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쓰는 우리 예절]

<24>휴가철 숙소 사용 에티켓

colorprom 2018. 8. 6. 19:22



한국인 투숙객 떠난뒤 룸 청소악 소리 납니다


임우선 기자 , 위은지 기자 입력 2018-08-06 03:00수정 2018-08-07 17:36    


트랜드뉴스 보기


[새로 쓰는 우리 예절 新禮記(예기)]24휴가철 숙소 사용 에티켓

  
호캉스 기분 취해 뒷정리 나몰라라정말 곤란해요

저는 일주일 중 토요일 오후가 제일 무섭습니다. 저뿐 아니라 저와 같은 일을 하는 모두가 마찬가지입니다.
제 직업이 궁금하다고요? 전 호텔에서 ‘메이드’라고 불리는, 객실청소 담당 직원입니다.


저희가 토요일 오후를 두려워하는 이유는 전날 밤 ‘불금’을 보내는 한국 손님들이 집중되기 때문이에요.

호텔방을 빌려 지인들과 파티를 즐기는 ‘룸파티’나 ‘호캉스(호텔+바캉스)’ 문화가 확산되면서

주말엔 한국인으로 넘쳐나거든요.

이들이 떠난 자리는 충격적일 때가 많아요.

카펫 바닥과 침대 위에 토사물이 있는가 하면,

청소하러 들어갈 공간이 없을 정도로 바닥에 술병이 널브러져 있기도 하죠.

스카치테이프로 붙인 풍선을 떼려 했는지 벽지가 찢어진 방도 있어요.

카펫 위에 케이크가 통째로 짓이겨진 모습도 봤어요. 문을 여는 순간 ‘헉’ 소리가 난다니까요.

한국 손님들은 이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내가 내 돈 내고 왔는데 뭐가 문제냐.’ ‘대신 치워달라고 비싼 돈 낸 것 아니냐.’

하지만 같은 돈을 낸 손님 중에 그렇지 않은 손님들도 많답니다.
메이드 일을 오래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나라별 투숙객 문화가 비교되더라고요.
이제 우리도 경제력에 걸맞은 숙소 사용 예절을 갖춰야 하지 않을까요?  
 
떠나면 그만, 생각 버리고 배려도 챙기세요

직장인 윤호영 씨는 5년 전 대학생 때 해외연수를 갔다가
일본과 대만 등에서 온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났다.
지금도 잊을 수 없는 건 그들의 숙소 사용 매너다.

윤 씨는 “퇴실할 때 사용한 이불을 마치 자신의 침대를 정리하듯 각 잡아 정돈하는 모습을 보고 놀랐다”며
그동안 내가 숙소를 얼마나 함부로 사용했는지 처음으로 반성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제 많은 한국인에게 여행은 삶의 일부다.

지난해 해외여행에 나선 국민은 2600만 명에 이른다.

하지만 여행이 보편화된 데 반해 숙소 사용 예절은 일천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를 가장 피부로 느끼는 이들은 여러 나라 투숙객을 접하는 호텔 직원들이다.

외국계 체인인 서울 I호텔 직원 이모 씨는 “숙소 예절은 예약 단계부터 시작된다”며

투숙객 인원을 속이고 예약하거나 흡연자이면서 비흡연자로 체크하는 일 등 난감한 상황이 많다”고 말했다. 특히 흡연자이면서 담배 냄새가 나지 않는 상쾌한 방을 얻기 위해 비흡연룸에 투숙한 뒤 담배를 피울 경우

냄새 제거가 쉽지 않아 큰 문제가 된다. 이 씨는

“보통 방 하나를 청소하는 데 40분을 잡는데

이런 방은 3시간 이상 별도의 환기장비를 돌려도 냄새가 완전히 빠지지 않는다”며

“최악의 경우 다음 손님을 받지 못하는 일도 생긴다”고 말했다. 

한국인의 화장실 사용 매너도 메이드들에겐 골칫거리다.

대다수의 외국 호텔과 외국계 국내 호텔들은 배수관 냄새 등 위생상 이유로

화장실 바닥에 배수구를 만들지 않는다.

하지만 적지 않은 한국인들이 이를 무시하고 샤워커튼도 치지 않은 채 샤워를 하다가

화장실을 물바다로 만들기 일쑤다.

서울 M호텔 관계자는 “화장실 밖 객실 카펫까지 다 젖으면 일이 아주 복잡해진다”며

“샤워커튼을 반드시 욕조 안쪽으로 치는 것은 호텔 이용 시 필수 매너”라고 말했다. 

 메이드들은 이것을 보면 투숙객의 매너를 알 수 있다고 한다. 바로 ‘수건’이다.
작은 부분이지만 다 쓴 수건을 어디에 어떻게 놓느냐를 보면 투숙객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울 H호텔 관계자는 “한국 손님들은 쓰고 난 수건과 샤워가운을 주로 바닥에 던져 놓는다”고 말했다.
반면 일본이나 유럽지역 투숙객들은 대부분 사용한 수건을 욕조 안에 넣거나 세면대 위 한쪽에 쌓아둔다.
H호텔 관계자는 “수건을 한쪽에 모아놓으면 치우는 사람도 편하고 바닥에 있는 것보다 위생상으로도 좋다”며 다음 손님을 위한 일종의 배려인 셈”이라고 말했다.
보통 매일 갈게 돼 있는 침대 시트나 이불 커버를 하루 이상 쓰겠다고 의사 표시를 하는 것도 좋은 매너다.
시트를 갈 때 힘이 들기도 하지만 한 번 갈 때마다 나오는 엄청난 양의 빨래를 줄일 수 있어
환경오염을 막는 데도 도움이 된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 인색한 한국인의 ‘칭찬문화도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꼽힌다.

외국인 투숙객의 경우

객실 상태나 서비스에 만족했을 때 적극적으로 감사 메시지를 남기거나 칭찬카드를 쓴다.

외국계 체인인 서울 C호텔 관계자는

프런트에 남긴 칭찬 메시지는 객실부를 통해 해당 메이드에게 모두 전달된다”며

그 무엇보다 메이드들이 고마워하는 것이 칭찬이다.

비록 손님은 떠나도 손님의 나라에 대한 이미지는 좋게 남는다”고 말했다.

여행 시 이용하는 숙소는 ‘떠나면 그만’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가정집을 숙소로 공유하는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나의 숙소예절이 단순한 매너를 넘어 다음 숙소 예약 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는 김지윤 씨는

숙소 공유 경제의 대표 주자인 에어비앤비의 경우

손님만 집을 평가하는 게 아니라 집주인도 손님을 평가해 별점을 준다”며

집을 함부로 쓰는 진상 고객은 다른 집주인들이 꺼려 추후 원하는 숙소 예약에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다

고 말했다.

임우선 imsun@donga.com·위은지 기자

  
○ 당신이 제안하는 이 시대의 ‘신예기’는 무엇인가요. ‘newmanner@donga.com’이나 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이 느낀 불합리한 예법을 제보해 주세요. 카카오톡에서는 상단의 돋보기 표시를 클릭한 뒤 ‘동아일보’를 검색, 친구 추가하면 일대일 채팅창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휴가철 숙소 사용 에티켓#한국인 투숙객

        

Copyright ⓒ 동아일보 & 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