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세상

[발굴]야 왕릉 순장자가 쓴 고구려式 鳥羽冠 (이한상 교수)

colorprom 2017. 11. 1. 15:02

[이한상의 발굴 이야기] [14] 가야 왕릉 순장자가 쓴 고구려式 鳥羽冠

  •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입력 : 2017.11.01 03:10

2007년 5월 25일. 고령 지산동73호분에 대한 발굴이 시작됐다.

순장묘로 유명한 지산동44호분과 45호분 발굴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대가야박물관이 기획한 조사였다.

조영현 대동문화재연구원장은 감회가 남달랐다.

지산동45호분 발굴에 참여한 인연으로 옛 고분 연구에 평생을 쏟아온 그였기에

지산동고분군에서 왕릉급 무덤을 발굴하게 된 것은 가슴 벅찬 일이었다.

금동제 관식, 지산동73호분, 높이(중간) 18㎝, 대가야박물관.
금동제 관식, 지산동73호분, 높이(중간) 18㎝, 대가야박물관.



발굴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구조물을 만들고 그 위에 엎드려 무덤 내부를 노출했고

무덤 속에서 조사를 진행할 때는 유물의 안전을 위해 바닥이 말랑말랑한 고무신을 신었다.

발굴은 당초 예정 기일을 넘겨 다음 해까지 이어졌다.

그 사이 지름 23m, 잔존 높이 3.4m에 달하는 이 무덤은 5세기 전반에 축조된 것으로

기왕에 발굴되었던 대가야 왕릉급 무덤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임이 밝혀졌다.


그런데 그 시점까지도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이 남아 있었다.

지산동44호분에서 32개의 순장곽이 확인되었음에 비해 이 무덤에서는 겨우 1개가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그 의문은 곧 풀렸다.

내부 조사 종료 후 묘광과 목곽 사이에 채워진 돌무더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숨겨져 있던 3개의 순장곽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특히 서쪽 순장곽에 묻힌 30대 남성의 머리에서는 금동제 관식이 출토되어 주목을 받았다.

조 원장은 "신라 관식과 외형이 유사하며, 이러한 장식품을 소유한 순장자는 사회적 지위가 낮지 않았고

무덤 주인공과 매우 가까운 인물이었을 것"이라 해석했다.

새가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모습을 한 금속제 관은

중국 역사가들이 동이(東夷 )의 특징으로 기록한 '조우관(鳥羽冠)'에 해당한다.

고구려에서 유행한 조우관이 남쪽으로 전해져 신라뿐만 아니라 가야에서도 유행했음을

지산동73호분 금동제 관식이 잘 보여주었다.

지산동고분군에서는 그 밖에도 백제와 신라적 요소가 부분적으로 녹아든 유물이 다수 발굴됐다.

가야가 다른 나라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 자기화하였음을 생생히 보여주는 증거라 하겠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31/201710310319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