사람들은 자기 이념이 냉정하고 객관적인 ‘시어리(이론)’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이데올로기에 빠져 있다고 믿는다.
카를 마르크스도 그랬다.”
- 카를 마르크스는 어땠나.
“자신의 학문은 ‘과학’이라고 불렀고, 다른 사람의 주장은 모두 ‘이데올로기’라고 칭했다.
그런데 아이로니컬하게도 마르크스의 이론이 역사적으로 이데올로기가 되고 말았다.
요즘도 마찬가지다.
보수에게 물어도, 진보에게 물어도 똑같이 답한다.
자신의 생각은 과학이고, 상대방의 생각은 이데올로기라고 말한다.
그런데 세상의 모든 ‘시어리’가 이데올로기가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게 우리의 출발선이어야 한다.”
손봉호 교수는 ‘한기총과 전광훈 목사’건이 “더 큰 문제로 흘러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한기총 해체운동 손봉호 "전광훈 거짓말 굉장히 위험"
'이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터미' 박한길 대표·아내 도경희씨,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현금 쾌척 (0) | 2019.06.19 |
---|---|
북한을 첫 공식 취재한 언론인… 권영빈 前 중앙일보 사장 (0) | 2019.06.17 |
정구호 “창조의 핵심은 정리, 큰 덩어리로 남기고 다 버려야" (김지수 기자, 조선일보) (0) | 2019.06.15 |
응급실부터 日양로원까지 의사출신 김철중 의학 전문기자 (조선일보 100년 특집) (0) | 2019.06.14 |
마더 테레사 (장석주, 조선일보) (0) | 2019.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