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5.04 03:00
[아무튼, 주말- 魚友야담]
고교 동창과 오랜만에 소주잔을 부딪쳤습니다. 학창 시절 녀석은 순진하고 무대 공포증도 있는 친구였어요. 존재감 약하고 실수도 잦았죠. 지금은 어떠냐고요? 180도 반대입니다. 꼼꼼한 완벽주의자 중소기업 사장님. 세상물정 밝고 무대와 조명도 즐기는. 그런데 한 잔이 한 병이 되면서 흥미로운 고백을 하더군요. 어쩌면 그때 자신을 무시했던 친구들에게 인정받으려는 욕망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는지도 모른다고. 반전은 계속됩니다. 하지만 솔직히 지금 쓰고 있는 '가면'이 힘들다고. 아무도 내게 관심 없던 그때가 더 편했다고.
이번 주 읽은 책 중에 소설가 김영하의 산문 '여행의 이유'(문학동네刊)가 있습니다. 5월이었기 때문일 겁니다. 초록의 계절, 여행의 계절. 소설가는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를 인용합니다. 주인공 오디세우스는 주지하다시피 트로이 전쟁을 승리로 이끈 영웅. 시대 막론, 길 떠나는 여행자의 상징이기도 하죠. 이 영웅의 모험 중에는 외눈박이 괴물 키클롭스와의 사투가 있습니다.
이번 주 읽은 책 중에 소설가 김영하의 산문 '여행의 이유'(문학동네刊)가 있습니다. 5월이었기 때문일 겁니다. 초록의 계절, 여행의 계절. 소설가는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를 인용합니다. 주인공 오디세우스는 주지하다시피 트로이 전쟁을 승리로 이끈 영웅. 시대 막론, 길 떠나는 여행자의 상징이기도 하죠. 이 영웅의 모험 중에는 외눈박이 괴물 키클롭스와의 사투가 있습니다.
우리 안에는 내가 너무도 많습니다. 골방에 틀어박히고 싶을 때도 있지만, 광장으로 나오고 싶을 때도 있죠. 오디세우스가 키클롭스를 우연히 만난 게 아닙니다. 부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일부러 외딴 섬의 동굴로 괴물을 찾아가죠. 그리고 외칩니다. "내가 누구인지 알아? 난공불락 트로이가 누구 덕에 함락되었는지 알아? 트로이 목마를 고안한 게 누군지 알아?"
결과를 우리는 압니다. 열두 명 부하를 차례로 잃고서야 오디세우스는 제정신을 차리죠. 괴물 앞에 바짝 엎드립니다. 그러고는 자신을 '우티스'라고 소개하죠. 그리스어 우티스는 영어로 Nobody. 오디세우스는 최고의 포도주로 키클롭스를 구워삶은 뒤 잠든 괴물의 눈을 찌릅니다. 비명 듣고 달려온 친구 키클롭스들이 누가 너를 찔렀느냐고 물었을 때 이 외눈박이 괴물의 대답은 "Nobody is killing me." 우리말로 번역하면 "아무도 찌른 사람은 없어." 친구 괴물들은 그 말을 듣고 그냥 돌아갑니다. 허영과 인정욕망이 아니라 자신을 숙였을 때 오디세우스는 죽지 않죠.
우리는 늘 두 가지 욕망 사이에서 위태로운 인생을 질주합니다. 골방이냐 광장이냐. 예외는 없습니다. 소설가건 보통 사람이건. 슬기로운 균형을 꿈꾸는데, 늘 어렵습니다. 호쾌한 5월 되시기를.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