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

천안함 金군, 김윤수

colorprom 2019. 6. 12. 14:51


[만물상] 천안함 金군

              
입력 2019.06.12 03:16

몇 해 전 천안함 추모 배지를 만든 여고생들을 취재한 적이 있다.
이들은 영화 '연평해전'을 본 뒤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릴 방법을 고민했다고 한다.
"위안부 할머니나 세월호 배지를 보면서 사람들이 관심을 한 번 더 갖게 되는데,
천안함이나 연평해전 희생자를 추모하는 상징물도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수병 정모를 쓰고 흰색 정복을 입은 모습의 배지 디자인도 학생들이 직접 했다.

5개월여 뒤 이들이 판매 수익금 772만원을 해군 유자녀 장학금으로 기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772란 숫자는 천안함 선체 번호 PCC-772에서 딴 것이다.

천안함 선체가 전시돼 있는 평택 서해수호관에는 매년 중·고교생 3만~5만명이 안보 견학을 온다.
수호관 관계자는 "학생들은 처음에는 놀러 온 것처럼 장난치고 떠든다.
하지만 유가족들 영상과 전시물을 보고 설명을 듣고 나면 분위기가 확 바뀌어 숙연해진다"고 했다.
안보 현실을 깨닫고 생각이 깊어지는 모습이 눈에 보인다고 한다.

한번 왔던 학생이 '천안함 괴담'을 얘기하는 학교 선생님을 모시고 다시 온 적도 있다고 한다. 

[만물상] 천안함 金군
▶어제 신문에는 천안함 추모 티셔츠를 팔아 모은 1000만원을 해군에 기부한 고교생 얘기가 실렸다.
충북 옥천고 3학년 김윤수군은 2017년 현충원에서 오열하는 천안함 전사자의 어린 자녀를 보고
도움이 되고자 티셔츠를 제작했다.
김군은 "기부를 할 수 있도록 티셔츠를 사주신 분들이 존경스럽다.
많은 분이 잊지 않고 관심을 가져줘서 감동했다"고 했다.
그는 장래 희망도 군인으로 바꿨다고 한다.

▶지난달 청해부대 입항식 도중 불의의 사고로 숨진 최종근 하사의 안장식 전날

한 고교생이 현충원에 찾아왔다.

이 학생은 신분을 밝히지 않고 "대한민국은 당신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고맙습니다"라고 쓴 손편지와

100만원을 맡기고 갔다. 이 익명 고교생도 김윤수군이라는 게 뒤늦게 알려졌다.


김군은 이전부터 천안함 재단에 수차례 기부를 해왔다.

일부에선 진학용 '스펙 쌓기'라는 시선도 있는 모양이다. 그렇다면 이렇게까지 하지는 않을 것이다.

▶김군은 "목숨 바쳐 대한민국을 지킨 분들의 명예를 지키는 것은 국민의 의무"라고 했다.

배지를 만든 여고생들도 '천안함 배지 만들면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오해 받을 수 있다'는 주위의 만류에

"천안함이든 세월호든 똑같이 슬프고 기억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이런 10대는 많은 어른을 부끄럽게 한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11/2019061103973.html


천안함 티셔츠 팔아 1000만원 기부한 '천안함 김군'


조선일보


             
입력 2019.06.11 03:28

충북 옥천고 3학년 김윤수군
"46용사 잊지 않고 셔츠 사주신 많은 분들 보며 오히려 감동"

충북 옥천고 3학년 김윤수(18)군은 별명이 '천안함 김군'이다.
지난 2017년 대전현충원 천안함 46용사 묘역을 찾아 헌화하던 중
오열하는 천안함 전사자의 어린 자녀를 본 뒤 유가족을 돕기 위해 추모 티셔츠 제작, 판매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김군은 10일 티셔츠를 팔아 모은 1000만원을 해군에 기부했고, 앞으로도 계속 기부를 이어갈 생각이다.

충북 옥천고 김윤수(왼쪽)군이 10일 계룡대 충무실에서 심승섭 해군참모총장과 천안함 희생 장병들을 추모하는 티셔츠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충북 옥천고 김윤수(왼쪽)군이 10일 계룡대 충무실에서 심승섭 해군참모총장과
천안함 희생 장병들을 추모하는 티셔츠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해군
김군은 천안함 희생 장병을 잊지 말자는 생각에 티셔츠를 팔았다고 했다.
그는 "많은 내용을 담고, 사람들 사이에 가장 눈에 잘 띄는 게 무엇인가 고민했는데 바로 티셔츠였다"며
"직접 도안해 만들었고 많은 분이 관심을 가져주셨다"고 했다.

김군의 첫 기부는 지난 2018년이었다.
천안함 재단에 수익금 200만원을 전달했고 올해 초 또 100만원을 기부했다.

150만원 상당의 추모 배지도 재단 측에 기부했다.

김군은 자신의 기부에 대해 "천안함 46용사들이 목숨 바쳐 대한민국을 지켰으니,
그들의 명예를 지키는 것은 우리 국민이 당연히 해야 할 의무라고 생각했다"고 했다.
그는 "오히려 이런 기부를 할 수 있도록 천안함 티셔츠를 사주신 분들이 존경스러웠다"며
"많은 분이 천안함 폭침 사건을 잊지 않고 관심을 가져준다는 생각에 역으로 감동했다"고 했다.

천안함 장병들로부터 시작된 해군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김군의 장래 희망을 '군인'으로 바꿔 놓았다.
그는 "원래 장래 희망은 법조인이나 세무사였다"며
"그런데 천안함 장병들을 위한 추모 티셔츠를 팔면서
'돈을 많이 버는 직업만이 좋은 것은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해군사관학교 진학이 목표인 김군은
"(청해부대 입항식 도중 홋줄 사고로 숨진) 고(故) 최종근 하사님처럼
청해부대에 지원해 아덴만을 누비고 싶다"고 했다.

김군은 최 하사 안장식 전날 손편지와 함께 100만원의 기부금을 대전현충원에 맡기기도 했다.

김군은 "직접 자원해 아덴만 파병 활동을 했다는데 존경스러웠고, 또 자랑스러웠다"며
"천안함 장병들을 수색하다 돌아가신 고 한주호 준위의 뜻을 이어받아
해군특수전 전단(UDT/SEAL)에서도 활동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부모님이나 주변 친구들은 '군인이라는 위험한 일을 무엇 하러 하느냐'고 하는데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김군은 올해 3월 22일 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서해 수호의 날' 행사의 공동 사회자를 맡기도 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11/201906110035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