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
'앎'이라는 말보다 '느낌'이라는 말을 쓰는 것이 더 좋다.
느낌 쪽이 보다 본질에 가깝기 때문이다.
느낌 쪽이 보다 본질에 가깝기 때문이다.
'앎'은 두뇌적이다. 그러나 '느낌'은 전체적이다.
느낄 때는 머리만으로 느끼지 않는다.
가슴만으로 느끼지 않는다.
그대 전 존재의 세포 하나하나가 그대로 느낌 그 자체가 되어 느낀다.
느낌은 전체적이다.
느낌은 유기적이다.
- 타골, 라즈니쉬의《까비르 명상시》중에서 -
* '느낌'은 '앎'을 뛰어 넘습니다.
아는 것은 없어도 느낌 하나만으로 모든 것을 통째로 읽어낼 수 있습니다.
한순간의 느낌 때문에 진한 사랑도 하게 되고,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하기도 합니다.
0.1초 사이에 느껴지는 느낌 하나에 때론 우리의 운명이 갈립니다.
'느낌'도 훈련입니다.
(2013년 7월12일자 앙코르메일)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세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로운 사람에게 마음을 (CBS) (0) | 2017.08.07 |
---|---|
베풀수록 이익이 커진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0) | 2017.08.07 |
남의 흉을 보면 (CBS) (0) | 2017.08.06 |
가필드의 10분 투자 (CBS) (0) | 2017.08.05 |
굴러 들어온 복 (CBS) (0) | 2017.08.04 |