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2.23 03:00
기업인 출신 소설가 홍상화, 한국경제 지론 담은 새 책 펴내
"대한민국 사회는 요즘 자기 훼손과 비하에 빠져 있다."
기업인 출신 소설가 홍상화(79)가 한국 경제를 다룬 소설 '30-50클럽'(한국문학사)을 냈다.
기업인 출신 소설가 홍상화(79)가 한국 경제를 다룬 소설 '30-50클럽'(한국문학사)을 냈다.
홍 작가는 한국컴퓨터를 창업해 기업인으로 활동하다가 1989년 소설가로 변신했다.
경제 풍자 소설 '거품 시대'를 1993년 조선일보에 연재했고,
중편소설 '동백꽃'으로 2005년 이수문학상을 받았다.
그는 새 소설에 대해
"세계 최빈국이었지만 다른 나라를 식민지로 착취하지 않고서
오늘날 '30-50클럽'(일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이면서 인구 5000만명이 넘는 나라)에 든 국가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며
"우리 사회가 지금껏 거둔 성공 비결을 한국인의 새 정체성으로 삼자고 제안하고 싶어서 소설을 썼다"고
밝혔다.
![소설가 홍상화는“평택에 들어선 주한 미군 기지는 최첨단 시설이기 때문에 미국이 쉽게 포기하지 못하고, 장차 한국 경제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2/22/2019022202642_0.jpg)
소설 '30-50클럽'은 대화체 형식으로 경제 평론을 풀어놓는다.
작가가 가상으로 재미 교포 경제학자와 중국 경제 전문가를 번갈아 접촉해 나누는 대화로 진행된다.
이 소설이 강조하는 대한민국 성공 비결의 핵심은 평등사상이다.
작가는 "누구든 열심히 공부하고 일하면 더 잘 살 수 있다고 하는 '계층 유동성'이 활발했기 때문에
작가는 "누구든 열심히 공부하고 일하면 더 잘 살 수 있다고 하는 '계층 유동성'이 활발했기 때문에
한국인을 지금껏 뛰게 한 것은 '평등사상'이다"라며
"공정한 입시와 고시(考試), 군 복무, '일하는 윤리'가 우리의 강점이었고,
심지어 '일류 선호병'도 경쟁과 발전의 원동력이 됐다"고 풀이했다.
하지만 그는 "최근 고소득과 고학력의 대물림이 심해지는 것을 비롯해
근로와 경쟁이란 측면에서 우리 스스로 성공 비결을 망치고 있다"고 탄식했다.
그는 또 "정부의 재정 건전성이 한국 경제의 강점이었지만,
현재 정부가 소득 재분배를 중시하거나 세금을 써서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은
지금껏 우리가 잘한 점을 포기하는 게 된다"고 지적했다.
작가는 한반도에 미칠 미국과 중국의 경제 전쟁 영향도 내다봤다.
작가는 한반도에 미칠 미국과 중국의 경제 전쟁 영향도 내다봤다.
"중국은 원래 2025년 초강대국이 되려고 했다.
하지만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제품에 대해 무역 전쟁을 일으키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우리로선 다행이다. 중국의 첫 목표는 한국을 다시 조공 국가로 삼으려는 것이었다.
박근혜 전(前) 대통령의 사드 배치는
중국이 한반도에 대해 지닌 속마음을 들춰냈다는 점에서 치적(治績)으로 봐도 무방하다.
앞으로 미국 자본주의와 중국의 '국가 자본주의'가 자주 부딪치고,
중국 경제가 '잃어버린 10~20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작가는 남북한 경제 협력에 대해선 "우리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작가는 남북한 경제 협력에 대해선 "우리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북한 경제 규모는 우리의 40분의 1에 불과하다.
지금이야 남북한 관계 개선 때문에 존중하지만,
경제 교류가 확대되면 대등한 파트너로 여길 필요가 없어질 것이다.
우리 사회는 요즘 여러 문제가 많다고 하지만 쉽게 추락하진 않는다.
우리 장점을 살리면 기존의 '30-50 클럽' 중 미국과 독일을 빼곤
일본·영국·프랑스·이탈리아를 추월할 수 있다고 본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