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브하트'
형틀에 묶인 남자가 '프리덤~' 외치며 장렬하게 죽어가는 영화 '브레이브하트'의 역사 왜곡도 '역대급'이다. 13세기 스코틀랜드의 영웅 윌리엄 월리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데 그가 실존 인물이라는 것과 형장에서 끔찍하게 죽은 사실 빼고는 죄다 허구여서 이 영화 보고 영국사(史) 시험을 치렀다간 100% 낙제다. 일단 그런 소리를 질렀을 리가 없는 게 그가 벌인 싸움이 전제군주 대 자유인의 항쟁이 아니라 잉글랜드 왕과 스코틀랜드 귀족들 사이의 암투였기 때문이다. 윌리엄 월리스는 영화와 달리 농노가 아닌 귀족이었고 아내를 잃은 외로운 독신남이 아니라 아이까지 있는 유부남이었다. 윌리엄 월리스를 사랑하는, 잉글랜드로 시집온 프랑스 공주 이사벨라의 이야기도 연대가 맞지 않는다. 이사벨라는 윌리엄 월리스가 처형될 당시 겨우 열 살이었고 그가 죽은 후 4년이 지나 잉글랜드로 시집을 왔다. 주인공에 대한 미화는 적의 비하로 이어진다. 영화 속 악당은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다. 비열하고 냉혹한 이미지의 에드워드 1세는 첫 등장부터 관객들의 미움을 산다. 스코틀랜드인의 종자 개량을 위해 프리마 녹테(초야권)의 부활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지방 영주가 신부의 첫날밤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는 초야권은 역사적 근거도, 기록도 없는 중세 전설이다. 만약 그런 게 진짜 있었다면 대부분의 영주는 과다하게 권리를 행사하다가 과로사로 생을 마쳤을 것이다. 190㎝에 달하는 큰 키 덕분에 '롱생크'라는 별칭으로 불린 에드워드 1세는 영화 속 설정과는 달리 법제도 개혁으로 명군(名君)소리를 들었던 사람이다. 법만 잘 만든 게 아니다. 당시 영국과 프랑스의 국력 차이는 초등학생과 대학생 수준이었는데 그의 치세 중 영국은 거의 대등한 수준으로 프랑스를 따라잡았다. 물론 적에 대해서는 가혹했지만 그건 현대를 기준으로 해서나 그렇다는 얘기고 오히려 중세 사람치고는 인정머리가 넘쳐 죄 없는 민간인은 건드리지 않으려 조심했던 왕이었다.
윌리엄 월리스의 처형은 교수형, 거열형, 장기 적출형, 참수형의 통합 버전으로 반역자 전용이다. 영화에는 형을 집행하기 전 난쟁이들이 처형을 우스꽝스럽게 흉내 내는 장면이 나온다. 사람을 형틀에 눕혀 놓고 상의를 풀어 밧줄을 끄집어내는데 관객들은 나중에야 그게 무엇의 은유인지 알고 기겁을 한다. 전근대의 신체형이 그토록 잔인했던 것은 당시 사람들이 특별히 모질고 악랄해서가 아니다. 국왕 이체론(二體論)은 왕의 신체를 둘로 구분한다. 하나는 병들고 죽는 자연적 신체이고 다른 하나는 왕권의 영속성과 정통성을 담고 있는 정치적 신체다. 반역죄는 왕의 자연적 신체가 아니라 정치적 신체를 침범한 행위다. 그래서 그 형벌 역시 죄인의 자연적 신체가 아닌 정치적 신체가 목표였다. 몸이 아닌 정신을 파괴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폭력을 동원하여 죄를 인정하고 자비를 간구하게 만드는 것이다. 영화는 개봉과 동시에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잉글랜드에서는 상영 금지 요구가 있었지만 영화는 제작비의 두 배에 달하는 1억4000만달러를 벌어들였다. 역사적 사실이 영화적 재미에 압사당한 것이다. 영화가 역사를 대체하는 시대다. 아무리 그렇다 해도 공산주의자 김원봉이 나온 영화 '암살'이 흥행했으니 유공자로 지정해도 된다는 설명은 나가도 너무 나갔다. '영화는 영화일 뿐'이라는 상식마저 설 자리를 잃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