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공부

큰 나라 옆 작은 나라로 살아가기 (주경철 교수, 조선일보)

colorprom 2017. 11. 8. 15:24


[朝鮮칼럼 The Column] 큰 나라 옆 작은 나라로 살아가기

  • 주경철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입력 : 2017.11.08 03:17

유럽의 강소국이었던 네덜란드, 英·佛 등 강대국 간 협상으로 불리한 조약 강요당하며 쇠락
세계 질서 주도하려는 앞에 네덜란드 전철 밟지 않으려면 여러 나라와 긴밀한 網을 짜야

주경철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주경철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1713년 네덜란드위트레흐트에서 프랑스·에스파냐·영국·네덜란드·프로이센·포르투갈·사부아

각국 대표들이 모여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을 종결시키는 국제조약을 체결했다.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가 자기 손자를 에스파냐 국왕으로 앉히는 동시에

후일 자신이 사망하면 프랑스 왕위까지 물려받게 하여 양국을 합병하려는 야욕을 드러내자

유럽 각국이 들고일어나 벌어진 전쟁이었다.


오랜 기간 전쟁에 시달린 후라 모든 사람이 평화를 갈구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여 위트레흐트 조약은 유럽 내 어떤 국가도 패권을 노리지 못하도록

국가 간 세력 균형을 이루고자 했다.

당시 생피에르 신부가 제시한 '영구 평화' 개념도 유사한 철학을 반영한다.

동맹 체제를 통해 일부 국가의 침략 야욕을 사전에 방지하자는 것이다.

새로운 유형의 근대 국제 체제가 등장한 것이다.

이 체제는 모든 국가 간에 조화를 이루는 평화를 목표로 하는가?

그렇지는 않다. 동맹 체제니 세력 균형이니 하는 것들은 실상 '강대국 간' 동맹과 균형을 말할 따름이다.

 

소국들 혹은 지역 단위들은 이 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해 장기판의 말처럼 사용되었다.

독일(신성로마제국)이 나폴리·사르데냐·밀라노를 받고, 영국이 미노르카·지브롤터를 얻고,

프랑스는 알자스와 란다우 등지를 유지하는 대신 라인 강 동쪽 지역을 내놓는다는 식이다.

이전 세기인 17세기에 황금기를 누렸던 네덜란드도 이 조약에 의해 가련한 신세로 전락했다.

일찍이 루이 14세는 이 작은 부르주아 국가를 '구더기'라 부르며 경멸했고,

군사를 동원하여 침략 전쟁을 일으켰다.

강대국 간 전후(戰後) 협상에서 이 나라는 마치 조리돌림을 당하는 꼴이 되었다.

헬데를란트(Guelderland)주는 프로이센에 양도됐고, 남부 지방은 신성로마제국 차지가 되었다.

게다가 프랑스가 다시 군사 침략을 하지 못하도록 경계하는 역할이 주어져서,

프랑스 접경 지역에 요새를 만들고 네덜란드군이 주둔하도록 했다.

이 나라 도시인 위트레흐트에 대표들이 모여 협상하면서 이 나라에 불리한 내용을 결정하는 현상을 두고

프랑스의 외교관인 멜쉬오르 추기경

'당신들 문제에 대해 당신네 나라에서 당신들 빼고(de vous, chez vous, sans vous)' 처리한다며 놀려댔다. 요즘이라면 '네덜란드 패싱'이라고 불렀을 법하다.


작지만 강한 나라, 유럽 내 경제 패권을 잡은 경제 강국, 렘브란트를 위시하여 참신한 예술이 꽃피어나고

학문과 사상의 자유가 보장되었던 문화 국가 네덜란드는 18세기 이후 쇠락의 길을 걸었다.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이
3일 군복 차림으로 당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작전지휘센터를 시찰했다.
그는 올해 7월 건군 9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도 군복을 입고 등장한 바 있다. /AP 연합뉴스
300년 전 유럽의 역사를 반추하는 까닭은 현재 우리 사정이 그와 비슷해 보이기 때문이다.
1990년대부터 중국도광양회(韜光養晦),
곧 "자신의 재능이나 명성을 드러내지 않고 참고 기다린다"는 자세를 견지했다.
군사와 경제 면에서 급격한 성장을 이루는 데 대해 서방에서 '중국위협론'이 등장하자
'중국화평굴기(中國和平�起)'를 내세웠다.
성장하는 중국은 바이마르공화국, 일본제국주의, 소련과는 성격이 다르며,
국제 체제의 안정을 깨지 않으면서 그 일원이 되려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던 중국이 지난 19차 당대회에서 전혀 다른 모습을 보였다.
어쩌면 그동안 감추었던 본색을 드러낸 셈이다.
시진핑 주석은 건국 100주년인 2049년에는 세계 선두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중국이 세계 질서를 주도하는 신(新)시대의 도래를 예고했다.
'국제 체제 내의 변화'가 아닌 '국제 체제의 변화'를 도모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물론 상호 존중이라든지 협력 공영 같은 표현도 하지만,
"그 어떤 나라도 중국이 자신의 이익에 손해를 끼치는 쓴 열매를 삼킬 것이라는 헛된 꿈을 버려야 한다"는
당대회 보고의 말은 충분히 위협적으로 들린다.
우리는 최근 '사드 사태'를 겪으며
중국이 결코 자비롭고 관대한 대국이 아니라는 사실을 충분히 학습했고, 덕분에 이미 '헛된 꿈'을 버렸다.

중국이라는 대국의 존재는 우리 역사와 미래의 상수(常數)다.
무엇보다 매년 6~7%의 고도성장을 이루는 거대한 규모의 경제는
우리에게 위험 요소이자 동시에 엄청난 기회일 수 있다.
그렇지만 세계 최강의 선두 국가가 되겠다는 중국몽( 中國夢)의 세계 속에서
우리가 장기판의 말처럼 휘둘리다가 몰락하는 꼴을 당하지 않으려면 냉철한 대비가 필요하다.
중국에 대해 공연히 적으로 만들거나 무조건 굴종할 일이 아니라
호혜적 관계를 이루되, 동시에 세계 여러 국가와 긴밀한 관계의 망을 짜서 탄탄한 균형을 이루어야 마땅하다.

큰 나라 옆에서 번영을 이루며 살아가려면 남다른 지혜와 노력이 필요하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07/201711070351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